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독재자 게임 – 당신에게 10만원이 주어진다면 모르는 사람과 얼마를 나누시겠습니까? | 머니게임 | 행동 경제학 실험 ‘독재자 게임’ | 다큐프라임 – 뇌로 보는 인간“?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ppa.maxfit.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maxfit.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EBSDocumentary (EBS 다큐)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1,383회 및 좋아요 114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독재자 게임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당신에게 10만원이 주어진다면 모르는 사람과 얼마를 나누시겠습니까? | 머니게임 | 행동 경제학 실험 ‘독재자 게임’ | 다큐프라임 – 뇌로 보는 인간 – 독재자 게임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 이 영상은 《다큐프라임 – 뇌로 보는 인간 – 1 부. 돈》의 일부입니다.
돈 앞에서 인간은 어떤 선택을 할까?
대니얼 카너먼이 고안한 ‘독재자 게임’을 바탕으로 두 가지 실험을 해본다.
현장에서 무작위로 참가자들을 선정한다. 참가자들은 모두 처음 보는 사이.
두 사람에게 10만 원을 주고 분배자와 수령자를 정하여 분배자가 원하는 비율로 돈을 나눈다. 수령자에게는 거부권이 주어진다. 수령자가 거부할 경우 두 사람 모두 돈을 가질 수 없다.
그리고 이어지는 두 번째 실험에서는 수령자에게 거부권이 없다. 오로지 분배자의 결정에 따라야만 한다.
두 실험의 결과는?
✔ 프로그램명: EBS 다큐프라임 – 뇌로 보는 인간 – 1 부. 돈
✔ 방송일자: 2020.03.30
독재자 게임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최후통첩 게임 – 나무위키
즉 소위 “합리적 의사결정” 이라고 기존에 일컫던 것이 너무 단순한 이해일 수 있다는 제안이 나왔다. 이는 독재자 게임(dictator game)[3]이나 신뢰 게임 …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7/2/2021
View: 4186
[야! 한국사회] 독재자 게임 / 김우재 – 한겨레
이를 위해 고안된 실험이 독재자 게임(Dictator game)이다. 이 게임에서 반응자에겐 거부권이 없다. 즉, 최후통첩은 제안되는 것이 아니라 강요된다.
Source: www.hani.co.kr
Date Published: 4/30/2022
View: 2008
38. 독재자 게임 (Dictator Game) – 네이버블로그
이런 주류경제학자들의 주장을 반박하기 위해 제안된 실험이 독재자 게임 (Dictator Game)입니다. 최후통첩 게임과 똑같이 진행하면서 다만 을에게서 …
Source: blog.naver.com
Date Published: 9/3/2021
View: 4679
[손헌수의 경제읽기] 최후통첩 게임과 독재자 게임 – Korea Times
반면에 독재자 게임은 오직 A에게만 선택권이 있다. 실험자는 A에게 20불을 주고 두가지중 하나를 고르라고 한다. A는 자신이 받은 20불을 B와 반씩 나누 …
Source: chicagokoreatimes.com
Date Published: 7/16/2022
View: 2127
최후통첩 게임, 돈과 공정성의 갈등 | 마케팅/세일즈 | DBR
최근 신경과학자들 사이에서 주목받고 있는 경제학 게임이 하나 있다. 경제적 의사결정 과정에서 … 경제학자들은 이 상황에서 독재자 게임이란 걸 연달아 실시한다.
