레바논 전쟁 | [8회 무삭제 확장판] 내전과 난민이 만든 비극, 1982년 레바논 전쟁 ㅣ 뉴스멘터리 전쟁과 사람 / Ytn Life 251 개의 새로운 답변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레바논 전쟁 – [8회 무삭제 확장판] 내전과 난민이 만든 비극, 1982년 레바논 전쟁 ㅣ 뉴스멘터리 전쟁과 사람 / YTN life“?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ppa.maxfit.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maxfit.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YTN2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242,241회 및 좋아요 3,208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레바논 전쟁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8회 무삭제 확장판] 내전과 난민이 만든 비극, 1982년 레바논 전쟁 ㅣ 뉴스멘터리 전쟁과 사람 / YTN life – 레바논 전쟁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뉴스멘터리 전쟁과 사람 – 무삭제 확장판’을 TV에서도 시청할 수 있습니다!
방송 시간 : 토요일 오후 2시 / 일요일 밤 10시 / 월요일 오후 1시
많은 시청 바랍니다🖤
📍YTN life 채널 안내📍
Olleh 159번 / SkyLife 90번 / SK브로드밴드 157번 / U+ 145번 / LG헬로비전 115번 / DLIVE 138번 / t-broad 152번 / 현대 HCN 341번

[무삭제 확장판]고대부터 지중해 무역을 통해 페니키아 문명이 융성했던 레바논. 하지만 현재는 수십 년째 내전으로 혼란이 지속하고 있다.
1982년,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무장 기구(PLO)를 제거한다는 명분으로 레바논을 침공하고 외세인 시리아가 개입하게 된다.
베카 계곡과 베이루트에서 벌어지는 1982년 레바논 전쟁에 대해 알아본다.
🔷YTN life 채널 본방 : 월요일 밤 10시🔷
🔶YTN life 채널 재방 : 화요일 오후 3시 20분🔶
📍YTN life 채널 안내📍
Olleh 159번 / SkyLife 90번 / SK브로드밴드 157번 / U+ 145번 / LG헬로비전 115번 / DLIVE 138번 / t-broad 152번 / 현대 HCN 341번
☞ YTN life 채널구독 https://www.youtube.com/channel/UCDww6ExpwQS0TzmREIOo40Q?sub_confirmation=1
☞ YTN life 홈페이지 https://life.ytn.co.kr/
#뉴스멘터리전쟁과사람 #레바논 #이스라엘 #시리아 #내전 #난민 #ytn2 #뉴전사 #허준 #임용한 #태상호 #강민지

레바논 전쟁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바람잘 날 없는 레바논…전쟁·정치불안·테러에 ‘폭발 대참사’까지

이란은 레바논 시아파 무장 정파이자 주요 세력인 헤즈볼라를, 사우디는 반(反)헤즈볼라 세력을 각각 대리인으로 삼아 레바논에서 패권 전쟁을 벌이고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donga.com

Date Published: 7/30/2021

View: 6752

이스라엘-헤즈볼라 15년만에 충돌…’블루라인’ 전운 고조

특히 헤즈볼라는 2006년 2차 레바논 전쟁 이후 처음으로 자신들이 이스라엘을 상대로 포격했다는 사실을 공식화했다.

+ 여기에 보기

Source: www.yna.co.kr

Date Published: 4/23/2021

View: 7255

제2차 레바논전쟁의 전쟁사적 함의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2006년에 발생한 제2차 레바논 전쟁은 34일간에 걸친 비교적 짧은 가건의 전쟁이었지만 그 충격은 컸다. 전쟁의 승패 요인 분석도 중요하지만 더욱 핵심적인 논의는 이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kci.go.kr

Date Published: 12/3/2022

View: 2235

‘중동의 스위스’에서 내전에 폭발참사까지 레바논의 비극 – 한겨레

무슬림 주민들의 출산율이 높은데다, 네차례 아랍-이스라엘 전쟁으로 팔레스타인 난민이 레바논으로 대거 유입됐다. 아랍-무슬림계 주민 비율이 늘 …

+ 여기에 표시

Source: www.hani.co.kr

Date Published: 10/9/2021

View: 3656

종파 정체성이 저지른 레바논 100년 내전 – 시사IN

18개 종파가 한데 묶인 레바논은 1943년 국민협약으로 유기적 결합에 이르고자 했다. 그러나 종파의 벽을 넘지 못했고 끊임없는 전쟁에 시달렸다.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sisain.co.kr

Date Published: 12/21/2022

View: 3878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레바논 전쟁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8회 무삭제 확장판] 내전과 난민이 만든 비극, 1982년 레바논 전쟁 ㅣ 뉴스멘터리 전쟁과 사람 / YTN life.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8회 무삭제 확장판] 내전과 난민이 만든 비극, 1982년 레바논 전쟁 ㅣ 뉴스멘터리 전쟁과 사람 / YTN life
[8회 무삭제 확장판] 내전과 난민이 만든 비극, 1982년 레바논 전쟁 ㅣ 뉴스멘터리 전쟁과 사람 / YTN life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레바논 전쟁

  • Author: YTN2
  • Views: 조회수 242,241회
  • Likes: 좋아요 3,208개
  • Date Published: 2020. 10. 9.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kugs_VHrmBs

