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의 특성 | [신의 한 수_7분 국어]문법_언어의 특성 108 개의 자세한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언어 의 특성 – [신의 한 수_7분 국어]문법_언어의 특성“?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ppa.maxfit.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maxfit.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신의 한 수]신한수 국어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2,020회 및 좋아요 48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언어의 특성은 기호적 특성 5가지(자의성, 사회성, 역사성, 분절성, 추상성)와 구조적 특성 3가지(규칙성, 체계성, 창조성)로 나눌 수 있다. 언어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고, 실제 국어 생활에서 실례를 찾아 그 특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언어 의 특성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신의 한 수_7분 국어]문법_언어의 특성 – 언어 의 특성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 Advanced Korean Grammar: This is the basic grammar that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earn at school.
[Language Characteristics]examines the arbitraryity of language, sociality of language, historicality of language, palatability of language, regularity of language, and creativity of language.
[언어의 특성]에서는 언어의 자의성, 언어의 사회성, 언어의 역사성, 언어의 기호성, 언어의 규칙성 그리고 창조성을 살펴봅니다.
[신의 한 수]신한수 국어 블로그(Learning Korean and Korean Literature Blog)
https://blog.naver.com/prologue/PrologueList.nhn?blogId=kstcher\u0026parentCategoryNo=134
[신의 한 수]신한수 국어 유튜브(Learning Korean and Korean Literature YouTube)
https://www.youtube.com/channel/UCO4oU_K3CcNRFpwoi4MjN5A?sub_confirmation=1

언어 의 특성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2. 언어와 국어 / 언어의 특성 – 네이버 블로그

사전의 정의를 보면 언어의 의미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는 것을 알 수 … 자의성(국어사전): 언어에서, 소리와 의미의 관계가 필연적이지 않은 특성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1/3/2021

View: 9944

언어의 본질 – 언어의 특성 – 푸른행복의 이야기 마을

언어의 본질 – 언어의 특성 · 기호성(記號性) · 자의성(恣意性) · 사회성(社會性) · 역사성(歷史性) · 분절성(分節性) · 추상성(抽象性) · 규칙성(規則性).

+ 더 읽기

Source: happien.tistory.com

Date Published: 12/7/2022

View: 7866

1강. 언어의 본질과 특성

언어가 가진 여러 가지 기능을 파악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언어의 내용과 형식. 1강. 언어의 본질과 특성. 중1을 위한 국어 문법 총정리 특강 …

+ 여기를 클릭

Source: edu.ingang.go.kr

Date Published: 11/14/2021

View: 9122

언어의 특성 (기호성, 자의성, 역사성, 사회성, 창조성, 법칙성)

언어의 특성에는 기호성, 자의성, 역사성, 사회성, 창조성, 법칙성이 있다. ○ 언어의 기호성 언어는 뜻을 담고 있는 부분(사과나무의 열매 – 의미)과 …

+ 여기에 표시

Source: poof31.tistory.com

Date Published: 11/2/2022

View: 8723

문법, 언어의 특성, 자의성, 사회성, 역사성, 분절성, 창조성 …

01 언어의 특성 · 1) 언어의 자의성 <'恣(마음대로 자)' + '意(뜻 의)'> ① 소리와 의미의 관계가 필연적이지 않은 특성을 말한다. · 2) 언어의 사회성 · 3) …

+ 여기에 보기

Source: adipo.tistory.com

Date Published: 4/12/2022

View: 9331

언어의 역사성 – 나무위키:대문

언어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생성, 변화, 소멸하는 특성을 뜻한다. 언어의 사회성 문서에서 볼 수 있듯, 언어의 뜻에는 언중들 간에 존재하는 사회적 …

+ 여기를 클릭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4/7/2022

View: 1741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언어 의 특성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신의 한 수_7분 국어]문법_언어의 특성.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신의 한 수_7분 국어]문법_언어의 특성
[신의 한 수_7분 국어]문법_언어의 특성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언어 의 특성

  • Author: [신의 한 수]신한수 국어
  • Views: 조회수 2,020회
  • Likes: 좋아요 48개
  • Date Published: 2020. 6. 24.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PksvpWzT24A