Source: dbr.donga.com
Date Published: 4/9/2022
View: 9008
독재자 죽이기 ( Kill The Dictator ) – Google Play 앱
게임 설명 독재자 죽이기’는 10년이상 독재 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가상 국가 게런드를 배경으로 한 전략 게임입니다. 독재자의 잇단 만행을 참지 못한 국민들은 대규모 …
Source: play.google.com
Date Published: 11/15/2021
View: 1462
독재자 게임을 통해 본 대학생들의 선택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
선택 이익 극대화 독재자 게임 공평성 이타심 경제교육 실험 경제학 Choice Profit Maximization Dictator Game Fairness Selfishness Economic Education …
Source: kiss.kstudy.com
Date Published: 11/22/2021
View: 1762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독재자 게임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당신에게 10만원이 주어진다면 모르는 사람과 얼마를 나누시겠습니까? | 머니게임 | 행동 경제학 실험 ‘독재자 게임’ | 다큐프라임 – 뇌로 보는 인간.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독재자 게임
- Author: EBSDocumentary (EBS 다큐)
- Views: 조회수 11,383회
- Likes: 좋아요 114개
- Date Published: 2020. 12. 30.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u7j39jkdXbI
[야! 한국사회] 독재자 게임 / 김우재
인간의 비합리성이 사회적 합리성의 최소조건이다. 주류경제학의 합리적 인간은 비용-편익 분석으로 사적 이익을 극대화하는 이기적 행위자다. 주류경제학의 이 공리는 행동경제학의 등장으로 금가기 시작했다. 행동경제학은 감정적, 인지적, 사회적 요소들이 인간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주류경제학에서는 비합리적이고 비정상적으로 여겨지는 행동들이 행동경제학에서는 합리적이고 정상적인 행위가 된다.
행동경제학은 심리학과 경제학의 융합 학문이다. 심리학의 여러 실험기법들이 도입되어 이론-중심적인 주류경제학과는 판이하게 다른 전통의 학문이 되었다. 인간 행동의 실험을 위해 게임이론에 기반한 다양한 게임들을 사용한다. 최후통첩게임(Ultimatum game)은 인간이 이기적인지 공정한지를 측정하는 실험이다. 서로 모르는 두 피험자가 짝을 이루고, 한 명은 제안자, 한 명은 반응자가 된다. 제안자는 소유한 자원의 일부를 반응자에게 분배해야 하고, 반응자는 제안을 받아들이거나 거부할 수 있다. 거부할 경우 둘 다 아무것도 받지 못한다.
주류경제학은 제안된 금액을 무조건 수용하는 것이 내시(Nash)균형, 즉 합리적 선택이라고 예측한다. 아무것도 받지 않는 것보단 이익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반응자의 대부분이 30퍼센트 이하의 제안을 거절했다. 더욱 기괴한 것은 제안자들도 대부분의 경우 30퍼센트 이상을 제안했다는 점이다. 물론 이 결과가 공정심의 발로가 아니라, 반응자의 거부권을 두려워한 이기심 때문이라는 반론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고안된 실험이 독재자 게임(Dictator game)이다. 이 게임에서 반응자에겐 거부권이 없다. 즉, 최후통첩은 제안되는 것이 아니라 강요된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제안자들은 여전히 상당한 금액을 제안했다. 이 결과는 국가, 민족, 나이, 성별을 가리지 않고 나타난다. 심지어 인터넷을 통해 진행된 실험에서도 같은 결과가 도출된다. 행동경제학은 고전경제학의 합리성 공리를 실험적 증거로 무너뜨렸다. 실험이 도입되자, 이론은 시험되고 무너지기 시작했다. 과학에선 흔히 있는 일이다. 실험적 증거는 이론의 독재를 용납하지 않기 때문이다.
공정성은 인간의 본능이다.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분노는 사회적 동물 인간의 유전체에 각인된 진화의 흔적이다. 인간은 자신의 손실을 각오하면서까지 공평하지 않은 제안을 거절할 수 있다. 그것이 영장류 이상의 군집생활 동물에게 나타나는 사회적 의사결정 능력의 한 단면이다. 주류경제학은 바로 이러한 사회적 합리성의 기초를 비합리적 행위로 단정했었다. 하지만 진실은 그 반대다. 인간의 비합리성 때문에 거대한 사회가 가능할 수 있었다. 자신의 손해를 감수하면서까지 사회적 합리성을 지키려 했기에, 인류는 민주주의라는 제도를 재창조할 수 있었다.
경제학자 최정규는 “모두가 합리적이고 이기적인 인간들이라면 공공재는 존재할 수 없”으며, 공공재의 최고 형태인 “국가도 존재할 수 없”다고 말했다. 비합리성은 비정상이 아니다. 개인적 비합리성이 사회적으로는 합리적 행위이기 때문이다. 사회가 유지되려면 ‘상호적 인간’의 존재가 필수적이다. 이들은 서로 협력하고 사회를 무너뜨리려는 이들을 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가의 권력은 이 ‘상호적 인간’들에게 주어져야만 한다. 주류경제학의 합리적 개인들에게 주어진 권력은 사회를 붕괴시키기 때문이다.