바람잘 날 없는 레바논…전쟁·정치불안·테러에 ‘폭발 대참사’까지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에서 대규모 폭발로 적어도 100명이 죽고 4000명 가량이 다쳤다. 레바논 정부가 폭발 원인을 밝혀내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부실한 관리로 인한 인재(人災)라는 지적부터 외부세력의 사보타주(고의적 파괴행위)라는 주장까지 다양한 분석이 쏟아지고 있다.다양한 분석이 나오는 배경에는 종교로 인한 분열과 작은 영토, 인구, 취약한 경제력 등으로 외세에 휘둘려야 하는 레바논의 현실이 반영돼 있다.레바논은 중동 지역에 위치해 있으면서도 이슬람부터 기독교까지 수십개 종파가 존재하는 다종교 국가로 종파간 극심한 갈등 때문에 1975~1990년까지 15년간 내전을 벌였다. 국가 경제가 사실상 파탄이 난 뒤에야 마론파(기독교 일파)와 수니파, 시아파 등 레바논 3대 종파가 권력 분점에 합의했다.레바논 정치권은 수니파 종주국인 사우디와 시아파 종주국인 이란 등 외세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상태다. 이란은 레바논 시아파 무장 정파이자 주요 세력인 헤즈볼라를, 사우디는 반(反)헤즈볼라 세력을 각각 대리인으로 삼아 레바논에서 패권 전쟁을 벌이고 있다. 시리아도 헤즈볼라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인접국 시리아도 1976년부터 최근까지 레바논에 군을 주둔시켜 놓고 권력을 행사했다. 이란과 시리아의 개입을 거부하고 사우디를 지지하던 라피크 하리리 전 총리는 지난 2005년 2월14일 장갑 호송차를 타고 이동하던 중 대규모 자살폭탄 공격을 받고 수행원들과 함께 사망한 바 있다.레바논 야권은 공격 배후로 시리아와 헤즈볼라를 지목하고 있지만 양측은 혐의를 부인한다. 시리아는 ‘미스터 레바논’이라고 불렸던 하리리 전 총리의 사망 이후 역풍을 맞고 레바논에서 철군했지만 헤즈볼라는 어부지리를 얻어 오히려 영향력을 확대했다.특히 이란은 사우디 배후설을 주장하고 있다. 유엔 특별재판소가 오는 7일 암살 사건에 대한 판결을 내놓을 예정이지만 헤즈볼라 지도자 하산 나스랄라는 용의자로 지목된 대원 4명의 인도를 거부하고 있다.또다른 중동 강국인 이스라엘도 헤즈볼라를 소탕한다는 이유로 1982년 레바논을 침공해 1985년까지 전쟁을 벌였고, 그 이후에도 2000년까지 남부지역을 사실상 점령했다. 2006년도 레바논을 침공한 적이 있다. 이스라엘은 현재도 레바논 영토에 수시로 진입해 헤즈볼라 등을 상대로 군사작전을 벌이고 있다.로이터통신은 레바논에서 2005년 하리리 전 총리 사후 13차례나 종파 갈등 등을 이유로 대규모 폭탄 테러가 발생했다고 보도했다.BBC는 이번 폭발을 두고 종파간 내전과 헤즈볼라와 이스라엘간 산발적 충돌로 레바논에서 폭탄 공격이 일상적으로 이뤄졌던 시기를 연상시킨다고 전했다.인구 400만명인 레바논은 수십년간 이어진 내전 후유증을 치유하기도 전에 밀려든 시리아 난민으로 최악의 경제 위기에 직면해 있다. 레바논 국가부채는 국내총생산(GDP)의 170%에 달한다. 경제난에 반발한 대규모 시위 끝에 반(反)시리아 성향 사드 하리리 전 총리가 지난해 10월 사임했고, 정파간 갈등 끝에 3개월이 지난 뒤인 지난 1월에야 후임자인 하산 디아브 총리의 내각이 의회의 승인을 받았다.하산 디아브 내각은 경제 재건을 공약했지만 미국이 테러단체로 지정한 친(親)이란 헤즈볼라와 그 동맹세력의 지지를 받고 출범했다는 이유로 미국의 지원을 순조롭게 이끌어 내지 못했고 결국 지난 3월 결국 사상 최초로 채무불이행을 선언해야만 했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이번 폭발 사고 직후 레바논에 피해 복구를 위한 지원을 약속했다.[서울=뉴시스]

이스라엘-헤즈볼라 15년만에 충돌…’블루라인’ 전운 고조

헤즈볼라, 로켓포탄 19발 발사…이스라엘, 야포 100발로 반격 “확전 불원…어떤 공격에도 대응” vs “시험하지 말라”

레바논 남부를 겨냥해 불을 뿜는 이스라엘의 자주포 [AFP=연합뉴스]

(카이로=연합뉴스) 김상훈 특파원 = 레바논 내 팔레스타인 소그룹의 소행으로 추정되는 로켓포 도발이 이스라엘과 레바논 무장 정파 헤즈볼라 간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

7일(현지시간) 타임스 오브 이스라엘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헤즈볼라는 전날 이스라엘 북부를 겨냥해 모두 19발의 로켓포탄을 발사했다.