2. 언어와 국어 / 언어의 특성

위의 내용은 사전에서 언어를 검색한 것입니다

사전의 정의를 보면 언어의 의미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음성

두 번째, 문자

세 번째, 음성이나 문자의 사회 관습 체계

국어사전에서는 이 세 가지를 언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음성과 문자는 비교적 이해하기가 쉽습니다

음성은 우리 입에서 나오는 말을 의미하고, 문자는 우리가 손으로 펜을 잡고 쓰는 글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세 번째 의미인, 음성이나 문자 따위의 사회 관습적인 체계는 조금 이해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내용을 나눠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음성의 사회 관습적인 체계, 문자의 사회 관습적인 체계

관습의 의미는 한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이 인정하는 규칙입니다

관습은 사회 규칙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내용을 다시 쉽게 바꿔 보면

음성의 사회 규칙 체계, 문자의 사회 규칙 체계가 됩니다

이것을 더 쉽게 풀어 보면 한 사회에서 사용하는 음성 규칙 체계, 한 사회에서 사용하는 문자 규칙 체계라고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한 사회에서 사용하는 음성과 문자 규칙 체계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바로 문법입니다

그러니까 언어는 음성(말), 문자(글), 음성이나 문자의 사회 관습 체계(문법)

이렇게 세 가지라는 것을 기억해 두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인간이 언어를 사용하는 목적은 의사소통입니다

다시 한번 사전의 의미로 돌아가 보면 제일 처음에 ‘생각, 느낌 따위를 전달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리고 생각과 느낌을 전달할 때 사용하는 수단이 음성, 문자, 문법이라고 했습니다

누구나 자신의 생각을 타인에게 전달하고 싶어 하고,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고 싶어 합니다

이때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수단이나 도구로 음성과 언어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음성은 사람의 기관을 통해 내는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소리를 말하며 자음과 모음으로 나뉩니다

예를 들어 입으로 ‘[bap]’라고 말한다면 이것은 각각의 음성 ‘[b], [a], [p]’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음성입니다

그리고 ‘[bap]’에서의 자음은 ‘[b]’와 ‘[p]’이고 모음은 ‘[a]’입니다

문자는 인간이 언어를 적는 데 사용하는 시각적인 기호 체계로 우리 국어에서는 ‘한글’이 바로 문자입니다

예를 들어 글로 ‘밥’이라는 문자를 쓴다면 이것은 각각의 문자 ‘ㅂ’, ‘ㅏ’, ‘ㅂ’이 결합되어 만들어진 문자입니다

그리고 ‘밥’에서의 자음은 첫 ‘ㅂ’과 마지막 ‘ㅂ’이고 모음은 ‘ㅏ’입니다

2. 국어

언어의 본질 – 언어의 특성

반응형

언어의 본질 > 언어의 특성

■ 기호성(記號性)

언어는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과 그것을 나타내는 ‘형식’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언어의 특성을 기호성이라고 한다.

기호는 뜻과 그것을 나타내는 형식이 결합되어 만들어진다. 신호등의 빨간불은 멈추라는 의미와, 파란불은 건너라는 의미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신호등은 기호이다. 마찬가지로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도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 음성이나 문자 같은 형식과 결합하여 있는 것이므로 기호의 한 종류이다. 즉, 언어도 기호이기 때문에 형식과 의미로 분석되는 성질(이원성)을 지닌다는 것이다.

❚기표(signifiant)와 기의(signifi) 소쉬르(Saussure, F.)는 언어의 ‘형식’을 기표(signifiant:시니피앙)로, 그것이 의미하는 ‘개념’을 기의(signifi:시니피에)로 구분하여 언어의 기호적 특성을 설명하였다. 이때 소쉬르는 언어의 기표는 물리적 음성이 아닌 심리적으로 인식된 ‘청각 영상’이라고 하였으며, 기의는 기표에 의해 의미되거나 표시되는 이미지와 대상의 개념 또는 의미하는 바로 설명하였다. 기표와 기의 개념은 4~5차 교육과정 문법 교과서에서 ‘형식(=기표)과 내용(=기의)’이라는 용어로 설명된 바 있다.

■ 자의성(恣意性)

언어의 내용과 형식 사이에는 필연적인 관련이 없다는 특성을 언어의 자의성이라 한다.

