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각주 다는 법 – 각주, 미주 넣는 방법“?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ppa.maxfit.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maxfit.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에딧클래스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4,640회 및 175090 Like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사슴찡이에요 🙂 …
- 정기간행물 논문에서 참고했을 경우 …
- ▶저자, 책 이름, 출판사, 출판년도, 쪽수. …
- ▶저자, 책이름, 옮긴이 역, 출판사, 출판년도, 쪽수. …
- ▶항목, (필자), 사전이름, 출판사, 출판년도. …
- ▶기사제목, 신문이름, 날짜, 면 수.
각주 다는 법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각주, 미주 넣는 방법 – 각주 다는 법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각주, 미주를 넣는 방법, 장별로 각주번호 새로시작, 주석 내용 별도 저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각주 다는 법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보고서쓰기, 각주와 참고문헌 다는 방법, 각주다는 법, 참고문헌 …
각주와 참고문헌 형식쓰는 방법! 요즘 정보란이 잘 안되어 있어서 ㅎㅎ 그리고 대딩들 이제 기말이지?!ㅎㅎ 보고서 쓰기!!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4/17/2022
View: 570
형식에 맞춰 각주달기, 워드, 한글에서 각주 다는법을 제대로 알자
② [Ctrl+N] : 각주메뉴를 선택하는 단축키입니다. 엔터를 누르면 각주가 생성되고,. 모양을 미리 정하고 각주를 만들 경우 [N]을 누르면 주석모양 설정창 …
Source: wonderday777.tistory.com
Date Published: 6/2/2022
View: 9138
각주 다는 법 – Linchpin
각주 다는 법 · 1. 단행본의 경우, 저자, 「책제목」 , 출판사, 출판년도,인용페이지 · 2. 학위논문의 경우, 저자,「논문제목」 , 논문을 발표/ 인증한 곳, …
Source: youngmikim.tistory.com
Date Published: 4/15/2021
View: 7773
각주 다는법 / 한글 각주 / 참고논문 표기법 / 레포트 각주 / 논문 …
ㅇㅇ대학교 ㅇㅇ학위 논문. 출판연도. … 저자. (제목). ((신문)). 출판연도 월 일. … 저자. (제목). ((자료 출간지)). 발간연-월-일(또는 검색 연-월-일).
Source: byeolahhome.tistory.com
Date Published: 11/29/2022
View: 4072
한글 각주 다는법 및 설정
한글 문서에서 각주 다는법 … 한글 문서에서 각주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 Ctrl + N, N) 을 단축키로 사용합니다. 생각보다 어려운 작업은 아닙니다. 기능에 대한 이해와 …
Source: zero4you.com
Date Published: 5/7/2022
View: 6068
한글 각주 미주 다는법 주석 달기 – <나이팁> 진짜 정보 저장소
한글 각주 미주 다는법 주석 달기 · 안녕하세요. 나이팁니다. · 메뉴의 [입력] – [주석] – [각주] 순서대로 클릭하면 됩니다. 단축키는
Source: nikedas.tistory.com
Date Published: 4/18/2021
View: 9946
I. 각주와 참고문헌 작성법
페이지까지 같은 경우는 그냥 Ib. 라고 표시한다. ⑵ 연속되지 않은 경우. 이 경우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우선 논문 전체적으로 동일한 저자의 문헌을 하나만 인용 …
Source: sjkim.ivyro.net
Date Published: 12/9/2022
View: 4261
카피킬러 출처표기 질문과 답변 – 법 각주 및 참고문헌 달기
졸업논문 쓰는데, 헌법과 다른 법을 인용해서 쓰고 있습니다. 헌법은 각주나 참고문헌을 안 달고 바로 ‘대한민국 헌법 ~조 ~항에 따르면, ~~’ 이렇게 써도 …
Source: citation.sawoo.com
Date Published: 12/6/2022
View: 1398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각주 다는 법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각주, 미주 넣는 방법.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각주 다는 법
- Author: 에딧클래스
- Views: 조회수 4,640회
- Likes: 175090 Like
- Date Published: 2021. 7. 6.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TGWwZ9qLnJY
각주 다는법 총정리
※ 각주를 달 때에 마지막에 (.) 온점을 꼭 넣으시고, 위 형식이 아니더라도 교수님들의 선호하는 스타일을 따라서 작성하시면 좋습니다.