독재자 게임은 지속될 수 없다. 인간은 독재를 내버려 두지 않도록 진화해 왔다.
김우재 초파리 유전학자
최후통첩 게임, 돈과 공정성의 갈등
최근 신경과학자들 사이에서 주목받고 있는 경제학 게임이 하나 있다. 경제적 의사결정 과정에서 사람의 뇌에 어떤 현상이 벌어지는지를 연구하는 신경경제학자들은 이 게임을 활용해 뇌영상 촬영 실험을 하고 있다. 행동경제학자들도 이 게임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모델을 만들기에 분주하다. 지난 2년 동안 이 게임에 관한 논문이 사이언스지에만 2편이나 실렸고, 매년 20∼30편의 논문이 경제학·신경과학·심리학 분야에서 쏟아지고 있다. 이른바 ‘최후통첩 게임’이 그것이다.
이 게임은 지난 1982년 독일 훔볼트대의 베르너 구스 연구팀이 개발한 이래 행동경제학자들 사이에서 많은 연구가 돼 온 실험 패러다임이다. 실제로 이 게임의 규칙은 매우 간단하다. 이 게임을 위해서는 두 명의 실험 참가자가 필요하다. 한 명은 제안자, 다른 한 명은 반응자라고 부른다. 이 게임을 주재하는 사람이 제안자에게 1만 원을 건넨다. 10만 원이나 100만 원으로 해도 된다. 제안자가 하는 역할은 이 돈을 자기 몫과 상대방(반응자)의 몫으로 나누는 일이다. 자신이 6000원을 갖고 상대방에게 4000원을 줘도 좋고, 자신이 9000원을 갖고 상대방에게 1000원을 줘도 좋다. 그 비율을 정하는 사람은 제안자다.
제안자가 돈을 어떻게 나눌지 제시하면 반응자는 두 가지 선택을 할 수 있다. 제안자가 제시한 금액을 받아들이거나 거부하는 것이다. 반응자가 제안자가 제시한 금액을 받아들이면 두 피험자는 제안된 몫대로 나눠가지면 된다. 그러나 반응자가 제안을 거부하면 두 사람 모두 아무것도 받을 수 없다.
이 게임이 경제학자들에 의해 처음 개발된 것은 공정성과 이익 추구 사이에서 갈등하는 인간의 본성을 경제 원리로 설명하기 위해서였다. 수학적이고 경제적인 제안자라면 이 게임에서 얼마를 제안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결정일까. 존 폰 노이만이 만든 ‘게임 이론’에 따르면 가장 합리적인 결정을 위해서는 먼저 반응자의 합리적인 선택을 생각하면 된다. 반응자는 제안자가 아무리 적은 금액이라도 제시해 오면 (0이 아닌 이상) 거절하는 것보다 무조건 받는 것이 이득이다. 다시 말해 반응자의 가장 합리적인 선택은 0이 아닌 어떤 금액을 제안 받는다면 제안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따라서 제안자는 이런 상황에서 자신의 이득을 극대화하기 위해 상대방(반응자)에게 최소한의 금액만 제시하면 되는 것이다. 이것이 서로가 굳이 자신의 선택을 바꿀 필요가 없는 가장 합리적인 선택이라고 전통적인 경제 이론과 게임이론은 예측하고 있다.
그러나 실험에서 실제로 사람들이 보인 행동은 전혀 달랐다. 제안자는 자신의 몫과 반응자의 몫을 5대5로 나누겠다는 경우의 비율이 가장 많았고, 6대4나 7대3으로 나누겠다고 제안한 사람들의 비율까지 합하면 거의 80%가 넘었다. 왜 사람들은 9대1, 9.9대0.1로 나눠 자신이 대부분의 몫을 가져도 되는 상황에서 상대방에게 큰돈을 제시할까. 이것은 아직 현대과학이 풀지 못한 숙제 중 하나다.