국경을 넘어온 로켓포탄 16발 중에서 10발은 아이언 돔 미사일에 요격됐고 나머지 6발은 사람이 살지 않는 공터에 떨어졌다는 게 이스라엘군(IDF) 측 설명이다.

광고

이스라엘군은 로켓포 발사 지역을 겨냥해 100여 발의 야포로 대응했다.

인명 피해를 유발하지는 않았지만, 헤즈볼라의 이번 로켓포 공격은 ‘블루 라인'(Blue Line)으로 불리는 이스라엘-레바논 국경에 긴장을 고조시켰다.

특히 헤즈볼라는 2006년 2차 레바논 전쟁 이후 처음으로 자신들이 이스라엘을 상대로 포격했다는 사실을 공식화했다.

헤즈볼라는 성명을 통해 이스라엘 북부를 겨냥해 수십 발의 로켓포를 쐈으며, 이번 공격이 전날 이스라엘군의 레바논 남부 공습에 대한 대응 차원이라고 밝혔다.

레바논 남부 시와야 마을에서 목격된 헤즈볼라의 트럭 탑재 다연장 로켓포 발사대 [AP=연합뉴스]

2006년 유엔의 중재로 이스라엘과 헤즈볼라가 휴전한 이후에도 레바논에서 이스라엘을 겨냥한 로켓포 공격은 간간이 이어졌다.

지난 5월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와 ’11일 전쟁’을 치르던 와중에도 3차례나 이스라엘을 향한 로켓포 공격이 있었고, 이번 이스라엘의 공습을 유발한 것도 레바논 측에서 날아온 로켓포탄이었다.

그동안 벌어진 로켓포 공격은 레바논 내 소규모 팔레스타인 그룹이 저지른 것이지만, 이번에는 헤즈볼라가 전면에 나서 보복 공격을 하면서 이전과는 다른 긴장이 조성되고 있다.

특히 소규모 팔레스타인 그룹의 공격을 헤즈볼라가 묵인하거나 지원한다고 의심해온 이스라엘은 무거운 경고의 메시지를 던졌다.

베니 간츠 이스라엘 국방부 장관은 “레바논의 (정치·경제적) 상황이 위태로운데, 우리는 상황을 더 위태롭게 만들 수 있다”며 “헤즈볼라와 레바논군 그리고 레바논 정부는 이스라엘을 시험하지 말라”고 말했다.

헤즈볼라의 2인자인 나임 카셈도 이스라엘과 확전을 원하지 않는다면서도 “레바논을 겨냥한 어떤 공격에도 대응할 것이며, 필요하다면 준비할 것”이라고 응수했다.

이스라엘 언론도 헤즈볼라의 이런 움직임에 주목하고 있다.

일간 하레츠는 헤즈볼라가 불장난으로 나프탈리 베네트 이스라엘 총리를 시험하고 있다면서 “헤즈볼라가 이스라엘 공격을 시인한 것이 공격 자체보다 더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타임스 오브 이스라엘도 “헤즈볼라는 전쟁을 불사한 15년 만의 공격으로 이스라엘을 시험하고 있다”면서 “헤즈볼라가 제한적 도발을 시작할 것이라는 올 초 군 당국의 전망이 맞아떨어졌다”고 분석했다.

헤즈볼라 지도자 사이예드 하산 나스랄라 초상화 옆을 지나는 유엔평화유지군 장갑 [로이터=연합뉴스]

국제사회도 이번 헤즈볼라의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레바논 주둔 유엔평화유지군(UNIFIL)은 헤즈볼라의 로켓 공격이 매우 심각한 상황이라면서 양측에 자제를 촉구했고,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도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미국도 레바논에 헤즈볼라의 로켓 발사를 제지하라고 촉구했다.

네드 프라이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헤즈볼라의 로켓포 공격을 강력하게 규탄한다”며 “레바논 정부가 (헤즈볼라의) 공격을 제지하고 상황을 통제하기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스라엘과 레바논은 과거 여러 차례 전쟁을 치르면서 적대관계를 이어오고 있다.

1978년 레바논 내전 때는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게릴라 섬멸을 명목으로 레바논을 침공한 바 있다.

또 2006년에는 헤즈볼라와 이스라엘의 충돌로 레바논에서 민간인 등 약 1천200명이 숨졌고, 이스라엘에서는 약 160명이 사망했다.

이스라엘은 이란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으며 레바논 정치를 주도해온 시아파 무슬림 정파 헤즈볼라를 테러단체로 규정하고 있다.

[email protected]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제2차 레바논전쟁의 전쟁사적 함의

2006년에 발생한 제2차 레바논 전쟁은 34일간에 걸친 비교적 짧은 가건의 전쟁이었지만 그 충격은 컸다. 전쟁의 승패 요인 분석도 중요하지만 더욱 핵심적인 논의는 이 전쟁의 전쟁사적 함의였다. 첫째, 이 전쟁으로 인해 그동안 거의 모든 선진 군대가 추구하던 ‘효과중심작전’(EBO)이 사망선고를 받게 되었다. 둘째, 지상군의 역할과 임무에 대해서 심각하게 재고려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전쟁수행방식인 ‘하이브리드 전쟁’(Hybrid War)에 대한 논의가 급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국의 군대는 이를 각자의 실정에 맞게 적용하기 시작하였다.