※ 같은 페이지 내에서 똑같은 책을 인용하게 될 때는 위의 책 이라고 표기하시면 됩니다.
예) 1) 사슴찡, 각주다는 법, 사슴출판사, 2018, p21.
2) 위의 책, p22.
3) 위의 책, p35
※ 같은 페이지가 아니더라도 앞에서 인용했던책이 계속 반복 등장하는 경우에는 앞의 책 이라고 표기하면 됩니다.
예) 1) 사슴찡, 각주다는 법, 사슴출판사, 2018, p36
2) 콩순이, 미주다는 법, 콩순이출판사, 2018, p41
3) 사슴찡, 앞의 책, p55
보고서쓰기, 각주와 참고문헌 다는 방법, 각주다는 법, 참고문헌다는 법! 종류별로 각주 참고문헌다는 법이 있었넹!!꼭 참고하자!!
보고서쓰기, 각주와 참고문헌 다는 방법, 각주다는 법, 참고문헌다는 법! 종류별로 각주 참고문헌다는 법이 있었넹!!꼭 참고하자!!
보고서 쓰기!!
각주와 참고문헌 형식쓰는 방법!
요즘 정보란이 잘 안되어 있어서 ㅎㅎ
그리고 대딩들 이제 기말이지?!ㅎㅎ
보고서 쓰기!!
막판에 완전 과제 많을텐데 ㅎㅎ
힘내라구 ㅋㅋ
나도 보고서나 논문쓸 때 넘 힘들었엉 ㅋ
이것도 보고 저것도 봤는뎅
에브리타임에서 잘 정리해줘서
올린당!! ㅎㅎ
예전에 봤었는데 이제 올리넹 ㅎ
암튼!! 잘 참고해!!
보고서 쓰기!
-각주와 참고문헌편-
출처 에브리타임
각주와 참고문헌의 의미!!ㅎ
바로 이것이지용 ㅎㅎ
각주는 따로 정보를 표시,
참고문헌은 인용한 자료 표시!
요즘 참고문헌을 표시 안한
표절 논문들이 판을 쳐서
이만 저만 아니징!!
기말 레포트 혹은 논문쓸때
주의하라구!!ㅎㅎ
각주와 참고 문헌 적는법!!
1. 단행본의 경우
저자, 『 책제목 』,출판사,출판년도,인용페이지
2. 학위논문의 경우
저자, 「논문 제목 」,논문을발표/인증한곳,발표년도,인용페이지
어때! 쉽지?ㅎㅎ
3.신문기사의 경우
기자, “기사 제목 ”,신문사,기사작성 년월일,인용된 면
4. 인터넷 자료의 경우
글쓴이, 「제목 」,자료의출처 본인이 인용한 년월일,링크주소
오 인터넷 자료의 경우도 있넹!!
요즘 인터넷 많이 하는데
꼭!! 참고해야겠다!!
5. 사전의 경우
글쓴이, 『사전명 』- “용어 ”,출판사,출판년도(혹은 년월일)
각주 적는법
1)해당문장의 끝: 저자, 출판년도, 쪽수와 같은 간략한 정보만 적기
2)각 페이지의 마지막에 적기
어때!! 쉽지?ㅎㅎ
마지막!!! 참고 문헌 적는법!!
각주와 참고 문헌의 작성법은 동일!
각주를 포함하여 맨 마지막 장에 몰아서 적기!
와우! 본이 아니게 에브리타임꺼를 가지고 왔는뎅!