더욱 흥미로운 것은 반응자의 반응이다. 반응자는 아무리 낮은 금액이라도 무조건 받는 것이 이득이지만 8대2나 9대1로 나누겠다는 제안을 받으면 제안자의 제안을 매몰차게 거절하는 경우가 67%나 됐다. 그들은 왜 받는 것이 명백히 이익인 상황에서도 기대 이하의 금액이 제시되면 거절해서 둘 다 받지 못하게 하는 걸까. 이 문제 역시 아직 현대과학이 풀지 못한 숙제 중 하나다.
경제학자들은 이 상황에서 독재자 게임이란 걸 연달아 실시한다. 독재자 게임에선 반응자에게 선택의 여지가 없다. 무조건 받아야 한다. 이 경우 제안자의 선택은 상대적으로 쉬워 보인다. 상대방이 무조건 받아야 하는 상황에서 그들은 얼마로 나누려고 할까. 의외로 제안자의 제안은 너그럽다. 9대1, 9.5대0.5, 9.9대0.1로 나누겠다고 하는 사람이 크게 늘긴 하지만 여전히 7대3이나 8대2, 심지어 5대5나 6대4로 나누겠다는 경우의 비율이 30% 이상을 차지한다. 이 경우 상대방은 주는 대로 받아야 하는 상황에서도 제안자가 7대3을 제시하는 이유는 과연 무엇일까. 이 문제 역시 아직 현대과학이 풀지 못한 난제 중 하나다.
이 게임에 참여하는 참가자들은 게임을 통해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려고 노력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내가 받아야할 몫과 상대방의 몫이 어느 정도 되어야 적당한지, 공정한지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한다. 내가 제시하는 금액이 너무 적다고 생각되면 상대방이 기분이 나빠져 거절할까봐 두려워하기도 하고, 반응자는 너무 적은 금액이 제시되면 자신의 몫을 기꺼이 포기하면서까지 상대방이 제 몫을 챙기지 못하게 만든다. 그러나 정확히 무슨 생각으로 실험 참가자들이 금액을 제시하고 제안을 거절하는지는 아직 모르고 있다.
이 게임을 하는 동안 사람들의 뇌 속을 들여다 본다면, 그 결과를 통해 우리는 유용한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실험이 행해져 왔다. 그 가운데 주목할 만한 것이 영국 케임브리지대 신경과학자 몰리 크로킷 박사 연구팀의 실험 결과다. 그들은 최근 최후통첩 게임에서 반응자의 행동이 과연 감정에 치우친 비이성적인 판단인지, 공정성을 더욱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성적인 판단의 산물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 참가자들의 뇌 속 세로토닌 양을 조절해 실험을 실시했다. 감정을 조절하는 신경전달 물질 세로토닌은 많이 분비되면 행복감에 젖게 되고, 줄어들면 불안하고 강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행복을 주는 알약이자 우울증 치료제인 프로작은 바로 세로토닌의 양이 뇌 내에서 줄어들지 않도록 조절해 주는 약이다)
크로킷 박사팀은 20명의 실험 참가자를 대상으로 세로토닌이 최후통첩 게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 주기 위한 실험을 진행했다. 전날 저녁에 금식한 실험 참가자들에게 이튿날 아침 세로토닌을 만드는 재료가 되는 ‘트립토판’이란 물질을 제외하고 단백질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아미노산 음료가 충분히 주어졌다. 이 결과 아미노산은 뇌에 빠르게 전달됐고, 잔여 트립토판을 밀어내면서 세로토닌이 매우 부족한 뇌 상태를 만들게 된다. 반면에 다른 그룹에게는 트립토판이 함유된 드링크가 주어졌다. 이들은 뇌 내에서 세로토닌을 충분히 만들 수 있는 상태가 되었다. 최후통첩 게임을 할 때 두 그룹은 어떤 행동을 보였을까.