언어의 자의성은 언어의 기호성과 관련하여 생각할 수 있다. ‘나무’라는 말은 [나무]라는 말소리와 이 소리가 나타내는 뜻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기호이지만, 이때 말소리와 의미 사이에는 아무런 필연적인 관계도 없다. 이러한 특성은 같은 사물이 언어마다 다르게 표현되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이는 특정한 의미가 꼭 특정한 말소리로 나타나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자의적 특성을 보여준다.

❚자의성과 의성어(擬聲語) 자의성의 반례로, 언어의 형식과 의미가 일대일로 대응되는 경우를 상정해 볼 수 있다. 가령 의성어(멍멍, 꼬끼오, 땡땡 등)는 의미와 형식이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어휘는 극소수에 불과하며, 그것도 엄밀히 말하면 일대일로 대응하는 것으로 보기 어렵다. 예를 들어 개가 짖는 소리를 국어에서는 ‘멍멍’이라 하나, 영어에서는 ‘bow-wow’라고 하는 등 표현이 일치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언어의 형식과 의미는 자의적, 임의적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자의성의 장점과 단점 장점 : 자의성 때문에 인간은 풍부하고 다양하게 언어 생활을 할 수 있고, 언어 기호는 실제 사물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을 알게 되어 의사소통에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단점 : 언어 학습에서 기억에 부담을 주게 된다.

■ 사회성(社會性)

언어의 내용과 형식이 한 사회의 약속으로 굳어지면 임의로 바꿀 수 없다는 특성을 언어의 사회성(=불역성)이라 한다.

언어에 자의성이 있다 해도, 사회적인 의사소통 수단으로서 수용된 후에는 어느 한 개인이 마음대로 말소리와 의미의 관계를 바꿀 수 없다. 비록 언어에서 음성과 의미의 결합이 자의적일지라도, 그 언어 기호를 공유하지 않으면 공동체 안에서 의사소통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즉, 한 언어는 그 언어를 사용하는 공동체의 산물로서 존재한다.

■ 역사성(歷史性)

언어의 역사성(=가역성)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물과 말소리의 관계가 바뀔 수 있음을 나타내는 말이다.

언어가 사회적인 약속으로서 정해진 기호임에도 불구하고 여러 사람들이 오랜 기간에 걸쳐 사용하는 동안에 단어의 소리나 의미가 변화하는 경우를 찾아볼 수 있다.

❚사회성과 역사성의 이해 사회성은 ‘바꿀 수 없다’는 불역성을, 역사성은 ‘바꿀 수 있다’는 가역성을 전제로 하는 개념으로, 일견 모순 관계에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사회성은 한 개인이 임의로 언어의 기호 체계를 급진적으로 바꿀 수 없음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역사성도 언어 변화는 한 개인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언어가 존재해 온 시간과 공간, 언어를 사용하는 공동체 등 언어를 둘러싼 여러 요인의 영향으로 점진적으로 일어나는 것임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사회성과 양립할 수 있다.

■ 분절성(分節性)

언어 기호는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있는 세계를 불연속적인 것으로 끊어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언어의 분절성이라 한다.

언어의 분절성은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먼저 언어가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말소리(음성)를 사용하는 데에서 발생하는 분절성이 있다. 말소리의 파형을 떠올려 보면 특별하게 나누어지는 부분을 찾아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말소리를 듣고 음운 하나하나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언어로 개념을 표현하는 방식에서도 분절성을 찾아볼 수 있다. 자연에 존재하는 각종 사물에는 뚜렷하게 경계가 있지 않음에도, 우리는 언어를 사용하여 분절적으로 대상을 파악한다.

❚분절성의 예 [말]이라는 단어는 한국어를 구사하는 사람이라면 특별한 연상 과정 없이도 ‘ㅁ, ㅏ, ㄹ’로 나누어[분절]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사람의 ‘팔’ 중에서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손이고 손목인지 명확한 구분은 없지만, ‘손목’이라는 언어를 통해 손과 손목의 경계를 나누어[분절] 이해할 수 있다. 무지개의 경우 ‘빨, 주, 노, 초, 파, 남, 보’의 실제 색깔 사이의 경계는 분명하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무지개를 위의 7가지 색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그리고, 매년 12월 31일과 다음 해 1월 1일 사이의, 시간의 흐름에 어떤 분명한 경계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는 그 사이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기도 한다.