넘 좋당!! 유용해!!
담에 또 이용해야징 에브리타임!!ㅎㅎ
좋아죠아!!
각주 다는법 -형식에 맞춰 각주달기, 워드, 한글에서 각주 다는법을 제대로 알자
논문이나 레포트 작성시 각주를 달아야 하는 경우들이 종종있고, 이외에도 저작권이 중시됨에 따라 인용된 자료의 출처를 밝히기 위한 각주를 작성하야만 하는 일이 예전보다 많아진 것 같습니다. 알듯 모를듯한 각주 다는 법 은근히 까다롭죠?! 그래서 오늘은 각주다는법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첫째, 각주가 무언인지 정확히 알고,
둘째, 제대로 된 형식의 각주 다는법은 어떻게 되는지
마지막으로 한글이나 워드프로세스 같은 프로그램에서 각주달기 방법 등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각주란?
본문의 내용에 관해 부가적 설명이 필요할 때 달게 되는 주석으로 대개의 경우 기술하는 출처를 밝히는 용도로 씌져집니다. 비슷하게 사용되는 형식으로 미주가 존재하는데 둘의 가장 큰 차이는 각주는 각 페이지 하단에 표시하고, 미주는 문서의 맨 뒤에 취합해서 표기하는 형식입니다.
각주 – 보통 본문 내용의 특정부분의 뜻을 보충하거나 풀이한 내용, 출처 등을 본문하단에 표시,
본문과 같은 페이지에 있어 내용을 참고하기 쉬움
미주 – 보통 본문에서 인용한 자료 출처(참고문헌) 및 부가설명을 문서 맨 뒤쪽에 모아서 표시
뒤쪽에 모여있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확인 가능
각주 다는법 형식 제대로 알기
각주를 다는 형식이 다양하긴 하지만 그래도 일반적으로 많이 쓰는 형태로 정리해볼까 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인용한 자료의 경우 엄밀히 말하면 내가 쓴 글이 아니기 때문에 저작권보호와 알림 차원에서 누가 어느참고문헌에서 밝혔는지 자세히 쓰는 것이 제대로 된 형식의 각주 다는법이라는 점입니다.
책의 경우 – 저자명, 저서명, 출판사, 출판년도, 해당페이지
논문 및 학술저널의 경우 – 저나명, 논문·저널명, 출판사, 출판년도, 해당페이지
신문의 경우 – 기자명, 기사제목, 신문명, 일자, 해당면
인터넷의 경우 – 사이트명, 해당URL(자세하게)
사전의 경우 – 저자, 사전명, 출판사, 출판년도
※ 위 형식은 일반적인 경우이며 반드시 이것이 정답이라는 것은 아니니 논문이나 레포트 작성시 요구되는 형식에 맞춰 작성하시면 됩니다.
한글 각주 다는법 및 단축키
한글프로그램에서 각주 다는 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한글을 실행한 후 각주를 달 단어 뒤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상단 메뉴 중 [입력]-[주석]-[각주]메뉴를 선택합니다.
페이지 하단에 각주에 들어갈 내용을 입력합니다.
각주가 달린 곳에 하단 각주 번호와 같은 각주가 생성되어있습니다. 번호는 각주를 달 때마다 자동으로 늘어납니다.
각주의 디자인을 바꾸려면 주석 메뉴에서 설정을 변경하면 됩니다.
한글 단축키 (순서대로 입력해야함)
① [ALT+D] : 상단메뉴 중 입력메뉴를 선택하는 단축키입니다. 단축키를 누르거나 입력메뉴를 선택하세요
② [Ctrl+N] : 각주메뉴를 선택하는 단축키입니다. 엔터를 누르면 각주가 생성되고,
모양을 미리 정하고 각주를 만들 경우 [N]을 누르면 주석모양 설정창이 뜹니다.