그 결과 세로토닌 결핍은 공정한 제안을 하는 경우 그것을 받아들이는 결정에 대해 어떤 영향도 끼치지 않았지만, 8대2나 9대1과 같은 낮은 금액의 제안처럼 공정하지 못한 제안을 받았을 때는 거절하는 비율이 크게 상승했다. 예를 들어 8대2나 9대1로 제안한 경우 세로토닌이 함유된 드링크를 먹은 그룹은 67%만 거절했지만, 세로토닌이 뇌 내에 부족한 그룹은 무려 82%나 거절했다. 그들은 공정하지 않은 제안에 대해 매우 불쾌하고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이런 결과에 대해 크로킷 박사는 “불공정한 제안에 대한 거절은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세로토닌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며, 불공정한 제안에 직면했을 때 경제적인 이익을 위해 자존심을 꺾는 것도 인간의 감정에 영향을 받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는 지난해 미국 신경과학회 연례 회의에서 발표돼 많은 학자로부터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이번 실험 결과에 대한 연구자들의 평가는 엇갈리고 있다. 미국의 신경과학자 마이클 코닝 박사는 “이번 결과가 감정적인 요소가 이성적인 결정을 내리는 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신경생물학적인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반면에 스위스 취리히대 심리학자 에른스트 페허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만으로 거절 행동이 이성적인 결정인지 비이성적인 결정인지에 대해서는 결론을 내릴 수 없다”고 논평하면서 “불공정한 제안을 거절하는 것은 화가 난 상태의 감성적인 결과라기보다 여전히 공정성에 더 많은 가치를 둔 이성적인 계산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렇다면 이 실험 결과가 우리에게 전해 주는 경제학적 메시지는 무엇일까. 사실 생각보다 심오한 교훈을 전해 주고 있다. 그 이야기는 다음 호에 계속 이어진다.
편집자주 비즈니스에서 성공하려면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아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인간의 의식구조를 잘 이해해야 합니다. 과학자이자 베스트셀러 작가인 정재승 교수가 인간의 뇌에 대한 최신 연구 성과 및 경제적 의미를 연재합니다. 인간 심리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만나 보기 바랍니다.
독재자 죽이기 ( Kill The Dictator )
게임 설명
독재자 죽이기’는 10년이상 독재 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가상 국가 게런드를 배경으로 한 전략 게임입니다.
독재자의 잇단 만행을 참지 못한 국민들은 대규모 시위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독재자 파트로 네인스는 계엄령을 선포하고 총구를 시민들에게 겨누었고
보다 못한 다국적 기업 CEO 마틴 캠리가 외세의 도움을 받아 반란군을 조직하였습니다.
여러분은 반란군이 되어 독재자를 타도하거나, 정부군이 되어 외세와 결탁한 반란군을 진압할 수 있습니다.
특징
-전투 시스템
전투에 참여할 유닛을 세팅하고 상황에 맞춰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여 적 기지를 함락 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보유한 펀드와 전황에 따라 유닛 생산과 스킬 사용, 펀드와 쿨타임 업그레이드를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전술의 핵심입니다.
-실시간 날씨 변화 시스템
전쟁 중 시간 흐름에 따라 실시간으로 주야 및 다양한 날씨가 변화 됩니다.
야간이 되면 시야가 좁아지며, 비가 오면 이동속도가 늦어지는 등 날씨는 전투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풀보이스 더빙
나레이션 및 유닛들의 풀보이스 지원으로 현장감 넘치는 전장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각종 업그레이드 시스템
전투 보상을 통해 유닛과 스킬이 자동 업그레이드되며, 보급 받은 벅으로 원하는 지역을 수리하거나 레벨업 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모드
섬멸전, 기지 점령전, 위기일발 등 다양한 게임 모드를 제공합니다.
게임 모드별로 초기 세팅, 클리어 조건과 이벤트 발생 조건들이 달라 서로 다른 재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랜덤 전장 시스템
지역별로 전장의 크기, 맵종류, 어드밴티지 및 패널티 유닛등의 속성을 가지고 있어 전투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새 게임을 할 때마다 적의 전술 변화는 물론 모든땅의 정보가 달라지기 때문에 매번 새로운 느낌으로 플레이 가능합니다.
-랭킹 시스템
최단 클리어 타임을 기준으로 모드별 랭킹을 제공합니다. 최고의 전략으로 누구보다 빠르게 클리어해보세요.