The Second Lebanon War in 2006 lasting a short period of 34 days presents some tremendous impacts on history of war. This Israel-Hezbollah conflict started with a raid and kidnapping of Israeli soldier by the Hezbollah units and expanded to a war with the Israel’s retaliation. The way of war conducted by both sides was somewhat different between two unbalanced actors – one a state with top-ranked military power in the region, the other a group of militants with small guerilla forces, and in the end Israel did not achieve its war aim while Hezbollah earned what it intented – survival. After the war ended, two questions have caught researchers and military professionals who seek lessons. One is what happened, and the other is what impact this war left on history. This paper focuses on the second subject and draws three conclusions. First, it has bees apparent that the effect-based operations(EBO) alone not bring a win or success. Aa a result, US military declared in 2008 it would not rely on EBO doctrine anymore. Second, it became a leap-board to the ground forces which had been neglected since the Gulf War. Many states began to reconsider the mission and role of the ground forces. Lastly, The 2006 Lebanon War inspires the debates on the ‘new’ way of warfare and brings a ‘new’ discourse of the hybrid war to the history of war.

‘중동의 스위스’에서 내전에 폭발참사까지 레바논의 비극

고대 이후 교역의 허브였지만

기독교·무슬림 종파 15년 내전

그 이후 주변국 대리전장으로

최근엔 경제위기·코로나 겹쳐

4일(현지시각) 폭발 참사로 4천명이 넘는 사상자가 발생한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의 항구에서 구조대원들이 다친 남성을 구조하고 있다. 베이루트/AFP 연합뉴스

내전과 실패 국가의 상징이 된 레바논에 원자폭탄 투하를 떠올리게 하는 대형 폭발 사건까지 일어나며, 레바논의 재앙이 재조명되고 있다. 서양문명의 발원지인 레바논은 한때 ‘중동의 스위스’로, 수도 베이루트는 ‘중동의 파리’로 불릴 정도로 번영을 누렸다. 하지만 1970년대 중반부터 내전에 휩싸이며 ‘중동의 화약고’ 취급을 받고 있다.

레바논은 알파벳을 만드는 등 서양문명의 한 원류인 페니키아가 발원한 곳이다. 해상교역 세력인 페니키아는 지중해 일대에 식민지를 건설하고 지중해 교역을 주도했다. 그들이 북아프리카 지중해 연안에 세운 카르타고는 로마와 지중해 패권을 놓고 포에니 전쟁을 벌였다.

레바논 지역은 고대 이후부터 유럽과 중동, 아시아를 잇는 교역의 허브였다. 여러 민족과 세력, 종교가 어울려 사는 다양성이 중동 지역에서 가장 잘 보장된 배경이다. 오스만튀르크의 지배를 받다가 제1차 세계대전 뒤 프랑스 통치령을 거쳐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독립했다. 교역 중심지 성격에다 프랑스 직할통치의 영향으로 독립 이후 다양성과 개방 속에서 번영을 누렸다.

독립 이후 레바논에는 18개 민족종교 집단이 공인됐다. 이 가운데 마론파 기독교, 시아파 무슬림, 수니파 무슬림이라는 3대 종파가 권력을 분점했다. 인구 비율은 범기독교계와 아랍-무슬림계가 비슷했다.

하지만 이스라엘 건국으로 촉발된 팔레스타인 분쟁, 그에 따른 중동 분쟁의 파장 앞에 레바논의 다양성은 강점이 아니라 치명적 약점으로 바뀌었다. 무슬림 주민들의 출산율이 높은데다, 네차례 아랍-이스라엘 전쟁으로 팔레스타인 난민이 레바논으로 대거 유입됐다. 아랍-무슬림계 주민 비율이 늘면서 갈등과 긴장이 고조됐다. 1975년 마론파 기독교계 주민에 대한 테러가 발생했다. 이에 대한 보복으로 마론파 기독교계 정당인 팔랑헤당 무장조직이 팔레스타인 난민을 학살하면서 본격적인 내전이 촉발됐다.

당시 세계 냉전 구도와 겹친 내전은 서방 쪽에 기댄 기독교계와 사회주의권에 우호적인 좌파-범아랍세력-무슬림-팔레스타인 연합 사이의 대결로 진행됐다. 내전 과정에서 각 세력 사이의 이합집산이 거듭됐다. 시리아는 초기부터 레바논 정부의 요청으로 파병했고,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를 소탕하려고 레바논 남부를 점령하기도 했다.

내전은 1990년 타이프협정으로 공식 종료되기까지 15년6개월 동안 12만명의 사망자를 냈고, 100만명 이상의 국내외 난민을 발생시켰다. 타이프협정에 따라 권력분점안이 마련됐다. 마론파 기독교, 시아파, 수니파가 대통령, 의회 의장, 총리 직을 하나씩 맡게 됐다. 128석의 의회 의석은 기독교계와 무슬림이 반분하기로 했다. 모든 무장조직이 해체됐으나, 시아파의 헤즈볼라는 예외였다.