■ 추상성(抽象性)

서로 다른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대상들 사이에서, 공통되는 속성을 추출하는 과정을 통해 어떠한 개념이 언어로 형성되는 특성을 언어의 추상성이라 한다.

예를 들면 ‘꽃’이라는 말소리는 ‘민들레꽃, 무궁화꽃, 장미꽃’등 무수한 꽃들 사이에서 뽑아낸 공통 속성을 가리키는 말인 것이다.

❚추상성의 특징 ․ 추상화 과정에서 대상을 한번만 묶어 표현하고 끝내는 것만이 아니라 묶인 것을 다시 묶기도 한다. ․ 처음부터 추상적인 것에서 다시 추상해 낸 개념들이 있다. 이들은 단어가 가리키는 형상이 얼른 떠오르지 않는다 예) 진실, 허위, 지배, 복종, 함축, 내포, 포괄 등 ․ 고유명사들은 지시 대상이 단 하나이기 때문에 공통적인 속성을 뽑아 내는 추상화의 과정을 거친 것이 아니다.

■ 규칙성(規則性)

언어를 이루는 요소들이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결합되거나 배열되는 성질을 언어의 규칙성이라 한다.

국어의 문장들은 일정한 규칙을 갖고 있다. 이는 언어의 구조를 계열관계와 통합관계로 분석해 봄으로써 살펴볼 수 있다. 같은 위치에 바꿔 들어갈 수 있는 말들의 관계를 계열관계라고 하며, 서로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는 말들 간의 관계를 통합관계라고 한다. 통합관계는 결합관계라고도 한다.

■ 체계성(體系性)

언어의 각 요소가 무질서하게 존재하지 않고 일정한 원리에 따라 조직되어 있는 성질을 체계성이라고 한다. 언어의 각 요소는 다른 요소들과 관련성을 맺으면서 일정한 체계를 이루고 있다.

또한 어휘의 의미 측면에서도 체계를 찾아볼 수 있다. 우리는 언어를 기억할 때 우리도 인식하지 못하는 체계적인 인지 구조를 통해 언어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사하고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버지’, ‘어머니’, ‘아들’, ‘딸’은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말로서 하나의 체계를 이루고 있을 뿐 아니라, 모두 [+인간]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이들 중 ‘아버지’와 ‘어머니’는 [+부모], ‘아들’과 ‘딸’은 [-부모], ‘아버지’와 ‘아들’은 [+남성], ‘어머니’와 ‘딸’은 [-남성]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고, ‘아버지’는 [+남성], ‘어머니’는 [-남성] 등의 차이점을 가지고 체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규칙성과 체계성의 이해 언어에서 발견되는 규칙을 종합해 보면 언어에 체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물, 직면, 속내, 국내’와 같은 단어의 발음을 관찰해 보면 첫 음절의 ‘ㄱ’이 항상[ㅇ]으로 변하고, 여기에는 두 번째 음절 ‘ㅁ’과 ‘ㄴ’이 영향을 끼친다. 그렇다면 이들 네 자음은 다른 자음들보다 서로 영향을 더 쉽게 끼칠 수 있는 가까운 관계에 놓여 있으리라 추정할 수 있다. 즉, 자음들이 어떠한 ‘체계’를 이루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는 것이다.

■ 창조성(創造性)

인간은 음운을 통해 단어를 만들고, 단어를 조합하여 자신이 한 번도 사용하지 않은 문장을 무수히 만들어 낼 수 있다. 이를 언어의 창조성이라 한다.

언어의 창조성은 언어가 유한한 자원을 이용하여 내용을 무한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롯된다. 국어의 음운은 자음, 단모음, 반모음을 합쳐 30여 개에 불과하다. 이 제한된 음운을 가지고 우리는 새로운 단어와 문장을 끊임없이 만들어 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언어의 규칙성이 작용하는데, 언어의 규칙 또한 무한하지 않다. 즉 우리는 제한된 말소리와 유한 수의 규칙을 이용해 우리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언어의 도상성(圖像性)

언어의 도상성은 교육과정이나 학교 문법에서 다루고 있는 개념은 아니나, 기호학이나 언어학에서 다루고 있는 개념이다. ‘사람-사람들’처럼 형식인 ‘음성’과 내용인 ‘의미’의 복잡성이 일치되는 특성을 도상성이라 한다. ‘사람’보다는 의미적으로 ‘사람들’이 양적으로 많고, 형태적으로도 ‘사람들’의 단어 길이가 더 길다는 점에서 도상성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 – 개념이 있는 국어완성(금성출판사) – 학교문법의 탐구(유광재) – 학교문법론(이관규)

728×90

반응형

언어의 특성 (기호성, 자의성, 역사성, 사회성, 창조성, 법칙성)

반응형

언어의 특성에는 기호성, 자의성, 역사성, 사회성, 창조성, 법칙성이 있다.