워드 각주 다는법 및 단축키
MS워드프로그램에서 각주 다는 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워드프로세스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각주를 달 단어 뒤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상단 메뉴 중 [참조]-[각주삽입]메뉴를 선택합니다.
페이지 하단에 각주에 들어갈 내용을 입력한 후 본문에서 각주번호게 제대로 달렸는지 확인합니다.
워드 단축키
① [ALT+Ctrl+F] : 각주를 생성하는 단축아이콘입니다.
② [ALT+Ctrl+D] : 미주를 생성하는 단축아이콘입니다.
이상으로 각주 다는법에 대한 정리를 마칩니다.
각주 다는 법
반응형
각주
각주는 본문의 맨 아래에 보충 정보난 인용문의 출처를 제공할 때 사용하니다.
각주에 간단하고 명확하게 필요한 정보만 넣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워드에서 각주 다는법.
글쓰기(예:각주 넣는 방법) -> 참조 -> 각주삽입 -> 각주 번호 생김 -> 문서 하단 각주 넣는 란 생성
참고자료에 따른 표기 방식
1. 단행본의 경우,
저자, 「책제목」 , 출판사, 출판년도,인용페이지
2. 학위논문의 경우,
저자,「논문제목」 , 논문을 발표/ 인증한 곳, 발표년도, 인용페이지
3. 신문기사의 경우
기자, “기사 제목” , 신문사, 기사작성 년월일, 인용된 면
4. 인터넷 자료의 경우
글쓴이, 「제목」, 자료의 출처, 본인이 인용한 년월일, 링크주소
5. 사전의 경우
글쓴이, 「사전명」, – “용어”, 출판사, 출판년도 (혹은 년월일)
반응형
각주 다는 법
1
과학 분야 저술 시 추가 연구 중 기존 연구 결과를 뒤집지 못하는 연구라면 각주에 그 내용을 적지, 본문 내에 직접 인용하지는 않습니다.
각주에 원문의 출판 정보를 쓰는 대신 다른 부가적인 정보 혹은 관련성이 약간 떨어지는 정보들, 여기저기에서 주워모아 본문내에 바로 인용하지는 않은 내용을 적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데이비드 포스터 월리스(David Foster Wallace)는 장편 소설에서 한 페이지 길이의 각주를 일종의 농담으로 사용했습니다. 학술적 저작물에서는 이런 식의 각주를 드물게 사용해야 하지만 회고록이나 기타 논픽션 스타일의 산문에서는 이렇게 쓰는 일이 흔합니다.
각주 다는법 / 한글 각주 / 참고논문 표기법 / 레포트 각주 / 논문 참고논문 쓰는법 / 레포트 참고문헌 찾기 / 참고논문 사이트 RISS
반응형
안녕하세요 별미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참고논문 찾는 법 / 표기법 을
알려드리려고 해요.
저도 처음에 대학교에 와서 레포트나
소논문을 써야할 때 참고문헌을 어디서 찾아야하지?
도서관에서 책을 다 찾아봐야하나?
고민이 있었는데요.
왠만한 논문은 riss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네이버에 검색하면 riss사이트가 나오는데요.
여기에 필요한 자료를 검색하면 됩니다.
가끔 유료로 열람해야하는 자료가 있는데
이럴 경우 현재 다니고 있는 대학교나 교육기관에서
무료로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을 주는데요.
보통 대학교에서는 도서관 홈페이지에서 같은 논문을
검색하면 열람이 가능합니다.
레포트를 쓸 때 교양 같은 경우는
각주를 필수로 달아라~
는 과제를 줄 때가 있는데
이런 경우 논문을 참고해서 달면 베스트입니다.
여기서 각주는 뭐냐?
네이버에 검색해보니 너무 어렵게 설명이 되어있죠…
쉽게 말하면 내가 참고한 부분에 출처를 밝히는 것 인데요.
레포트에 그냥 복붙한 부분도 있겠지만
약간의 참고를 한 부분도 꼭 이 출처를 밝혀야합니다.