내전 뒤 헤즈볼라를 후원하는 이란의 영향력이 커지자, 이스라엘과 사우디아라비아가 레바논에 적극 개입하기 시작했다. 남부에서 준국가적 위상을 구축한 헤즈볼라를 소탕하려고, 이스라엘이 2006년 레바논을 침공했다. 이 전쟁에서 살아남은 헤즈볼라는 그 위상이 더 높아졌고, 그 후 이란을 대리해 시리아 내전 등 주변국 분쟁에 개입해왔다.

레바논은 지난해부터 극심한 경제위기에 빠져 있다. 40%에 육박하는 청년실업률 등 실업률은 25%, 주민의 3분의 1이 빈곤선 이하, 세계 3위의 국가부채율, 외화보유고 고갈 등에 시달려 반정부 시위가 지속됐다.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 구제금융 100억달러를 받기로 합의했으나, 코로나19 확산으로 사회·경제 활동마저 봉쇄돼 생필품을 구하기도 힘든 상황이다. 대폭발의 원인으로 거론되는 질산암모늄 2750t이 6년이나 항구에 적치돼 있었다는 사실이 레바논의 현실을 웅변한다.

정의길 선임기자 [email protected]

종파 정체성이 저지른 레바논 100년 내전

ⓒReuter8월4일 레바논 베이루트 항구에서 대규모 폭발이 발생했다.

8월4일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의 폭발은 끔찍했다. 여느 폭탄 테러에서도 보기 힘든 버섯구름에 세계는 경악했다. 일단 우발적 사고로 보이지만 의아하기 짝이 없다. 위험물질 질산암모늄 2750t을 안전장치 없이 6년간 항만 창고에 방치했다. 항만 사무소가 관계 당국과 법원에 6차례나 위험물에 대한 조치를 요구하는 공문을 보냈지만 반응은 없었다. 피해는 막대하다. 사상자 수가 계속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10월부터 극심해진 경제위기, 올해 코로나19 감염 확산에 이번 폭발 사건까지 겹치며 레바논은 총체적 난국이다. 폭발로 밀 보관창고가 날아가 식량위기도 가중될 전망이다.

정부는 우왕좌왕하고 있다. 총리를 포함해 내각이 총사퇴를 선언했지만 아무도 책임지고 수습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지 않는다. 퇴임하는 장관들이 자기가 속했던 정부의 무능을 비판하는 희한한 발언도 늘어놓고 있다. 피해 현장을 방문한 프랑스의 마크롱 대통령이 마치 레바논 지도자 같다는 푸념도 들린다. 정부를 극도로 불신하는 대중은 거리에서 ‘차라리 마크롱이 나서달라’고 요구하기도 한다. ‘실패 국가(failed state)’의 징후다. 도대체 뭐가 문제였을까? 레바논 문제의 본질은 경제가 아니다. 정치의 실패다. 연원은 100년 전 오스만제국(오토만제국) 패망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제1차 세계대전에서 승리한 영국과 프랑스는 패전국 오스만제국을 재편하며 신생국을 만들었다. 현대 중동의 시작이다. 영국은 요르단과 이라크 왕국의 수립을 주도했다. 혁명의 후예를 자임하는 프랑스는 레바논과 시리아 공화국의 탄생을 도왔다. 1926년 프랑스는 자국의 제3공화국 헌법을 본떠 레바논 헌법을 만드는 등 법과 행정 시스템을 정비하면서 레바논 건국을 준비해나갔다.

고민이 있었다. 레바논에는 종파가 너무 많았다. 본래 프랑스는 ‘마운트 레바논(레바논 중부 지역)’만을 염두에 두고 레바논 건국을 추진했다. 레바논 남부와 북부엔 각각 드루즈파(이슬람 계열)와 마론파(기독교 계열)가 세를 형성하고 있었다. 그런데 논의를 진행하며 레바논 국경의 범위가 넓어졌다. 베이루트를 포함한 북부 트리폴리, 시돈과 티르 등 지중해 해안 거점도시와 베카 계곡, 남부 리타니강 이남 지역까지 다 포함시켰다. 이른바 대(大)레바논, 현재 레바논의 영토다.

이로써 해안 및 남부에 살던 무슬림과 대도시의 기독교 소수 종파들까지 신생 레바논에 대거 편입됐다. 모두 18개 종파가 한데 묶이게 되었다. 당시 이슬람 수니파는 레바논 독립을 반대하며 끝까지 시리아로 통합되기를 원했다. 하지만 독립을 희구하던 레바논 정객들은 수니파를 설득했다. 결국 레바논 건국에 참여하는 모든 종파에게 일정한 권력을 붙박이로 보장해주었다. 각료직과 국회 의석수를 종파별로 고정하여 나누어 갖는 독특한 형태였다. 그래야만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었다.