● 언어의 기호성

언어는 뜻을 담고 있는 부분(사과나무의 열매 – 의미)과 그것을 소리로 나타낸 부분(‘[ᄉㅏᄀㅘ]’ – 음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음성을 이루는 부분을 언어의 형식(形式)이라 하고, 의미를 이루는 부분을 언어의 내용(內容)이라 한다. 모든 언어는 뜻(의미)과 그것을 표현하는 형식, 즉 언어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언어의 기호성이라고 한다.

● 언어의 자의성

언어에서 이러한 ‘의미’와 ‘음성’의 결합에는 어떤 법칙이나 필연적인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니라 같은 언어 사용자들끼리의 약속으로 인해 정해진다. 그러므로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데 나라마다 각기 다른 음성이 결합된다. 언어의 이러한 특성을 ‘언어의 자의성(恣意性)’이라고 한다.

예) 우리가 아무리 활활 타고 있는 물체를 뜯어봐도 거기에서 ‘불’이나 ‘fire’라는 특성을 찾을 수 없습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사회적 약속을 통해 그것을 ‘불’이라 하고, 영국인은 ‘fire’라고 합니다. 이것이 바로 언어의 자의성입니다.

● 언어의 사회성

하나의 언어사회 내에서 어떤 개념을 특정한 소리를 사용하여 지시하자는 약속이다. 언어는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사이의 약속이다. 우리의 침대를 프랑스 사람들은 ‘리’라고 하고 우리의 책상을 미국인은 ‘데스크’란 음성을 쓰기로 서로 약속이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한 개인이 이 약속을 마음대로 바꿀 수는 없다. 그래서 불역성(不易性)이라고도 한다.

예1) 누군가 ‘왜 멍멍 짖는 동물을 [개]라고 하지? 나는 오늘부터 [개]를 [내]라 해야 겠다’고 해도 [개]를 [내]로 바꿀 수는 없다. 그 사회 구성원인 언어 사용자 간에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예2) 옛날에는 칠판이 검은색이어서 흑판이라고도 불렀다. 요즈음에는 시각적으로 부드러운 느낌을 주기 위해 칠판이 녹색으로 바뀌었는데, 그렇다고 해서 녹판이라고 하지는 않는다. 칠판의 색깔이 녹색으로 바뀌었다고 해도, ‘흑판’이라는 말이 그 사회 구성원의 약속이기 때문이다.

● 언어의 자의성과 사회성

음성과 의미의 결합에 있어서 어떤 필연적인 연유가 존재하지 않으며, 그 사회 구성원들의 계약에 의해 음성과 의미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결국, 자의성과 사회성은 별개의 개념이 아니다.

한국인 – ‘책’ , 미국인 – ‘book’

언어가 하나의 뜻에 반드시 정해진 하나의 음성이 결합되는 것이라면 전 세계의 언어는 오로지 하나만이 존재했을 것이다.

● 언어의 역사성

언어는 사회적 약속에 의해 성립되지만 모든 언어는 항상 변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시대의 흐름과 환경에 따라 사회적 약속이 변하여, 형태와 의미가 새로 만들어지고, 변화하고, 없어지기도 한다.

예1) 옛날에는 100을 온이라고 했는데, 지금은 백이라고 하며, 온은 ‘모든’을 뜻하는 말로 변하였다. 천(千)을 나타내던 ‘즈믄’이라는 말도 현대에는 쓰이지 않는다.

지체높은 양반을 부르던 ‘영감’이라는 말을 지금은 남자노인을 일컫는 말로 변하였다.

예2) 새로 생긴 단어 : 컴퓨터, 인터넷, 지하철, 신용카드, 아파트 등…

예3) 뜻이 바뀌거나 형태가 바뀐 단어

어엿브다(어여쁘다) : 불쌍하다 >> 예쁘다

어리다 : 어리석다 >> 나이가 어리다.