(유사도 검사에서 걸림)
각주는 한글에서는
상단>입력>주석으로 달 수 있어요.
그럼 해당문장 뒤에1)
이런식으로 번호가 붙고
글 밑에 1)이라고 출처를 밝힐 수 있게 공간이 생깁니다.
그러면 이러한 형태로 출처를 남기면 되는데요.
각주를 쓰는법은 참고문헌 표기법과 같으니
뒤에서 설명할께요!
그럼 참고문헌은 뭐냐?
참고문헌은 글을 다 쓴 후에
따로 페이지를 만들어서
글에 나오지는 않았어도
(각주를 제외하고도)
참고한 문헌을
가나다순서로 정렬해서 첨부하는 것인데요.
각주는 어느부분을 참고했는지 출처를 밝히는 것
참고문헌은 이 글을 쓰는데 참고한 글을 적는 것
입니다.
이 각주와 참고문헌을 표기하는 방법이
글의 성격마다 달라서
어려운데요.
순서는
저자>자료>어디서>언제
입니다.
하나씩 살펴볼께요
여기서
((큰꺽쇠)) (작은 꺽쇠)
로 표현할께요.
1. 단행본
저자. ((제목)). 출판사. 출판연도.
순서대로 적어줍니다.
2. 편집서, 학술지 논문
저자. (제목). ((출판지명)). 출판연도. 페이지.
3. 학위 논문
저자. (제목). ㅇㅇ대학교 ㅇㅇ학위 논문. 출판연도.
4. 신문칼럼
저자. (제목). ((신문)). 출판연도 월 일.
5. 온라인자료
저자. (제목). ((자료 출간지)).
발간연-월-일(또는 검색 연-월-일). 검색주소.
온라인자료 같은 경우에는 출간지나 제목이 없을 경우에는 생략, 영화 같은 경우 단행본을 따르고
제작사를 적어주면 됩니다.
각주의 경우 같은 글을 더 언급할 경우
저자. 앞의 글.
로 출처를 밝히면 된답니다.
복잡하지만 이러한 형식만 지켜도
레포트는 반틈이상은 먹고 들어간다고 생각해요.
사실 학부에서는 새로운 사실을 밝히기보다는
얼마나 학술적인 글쓰기를 잘하는 지 (형식에 맞게)
+적당한 자료 찾기
+약간의 나의생각
가 중요해요.
모두 유용하게 쓰셨으면 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반응형
한글 각주 다는법 및 설정
문서를 작성하다 보면 내용을 보충 설명해야 하는경우가 있습니다. 모든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단어나 문장을 사용하며 좋겠지만 난해한 단어를 사용할 때도 있는거죠. 또한 어려운 인용 문구나 자료를 기재했을 때도 마찮가지 입니다. 이에 대한 설명도 충분히 해야 이해하기 쉬운 글이 될겁니다.
그래서 한글의 각주를 다는법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근데 각주가 뭐하는 건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도 처음 듣으면 생소한 단어인거 맞습니다. 하지만 사용 목적에 따라 훌륭한 문서 편집 툴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기능을 사용하지 않아서 그렇치 목적에 맞는 사용은 정말 수준이 다르게 보여줍니다.
한글 각주 다는법 (각주와 미주)
한글 열기 -> 입력 메뉴 메뉴중 주석 -> 각주 & 미주
해당 문장, 단어 블록 지정
각주, 미주 선택 각주 선택 후 설명 작성 주석 번호 모양 지정 각주를 미주로 전환 주석 지우기
주석이란?
문서를 작성하면서 내용중에 어려운 문장이나 단어, 인용한 자료에 대한 설명, 출처를 문서에 언급해야 합니다. 이유는 저작권이나 해석에 어려움을 주지 않기 위함이죠. 간단히 말해 내가 적은 글이 누구에게나 쉽게 접근 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책을 보거나 문서를 보다보면 가끔 보이기도 할겁니다.