종파 대표들은 1932년 시행된 인구조사에 따라 권력 분점을 합의했다. 구체적 내용은 1943년 국민협약에 담겼다. 협약은 의회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마론파 기독교도를 대통령으로 선출하고, 총리는 수니파, 국회의장은 시아파, 국회 부의장과 외교장관은 그리스정교, 국방장관은 드루즈파가 맡도록 못을 박았다. 국회 의석수는 기독교와 이슬람을 6대 5의 비율로 고정했다. 이른바 신앙 정체성에 입각한 ‘종파주의’ 또는 종파 간 ‘연합주의’라 불리는 독특한 레바논식 민주주의다. 모자이크 민주주의라 부르기도 한다.

국민협약은 단순히 권력구조만 다룬 것이 아니었다. 레바논의 국가 성격을 서양과 동양, 기독교와 이슬람이 공존하는 동서 문명의 화합으로 상정했다. 이에 따라 1943년 의회민주주의 공화정 세속국가 레바논이 출범했다. 후견국을 자임한 프랑스도 고무되었다. 중동의 신생국 중에서 이렇게 종파 간 공존이 명문화된 나라는 없었다. 사람들은 레바논이 중동의 모델 국가가 될 것이라 상찬했다. 그러나 형식적인 아름다움이 내면의 골을 메우지는 못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문제가 불거지기 시작했다.

이유는 간단했다. 인구구성이 변했다. 기독교인이 줄고 무슬림, 특히 시아파 인구가 늘어났다. 국민협약에서 권력을 배분한 근거는 1932년 실시했던 공식 인구조사다. 당시 레바논 인구 104만8383명 중 기독교도가 61만2790명(그중 마론파가 35만1197명)이었다. 반면 무슬림은 43만5593명으로 조사되었는데, 그중 수니파가 19만5305명, 시아파 16만6536명, 드루즈 6만2084명 등이었다. 기독교와 이슬람의 비율이 58.5%대 41.5%였던 것이다.

이후 공식 인구조사는 없었으나 추계에 따르면 1977년쯤엔 ‘기독교인 140만명 대 무슬림 170만’ 정도로 인구 역전이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무슬림 가운데서도 시아파가 대략 90만명에 이르게 되어, 마론파 기독교(80만명)와 수니파 무슬림(60만명)을 넘어서는 최대 다수 종파로 성장했다고 추측된다.

ⓒAFP PHOTO8월11일 폭발 참사에 대한 정부의 책임을 묻는 시위대가 돌을 던지고 있다.

오랜 세월 이어진 종파 간 간극

시아파는 인구조사를 요구했다. 그 결과에 따라 기독교 마론파의 우위를 명시한 국민협약을 개정하자는 것이었다. 사실 이 요구는 타당했다. 하지만 레바논 출범 당시 합의했던 레바논의 대의와는 거리가 있었다. 국민협약의 본질은 분쟁을 막기 위해 종파별로 권력을 분점하되 특정 정파의 편파적 이익 추구를 막고 국가 공동체의 이익을 우선하자는 데 있었다. 계약에 따라 다원적 정치체제의 균형과 질서 그리고 안정을 추구하자는 것이 목표였다.

그러나 초월적 신앙고백에 근거한 종파 간의 간극은 컸다. ‘레바논’이라는 국가 정체성은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이었지만, 종교는 오랜 세월 이어진 끈끈한 정체성이었다. 이 와중에 인구변화가 생겨나니 사달이 난 것이다. 문제의 근원은 더 심각한 데 있었다. 각 종파들이 해외의 자기 종파와 연대하게 되었다. 종파를 고리로 레바논 분쟁이 국제화되기 시작했다. 특히 중동 분쟁의 대표적 두 사안이 얽히며 레바논을 망가뜨렸다. 첫째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에 레바논이 말려들면서 시작된 내전이다. 내전은 1975년부터 1990년까지 베이루트를 초토화시켰다. 둘째는 이란을 중심으로 한 시아파의 공세적 개입과 헤즈볼라(레바논에 기반을 둔 이슬람 시아파 정치·군사 조직)의 문제다. 현재까지 레바논 정치 상황을 뒤흔들고 있다.

먼저 내전을 보자. 종파 균열이 서서히 불거지던 1970년대 초, 베이루트 외곽 난민촌에 자리 잡았던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 무장세력을 레바논 무슬림(특히 시아파)이 지원하면서 일이 꼬였다. 기독교 우파 세력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이스라엘을 불러들였다. 결국 1975년 4월 베이루트 외곽에서 무장 충돌이 일어나며 내전이 시작되었다. 이스라엘은 물론 시리아까지 개입했다. 이후 이스라엘이 레바논을 들락날락하게 되었다. 시리아군은 레바논 전쟁 억지를 명분으로 2005년까지 29년간 주둔하며 주권국가 레바논을 마치 식민지처럼 다뤘다.

최악의 내전 상황은 1982년 이스라엘의 2차 침공과 맞물려 벌어졌다. 이스라엘군은 레바논 남부를 거쳐 베이루트까지 진격했다. 레바논 기독교 민병대(팔랑헤)와 함께 PLO의 거점을 파괴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마론파인 바시르 제마엘 대통령 당선자가 피살되는 사건이 겹쳤다. 친이스라엘 대통령을 PLO가 사살했다는 오해는 레바논 기독교 민병대의 보복 공격을 불렀다. 1982년 9월16일 저녁, 기독교 민병대는 베이루트를 장악한 이스라엘군의 묵인 및 공조하에 베이루트 남부의 팔레스타인 난민촌을 급습했다. 이틀 동안 학살이 자행되었다. 기록에 따라 다르지만, 460명에서 3500명에 이르는 팔레스타인 난민들과 시아파 레바논인들이 살해당했다. 이른바 ‘사브라 샤틸라 사건’이다. 중동의 아랍인들이 이스라엘과 레바논 기독교도를 악마처럼 인식하게 된 계기다.