예4) 없어진 단어

얼다(사랑하다), 녀름짓다(농사짓다)

● 언어의 창조성

언어는 자체적인 결합에 의해 무수한게 많은 문장과 단어로 창조된다.

창조성(創造性) 한정된 음운이나 어휘를 기지고 무한한 단어와 문장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예> 인간은 새 물건(예: 컴퓨터)을 만들어 내거나 또는 새로운 생각(예: 조지훈의 시 ‘승무’에 나오는 나빌레라) 하게 되면 이에 적합한 언어를 만들어 낸다. 문장도 얼마든지 길게 만들어 낼 수 있다

(예: ‘장미’→ ‘아름다운 장미’→ ’매우 아름다운 장미’→ ‘참으로 아름다운 장미’ 등)

● 언어의 법칙성

모든 언어에는 일정한 규칙(문법)이 있다.

[어법과 문법]

일단 문법은 언어를 사용하는 기본적인 법칙인데, 쉽게 말한다면 대화를 이루기 위해 단어들을 사용하는 굵직 굵직한 법칙(또는 규칙)을 말한다. 즉 영어의 경우에는 주어-서술어-목적어의 순서로 결합하여 문장을 이루지만 우리 말은 주어-목적어-서술어의 순서로 문장을 이루게 된다. 이렇게 문장을 만들어내는 규칙을 문법이라고 한다.

어법은 이것을 실제로 말하는 방법을 뜻한다. 문법은 말을 만드는 규칙이지만, 어법은 그 말을 실제 생활에서 활용하는 방법을 의미하게 된다.

예로 든다면 “그 아이는 예쁜 중이다.”라는 표현은 문법적으로는 하자가 없지만, 형용사인 “예쁘다”는 현재진행으로 사용하지 않으므로 어법에는 맞지 않는 표현이 된다. 어법에 맞게 고치려면 “그 아이는 예쁘다.”와 같이 바꾸어야 한다.

표기법은 말 그대로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를 문자로 기록하는 방법에 대한 규정을 말한다. 우리말의 경우는 “발음대로 적되, 원래 형태를 밝혀 적는다”라고 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서 본다면 “꽃이 피었다”를 발음대로 적는다면 “꼬치 피였다”라고 해야 되지만

이럴 경우 “꽃”을 말하는지 “꼬치(요리의 종류)” 구별이 애매해지기 때문에(문자로 표기했을 경우를 뜻합니다.)

규정을 만들고 이에 맞도록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게 되는 것이다.

# 언어의 특성 언어의 특성 정리

반응형

문법, 언어의 특성, 자의성, 사회성, 역사성, 분절성, 창조성, 기호성, 규칙성

반응형

제1장 언어와 국어의 특성

01 언어의 특성

1. 언어와 인간

– 호모 로퀜스(Homo loquence) : 인간과 동물을 언어의 유무로 구별할 때.

– 호모 그라마티쿠스(Homo grammaticus) : 인간 중에서도 언어를 문법적 틀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는가 구별할 때.

– 광의의 언어 : 음성언어, 문자 언어, 몸짓, 손짓, 표정, 신호 등 사람의 의사를 표현하는 모든 수단을 일컫는다.

– 협의의 언어 : 사람의 발음 기관을 통해 나오며 분절음으로 구성된 언어만 일컫는다.

2. 언어와 국어

1) 언어

언어 → 음성( 말 ), 문자( 글 ), 음성이나 문자의 사회 관습 체계( 문법 )

① 언어는 생각, 느낌 따위를 나타내거나 전달하는 데에 쓰는 음성, 문자 따위의 수단. 또는 그 음성이나 문자 따위의 사회 관습적인 체계.

② 언어 사용의 목적은 의사소통이다.

③ 의사소통에는 물리적인 수단(음성, 문자)이 필요하다.

④ 음성: 사람의 발음 기관을 통해 내는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소리(자음, 모음)

예) [bap] = [b] + [a] + [p]

⑤ 문자: 인간이 음성 언어를 적는 데 사용하는 시각적인 기호 체계(한글)

예) 밥 = ㅂ + ㅏ + ㅂ

2) 국어

① 한 나라의 국민이 쓰는 말

② 한국인에게 국어는 한국어 / 일본인에게 국어는 일본어

③ 국어는 모국어와 외국어로 나뉜다.