주석 중에는 문서의 용도에 맞춰 [각주] 와 [미주]로 구분하여 기능을 설정할수 있습니다. 간단한 내용은 문서를 필요 없겠지만 그래도 깊이가 있는 글에서는 꼭 필요한 기능입니다.
주석의 각주 및 미주 기능
주석에서 각주와 미주로 나뉘는 [ 각주 ] 는 해당 문서의 아래 부분에 주석이 달리는 겁니다. 본문에서 필요한 주석이 문서 하단에 달려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는 해당 문서의 아래 부분에 주석이 달리는 겁니다. 본문에서 필요한 주석이 문서 하단에 달려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미주 ] 는 해당 주석이 본문에 하단에 붙는것이 아니라 최종 문서를 뒷쪽에 나열되는 형식입니다. 특히 인용한 문구에 대한 설명들에서 많이 사용되는 기능이죠
한글 문서에서 각주 다는법
한글 문서에서 각주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 Ctrl + N, N) 을 단축키로 사용합니다. 생각보다 어려운 작업은 아닙니다. 기능에 대한 이해와 필요성을 느낀다면 간단한 작업으로 진행이 가능합니다.
먼저 자신이 작성하는 한글 문서를 열고, 메인 메뉴에서 입력 화면을 찾습니다. 해당 화면으로 이동하면 [ 입력-> 주석 ] 화면이 나오는데 여기에 있는 주석을 클릭합니다. 여기서 각주와 미주가 나오는데 이번에는 각주를 선택합니다. 각주를 선택하면 바로 본문 하단에 1) 이라는 문자가 생성이 되는데 이부분에 설명할 내용을 작성하면 됩니다.
[ 주석 각주 작성 ]1. 한글 문서를 실행합니다.
2. 입력 – 주석 – (각주/미주) 중 하나를 실행
3. 번호모양을 선택하는데 기본은 [ 1) ] 설정됨
– 필요한 경우 각주 번호를 변경
4. 각주가 생성되면 설명자료 기재
한글문서 미주 다는법
[ 미주 ] 의 주석을 다는 목적은 동일합니다. 다만, 미주는 전체 설명 내용을 문서 가장 한단에 모아서 작성을 합니다. 논문이나 서적에서 많이 사용하는 경우인데 인용에 대한 출처를 밝힐때 사용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한글 문서 각주 세부 설정
한글 문서에서 각주를 다는법은 위에서 설명이 되었겠지만 세부 항목은 일일히 조정을 해줘야 합니다. 먼저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이 [ 각주 번호 모양 ] 입니다. 개인적 취향도 있겠지만 문서에 맞는 모양을 선택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여기서 모양을 보면 기호나 아라비안숫자, 원모양 글자, 한자 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및 기호 모양 변경 숫자나 문자를 일정한 규칙에 의해 반복적으로 사용이 가능함 번호 모양에서 [ 기호 ] 는 문자표에서 선택이 가능합니다
구분선 넣기 본문과 각주를 구분하기 위해 구분선을 지정할 수 있음 길이와 굵기, 색 등을 설정이 가능함
다음은 구분선을 설정하여 포인트를 강하게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구분선 또한 스타일에 맞춰 변경도 가능합니다. 문서는 보기좋게 이쁘게 만들어야 합니다. 내용도 중요하지만 보는 사람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 한글문서 각주 세부 설정 ]1. 각주 번호 모양 설정 : 숫자, 원모양 문자, 가나다라, 한자 등
2. 각주 구분선 설정 : 길이, 스타일 등
3. 각주를 미주로 변경 설정
4. 각주 지우기 기능
( 각주 다는법 요약 )
한글 문서에서 각주를 다는 법을 알아 봤습니다. 생각보다 쉬울수 있습니다. 하지만 각주를 다는 문서를 작성을 해야 누가 봐도 이해하기 쉬운 문서를 작성하는 겁니다. 어려운 문자를 쓴다고 좋은 문서가 아니라 이해도에 초첨을 맞춰 작성해야합니다. 문제점과 해석, 포인트를 명확히 집어줘야 하는 문서가 훌륭한 문서입니다.