—-
개발자 연락처 :
주소 : 부산시 해운대구 센텀동로 99 1219호
전화번호 : 051 903 3667
업데이트 날짜 2019. 5. 28.
독재자 게임을 통해 본 대학생들의 선택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경제학자 없는 저자 : 한진수 ( Jinsoo Hahn ) 발행기관 : 한국경제교육학회 간행물 : 경제교육연구 29권 1호 발행 연도 : 2022 페이지 : pp. 1-25 (25 pages) 키워드 초록 기관 미인증 다운로드 (기관인증 필요)
초록보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고등학교에 과목이 신설됐다. 비록 수학과 교육과정의 일부이고 수학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차원에서 신설된 과목이지만, 비사회과 영역의 교육과정에 경제 내용이 포함됐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의가 있다. 이 학생의 수학 역량뿐 아니라 경제 역량 강화에도 시나브로 도움이 되는 일석이조의 긍정 효과를 기대한다. 이 과목을 담당하는 수학 교사가 경제학을 전공하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교과서 내용의 적확성이 경제교육 효과를 결정하는 핵심 요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교과서의 경제 내용 오류를 파악하고 서술에서의 개선 방안을 모색한다. 수학과 영역의 과목이므로 수학자들이 주도적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교과서를 제작하는 일은 불가피하지만, 교과서 집필진에 경제학 전문가가 포함되어야 한다. 그러나 분석 대상의 교과서에서 경제학자의 역할은 찾을 수 없다. 그 결과 경제학의 정식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 않거나, 경제 개념의 정의나 경제 분석에 오류가 있거나, 전기 요금을 세금으로 서술하는 등 다양한 유형의 오류 사례가 교과서에 산재해 있다. 이 외에도 서술을 보완하거나 사례를 교체하는 등 비교적 단순한 보완 작업을 거친다면 동일한 시간을 수업하더라도 더 나은 경제교육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경우도 상당수 존재한다. 수학자와 경제학자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수학과 경제학의 진정한 융합으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필요가 있다.
The national curriculum released in 2015 introduced a new subject, ‘Mathematics for Economics,’ as one of career-related elective courses. Although the primary purpose of the new subject is to revitalize mathematics education, the introduction of the subject has significance in economic education as well because various economic contents are included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The ‘Mathematics for Economic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students’ economic competencies. Since mathematics teachers, who lack an economics background, tend to rely heavily on textbooks, well-designed textbook is key to 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economic educa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content errors in the textbook and consider solutions. There are two main findings. First, the role of economists in writing the textbook is not observed. While it is natural for mathematicians to take the initiative in developing the curriculum and writing the textbook, at least one economist should have played a role in the writing. Second, consequentially, various types of errors are found in economics contents. Close collaboration between mathematicians and economists is recommended to create synergies by adequately infusing economics contents into mathematics.
초록보기 이 연구는 디지털 환경을 고려한 경제교육을 논의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최근 4차 산업 혁명과 코로나-19의 발생은 디지털 경제로의 변화를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경제 활동의 영역을 확장하며, 경제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줌으로써 무정형의 학습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환경은 다양한 기회를 제공해줌과 동시에 위험한 경제 활동을 양산해내기도 한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기회를 확장하면서도 위험을 축소하는 경제교육이 필요하다. 아울러 이러한 변화 속에서 시민으로서의 정체성을 잃지 않고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경제교육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비합리적 의사결정에 대한 논의를 제공하는 행동 경제학과 디지털 환경의 변화를 논의하는 디지털 경제학, 시민 역량과 시민 생활을 강조하는 최신의 경제교육 논의를 이론적 기반으로 활용하여 수업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청소년의 일상 경험과 경제 상황을 둘러싼 변화에 민감한 경제교육 논의가 더욱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started to propose examples of economic education considering the digital environment. The recent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occurrence of Covid-19 are accelerating the change into a digital economy. In addition, it contributed to informal learning by expanding the area of economic activities that students can participate in and increasing access to economic information. However, the emergence of a digital environment provided various opportunities and at the same time produced dangerous economic activities. Therefore, economic education is needed to expand youth opportunities while reducing risks. Also,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economic education that guides people to make decisions without losing their citizenship amid these change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a instruction case using behavioral economics that can provide explanations for information acquisition in the digital environment, the concept of digital economics and literacy, and the latest economic education discussion emphasizing civic competency and civic economic life. Through these attempts, it is expected that discussions on economic education that are close to the daily experiences of adolescents and sensitive to changes surrounding the economic situation will be further activated.