냉전이 끝날 무렵에야 내전도 종식되었다. 1989년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연맹이 주도하고 미국이 후원한 타이프 협정이 체결된다. 종파 대표들은 다시 마주앉았다. 이슬람 측의 불만을 누그러뜨리기 위해 기독교 대통령의 권한을 축소하고 각료회의의 권한을 높였다. 대통령의 총리지명권, 계엄선포권, 의회해산권을 폐지하면서 권력구도에 변화가 생겼다. 국회는 기독교와 이슬람 6대 5 비율에서 5대 5 동수로 바뀌었다. 수니파 총리의 권한이 괄목할 만하게 커졌고, 국회의 위상도 높아졌다. 나름 인구변화에 조응하는 권력 재조정이었고, 대통령·총리·국회의장의 권한이 균형을 맞췄다. 혹자는 이를 ‘3인 대통령 체제’라 부르기도 했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권한의 균형은 곧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 정치 행태로 이어졌다.

두 번째는 이란의 개입과 헤즈볼라 문제다. 1989년 타이프 협정은 종파 간의 갈등을 누그러뜨리지 못했다. 결국 헤즈볼라가 떠올랐다. 사실 종파 간 갈등이 극심하던 내전 중반기인 1983년부터 헤즈볼라는 힘을 드러냈다. 사브라 샤틸라 사건 이후 PLO가 약화되고 이스라엘도 레바논에서 발을 뺐다. 레바논은 내부 종파의 갈등으로 들끓고 있었다. 이즈음에 ‘혁명 이란’의 후원으로 등장한 강력한 시아파 정당이 바로 헤즈볼라다. 헤즈볼라는 레바논 내 시아파 집권을 추구하는 공식 정당이지만 동시에 무장 세력이기도 하다. 1983년부터 헤즈볼라는 중동 현대사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주요 행위자다. 베이루트에 있는 미국 대사관과 미군 해병대 주둔지에 대한 공격을 시작으로 2005년 2월 라피크 하리리 총리 폭살 사건까지 이어지는 일련의 테러와 연루되었다고 줄곧 의심받아왔다.

내전의 상흔을 극복하기 위해 1992년부터 고강도 경기부양책을 쓰며 레바논의 환골탈태를 꿈꿨던 하리리 총리의 피살은 레바논을 뒤흔들었다. 2000년 선거에서 총리로 복귀한 하리리는 시리아의 영향력으로부터 벗어나려 했다. 마침 미국이 9·11 이후 ‘테러와의 전쟁’을 선언하면서 시리아가 적성국가로 분류되던 시기였다. 수니파의 대표였던 하리리는 기독교권 및 드루즈파를 설득해 ‘반(反)시리아-반(反)시아파’ 연대를 구축하려 했다. 물론 미국은 하리리를 지원했다.

그러나 헤즈볼라의 소행이라고 알려진 테러로 하리리가 허망하게 숨지자 국민들이 거리로 나섰다. ‘반(反)헤즈볼라-반(反)시리아’ 시위대가 베이루트 순교광장을 가득 채웠다. 그 규모가 무려 100만명을 웃돌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결국 시리아는 국제사회의 압박에 못 이겨 철군을 선언했다. 헤즈볼라도 레바논 정치에서 힘을 잃는 듯 보였다. 수니파와 기독교파는 이제야 비로소 레바논 정치를 안정시킬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기대를 갖게 되었다.

기대는 오래가지 않았다. 2006년 7월 헤즈볼라와 이스라엘 간 무력 충돌로 레바논 전쟁이 시작되면서 상황은 뒤바뀌었다. 이스라엘은 33일간 시아파 거점인 남부 레바논과 남베이루트를 초토화시켰다. 당시 부시 행정부는 이스라엘의 공격을 지지했다. 헤즈볼라라는 위험 세력을 제거할 기회로 여겼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란의 지원을 받는 헤즈볼라의 버티기는 끈질겼다. 결국 레바논 민간인의 피해가 크게 늘어나면서 국제사회의 압력으로 교전은 중단되었다. 이스라엘과 미국의 헤즈볼라 제거 목표는 무위로 돌아갔다. 다시 부상한 헤즈볼라는 ‘기독교와 수니파의 친미·친서방 기조는 이스라엘 편들기’라고 질타하며 여론 반전을 주도했다. 기독교와 수니파의 협공에 위협을 느끼던 온건 시아파 세력들도 헤즈볼라와 함께했다. 시아파 각료들은 내각에서 전원 사퇴했다. 시아파 국회의장인 나비 베리는 일체의 회의 소집을 거부하며 정국을 마비시켰다.