글을 작성하다보며 문서도 만들고 계획서, 공문, 표준서식에 의한 다양한 문서를 만들어야 합니다. 또한 전문적인 글을 작성할 때도 꼭 필요한 기능 중에 하나입니다. 그래서 각주를 달고 주석에 대한 해석으로 글에 퀄리티를 높일려고 하는 겁니다.
누가 봐도 보기좋은 글이 기본적으로 사람과 같이 체형이 잘잡힌 글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럼 주석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좀 더 쉽게 작성을 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거 같아 아쉽네요.
한글 각주 미주 다는법 주석 달기
안녕하세요. 나이팁니다. 주말 잘 보내고 계신가요? 오늘은 한글에서 주석 다는 법, 각주와 미주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아무래도 이 각주를 잘 활용하여 문서바다 부연 설명을 잘 해 준다면 글 전반적으로 짜임새도 있어 보이고 퀄리티도 좋아 보이겠죠? 효율성도 좋고 말이죠.
혹시 모르셨던 분들은 좋은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각주 달기
먼저 각주를 달아 보겠습니다. 저 빨간 테두리 문장의 각주 부분에 달아 볼 텐데요. 각주를 달려고 하는 단어나 문장을 선택한 다음에 (혹은 그 곳에 마우스 커서를 위치시켜 놓고)
메뉴의 [입력] – [주석] – [각주] 순서대로 클릭하면 됩니다. 단축키는
입니다. 저 단축키 표시는 컨트롤을 누른 상태에서 N을 눌렀다 떼고 다시 한 번 N을 누르라는 의미입니다.
그러면 이렇게 원하는 위치에 각주 번호가 표시가 되는데요.
그리고 현재 페이지 하단에 이 각주에 해당하는 내용을 입력할 수 있게 됩니다.
각주 부분에 마우스 커서가 위치해 있으면 이렇게 보시는 것처럼 주석 관련 메뉴가 생기는데요. 여기서 다양하게 형태 옵션을 바꿀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본적으로 번호가 나오는데 이것을 다른 모양으로 바꿀 수 있고
각주 구분을 하는 긴 선의 길이를 바꿀 수도 있습니다.
그 선의 색도 변경할 수 있죠. 각주 내용 부분은 흔히 문서 편집할 때처럼 글자 크기나 폰트 모양, 색상 모두 자유롭게 변경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주석 옵션을 통해서 수정해 보았습니다.
각주를 지우고 싶을 때는 해당 각주를 일반 단어 지우듯이 델렛키나 백스페이스로 지워주시면 저런 메시지와 함께 삭제할 수 있습니다.
미주 달기
미주는 각주 다는 법과 기본적으로 거의 똑같습니다. [입력] – [주석] – [미주]를 차례대로 클릭하시면 되구요. 단축키는
입니다. 미주를 달게 되면 각주와 가장 큰 차이점이 바로 현재 페이지의 끝이 아닌 문서의 끝에 내용이 나오게 된다는 점입니다.
어떤 페이지의 어떤 단어에 미주를 삽입하더라도 모두 문서의 맨 마지막에 차례대로 나오게 되니 이 점 참고해 주세요.
이것으로 한글에서 각주와 미주 다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각주 다는 법
다음은 Bing에서 각주 다는 법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각주, 미주 넣는 방법
- 각주 장별로 새번호 넣기
- 각주넣기
- 주석넣기
- 미주넣기
- 각주 내용만 문서저장
- 한글문서편집
- 한글편집
- 아래한글
- 한글각주
- 각주간간격
각주, #미주 #넣는 #방법
YouTube에서 각주 다는 법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각주, 미주 넣는 방법 | 각주 다는 법,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