(한국 사람 기준) 모국어 = 한국어 / 외국어 = 한국어를 제외한 모든 언어

3. 언어의 특성

1) 언어의 자의성 <‘恣(마음대로 자)’ + ‘意(뜻 의)’>

① 소리와 의미의 관계가 필연적이지 않은 특성을 말한다.

② 언어와 사물(의미) 또는 언어와 어떤 실체(의미)의 관계는 정해진 것이 없다.

예) 각 언어의 ‘사과’ 단어

한국어 – 사과[sagwa] / 영어 – apple[æpl] / 중국어 – 苹果 [píngguǒ]

2) 언어의 사회성

① 사회성은 소리와 의미의 관계가 사회적으로 약속된 것이기 때문에 개인의 마음대로 바꿀 수 없는 특성을

말한다.

예) ‘스마트폰’을 들었을 때 생각나는 것은 인터넷을 할 수 있고 전화도 할 수 있는 작은 기계

② 언어는 사회적인 약속이기 때문에 개인이 혼자 사회적인 약속을 바꿀 수 없다.

3) 언어의 역사성

① 역사성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단어의 소리와 의미가 변하거나 문법 요소가 변화하는 특성을 말한다.

②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새로운 단어나 문법이 생기고, 변하고, 사라져 없어진다.

예) 새로운 단어 – 핸드폰 / 변한 단어 – ‘짜장면’ / 사라진 단어 – 온(100), 즈믄(1000)

4) 언어의 분절성

① 분절성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있는 세계를 불연속적으로 끊어서 표현하는 특성을 말한다.

예) 색 – 빨, 주, 노, 초, 파, 남, 보 / 시간 – 시, 분, 초 / 계절 – 봄, 여름, 가을, 겨울

② 색, 시간, 계절은 정확하게 나눌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언어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분절해야 한다.

5) 언어의 창조성

① 창조성은 한정된 소리와 글자로 무한한 문장을 만들 수 있다는 특성을 말한다.

② 모든 언어에는 자음과 모음이 있고 자음 모음을 표현하는 기호가 있는데 한정된 기호로 무한한 문장을

만들 수 있다.

– 한국어의 경우 자음 19개, 모음 21개로 40개의 자음 모음이 있지만 매일 새로운 문장을 만들 수 있다.

반응형

6) 언어의 기호성

① 기호성은 언어가 음성·문자 기호를 가지고 있다는 특성을 말한다.

② 언어는 그 언어를 표현해 주는 기호를 가지고 있다.

예) ‘봄’ = 음성 기호 ‘b + o + m’ / 글자 기호 ‘ㅂ + ㅗ + ㅁ’

③ 이 기호는 사회 구성원과 약속되어 정해진 표현 전달 도구이다.

7) 언어의 규칙성

① 규칙성은 언어가 문법적·의미적 규칙을 가지고 있다는 특성을 말한다.

② 한국어의 문장은 기본적으로 ‘주어 – 목적어 – 서술어’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예) ㄱ. 나는 밥을 먹는다. (주어 – 목적어 ­ 서술어) / 오류 없음

ㄴ. 밥을 나는 먹는다. (목적어 – 주어 ­ 서술어) / 문법 규칙 오류

ㄷ. 는나 을밥 먹는다. / 문법 규칙 오류

ㄹ. 사과가 사람을 먹고 있다. / 의미 규칙 오류

ㅁ. 나는 어제 학교에 갈 것이다. / 의미 규칙 오류

공무원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email protected] 문의

반응형

키워드에 대한 정보 언어 의 특성

다음은 Bing에서 언어 의 특성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신의 한 수_7분 국어]문법_언어의 특성

  • #수능국어문법
  • #수능특강
  • #수능완성
  • #공무원국어문법
  • #신의한수
  • #7분국어
  • 언어의특성
  • 언어의기호성
  • 언어의자의성
  • 언어의사회성
  • 언어의역사성
  • 언어의규칙성
  • 언어의창조성
[신의 #한 #수_7분 #국어]문법_언어의 #특성


YouTube에서 언어 의 특성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신의 한 수_7분 국어]문법_언어의 특성 | 언어 의 특성,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