초록보기 본 연구는 ‘교수요목기’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기’까지 경제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을 분석하여 차기 경제교육과정 준비를 위한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교수요목기 경제교육은 ‘사회생활’에서 이루어졌으며, 초등학교에서는 여러 요소와 통합하여, 중고등학교에서는 공민 영역에서 다루어졌다. 제1차 교육과정기 경제교육도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모든 학교급에서 ‘산업, 금융, 무역’ 개념을 중심으로 내용구성이 이루어졌다. 제2차 교육과정기에는 경제 개념이 다양해졌고, 학교급에 따른 체계를 갖추려 노력한 흔적도 확인할 수 있었다. 제3차 교육과정기 경제교육은 경제학의 이론적 체계에 근거하였고, 제4차 교육과정기에는 여러 학년에서 경제 관련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조화하였다. 경제교육 강화 기조에 따라 제5차 교육과정기에는 경제교육의 양적 증가가 이루어졌고, 선택 교과제가 도입되었던 제6차 교육과정기에는 ‘경제’가 단독 교과로 개발되었고, ‘생활 경제’가 신설되었다. 더불어 경제교육 전반에서 민주 시민으로서 경제 주체의 역할을 강조한 점이 특징적이며, 이러한 성격은 제7차 교육과정기에도 이어졌다. 2007 개정 교육과정기에 들어서면서 경제교육은 경제 개념 및 이해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했고, 2009 개정 교육과정기에는 고등학교 경제 과목에 금융 단원을 신설하는 등 지속가능한 경제 생활을 강조하였으며, ‘생활 경제’가 폐지되고 ‘실용 경제’가 신설되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기는 ‘통합사회’에 ‘시장경제와 금융’ 단원을 마련하여 ‘경제’를 이수하지 않는 학생들도 고등학교에서 경제 관련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basis for preparing the next economic education curriculum by analyzing the economic education curriculum. The 1st curriculum period was structured around the concept of ‘industry, finance, and trade’ at all school levels. During the 2nd curriculum period, economic concepts were diversified, and traces of efforts to establish a system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were also confirmed. Economic education in the 3rd curriculum was based on the theoretical system of economics, and the 4th curriculum was structured so that economics could be studied in various grades.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strengthening economic education, the quantity of economic education increased in the 5th curriculum. In the 6th curriculum, ‘Economics’ was developed as a separate subject, and the ‘Living Economy’ was newly established. In addition, it is characteristic that the role of economic agents as a democratic citizen is emphasized, and this characteristic continued into the 7th curriculum.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economic education changed to emphasize the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economics. and’Practical Economy’ was newly establish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Market Economy and Finance’ section was prepared in ‘Integrated Social Studies’ so that even students who did not complete ‘Economics’ could study economics in high school.
키워드에 대한 정보 독재자 게임
다음은 Bing에서 독재자 게임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당신에게 10만원이 주어진다면 모르는 사람과 얼마를 나누시겠습니까? | 머니게임 | 행동 경제학 실험 ‘독재자 게임’ | 다큐프라임 – 뇌로 보는 인간
- EBS
- EBS documentary
- EBS 다큐멘터리
- 다큐
- docu
당신에게 #10만원이 #주어진다면 #모르는 #사람과 #얼마를 #나누시겠습니까? #| #머니게임 #| #행동 #경제학 #실험 #’독재자 #게임’ #| #다큐프라임 #- #뇌로 #보는 #인간
YouTube에서 독재자 게임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당신에게 10만원이 주어진다면 모르는 사람과 얼마를 나누시겠습니까? | 머니게임 | 행동 경제학 실험 ‘독재자 게임’ | 다큐프라임 – 뇌로 보는 인간 | 독재자 게임,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