이후 아랍의 봄, 시아파 벨트(이란-이라크-시리아-레바논의 헤즈볼라) 형성, 내전, IS(이슬람국가:이슬람 근본주의를 표방하는 테러단체) 등장 등 일대 혼란기를 거치면서 헤즈볼라는 견고한 조직으로 자리 잡게 된다. 밖으로는 이란과 연대하여 시리아 내전과 이라크 등에 개입하면서 투쟁력을 키웠다. 국내에서는 통치 역량을 학습했다. 현 미셸 아운 대통령은 기독교도임에도 불구하고 친서방 성향의 수니파보다는 친헤즈볼라 성향을 보이는 등 시아파의 영향력이 높아진 상황이다. 그러나 어느 종파도 레바논 전체를 아우르며 국가 공권력과 행정력을 통제하지 못했다. 헤즈볼라는 자신의 거점인 남부 레바논과 베이루트 남부 등 일부 지역에서 자기들만의 나라를 운용하는 듯했다. 그나마 헤즈볼라는 병원, 학교, 복지 시스템 등을 갖춰 시아파들에게 배타적으로 제공했지만 다른 종파는 그 정도도 해내지 못했다. 이번 항만 폭발 사건은 레바논이 국가 전체 시스템 문제를 누구 하나 책임지지 않는 나라라는 사실을 극적으로 드러냈다. 이 난맥상은 이토록 오래 묵은 레바논 정치의 모순에서 기인했다고 볼 수 있다.

합리적인 정치체제라고 믿어졌던 레바논의 추락은 종파 사이의 벽 때문이다. 종파적 정체성에 함몰되어 국민국가를 만들어내지 못한 것이다. 1943년 국민협약의 정신은 단순히 싸움을 회피하기 위해 권력을 나눈 것이 아니었다. 물리적 분점을 통해 공존과 대화를 이끌어내어 종국에는 유기적 결합에 이르고자 했다. 그러나 목표를 상실하면서 레바논은 정상적인 국가 건설의 궤도에서 이탈하게 되었다.

어떤 제도가 레바논을 구할까

더 큰 비극은 종파 분열을 틈타 국제정치가 국내정치로 침투한 것이다. 레바논 내 종파 간 대화보다 외국 동일 종파와의 연대가 훨씬 더 강하게 작동하며 나라를 엉망으로 만들어버렸다. 특히 중동의 대표적 두 문제인 ‘이팔(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과 ‘이란 주도의 시아파 네트워크’가 레바논 내부로 틈입해 나라를 뒤흔들었다. 레바논은 이팔 분쟁이 폭발하는 장소이자 중동 시아파들이 연대하는 공간으로 전락해버렸다.

항만 폭발 사건 이후 시민들은 다시 거리로 쏟아져 나와 정치인들의 부정부패와 지도자들의 무능을 질타하고 있다. 내각은 총사퇴했고 전문가들은 레바논의 미래에 관해 분석과 전망을 내놓는다. 그들이 한결같이 하는 말은 다음과 같다. “사람 바꾸는 게 답이 아니다. 정치제도의 근본을 바꾸어야 한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레바논 전쟁

다음은 Bing에서 레바논 전쟁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8회 무삭제 확장판] 내전과 난민이 만든 비극, 1982년 레바논 전쟁 ㅣ 뉴스멘터리 전쟁과 사람 / YTN life

  • 뉴스멘터리
  • 전쟁사
  • 국방
  • 국방티비
  • 토크멘터리 전쟁사
  • 토크멘터리
  • 이슈
  • issue
  • news
  • 뉴스
  • 다큐
  • 다큐멘터리
  • 북한
  • 한국
  • 남한
  • 사람
  • people
  • person
  • documentary
  • comingsoon
  • 인류
  • 역사
  • history
  • 세상
  • 문명
  • newsmentary
  • ytn
  • ytnlife
  • 와이티엔
  • 라이프
  • 뉴스멘터리 전쟁과 사람
  • 정전협정
  • 뉴전사
  • 67주년
  • 밀리터리
  • 임용한
  • 이세환
  • 허준
  • 흑사병
  • 세계대전
  • 독감
  • 스페인독감
  • 감기
  • 재앙
  • 사망자
  • 밀리터리엠
  • 역사공부
  • 역사이야기
  • 태상호
  • 태상호기자
  • 미국무부
  • 영국
  • 네덜란드
  • 영란
  • 향신료
  • 향신료무역
  • 해상
  • 무역
  • 해상무역
  • 영란무역
  • 도버해협
  • 항해조례
  • 시리아
  • 레바논
  • 내전
  • 난민
  • 비극
  • 이스라엘
  • 팔레스타인
  • 팔레스타인 무장기구
  • 베카계곡
  • 베이루트
  • 지중해무역
  • 페니키아문명
  • 중동
  • 토전사
  • YTN
[8회 #무삭제 #확장판] #내전과 #난민이 #만든 #비극, #1982년 #레바논 #전쟁 #ㅣ #뉴스멘터리 #전쟁과 #사람 #/ #YTN #life


YouTube에서 레바논 전쟁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8회 무삭제 확장판] 내전과 난민이 만든 비극, 1982년 레바논 전쟁 ㅣ 뉴스멘터리 전쟁과 사람 / YTN life | 레바논 전쟁,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