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각주 쓰는 법 – 각주, 미주 넣는 방법“?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ppa.maxfit.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maxfit.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에딧클래스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4,640회 및 75525 Like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사슴찡이에요 🙂 …
- 정기간행물 논문에서 참고했을 경우 …
- ▶저자, 책 이름, 출판사, 출판년도, 쪽수. …
- ▶저자, 책이름, 옮긴이 역, 출판사, 출판년도, 쪽수. …
- ▶항목, (필자), 사전이름, 출판사, 출판년도. …
- ▶기사제목, 신문이름, 날짜, 면 수.
각주 쓰는 법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각주, 미주 넣는 방법 – 각주 쓰는 법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각주, 미주를 넣는 방법, 장별로 각주번호 새로시작, 주석 내용 별도 저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각주 쓰는 법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보고서쓰기, 각주와 참고문헌 다는 방법, 각주다는 법, 참고문헌 …
각주와 참고문헌 형식쓰는 방법! 요즘 정보란이 잘 안되어 있어서 ㅎㅎ 그리고 대딩들 이제 기말이지?!ㅎㅎ 보고서 쓰기!!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5/3/2021
View: 8918
형식에 맞춰 각주달기, 워드, 한글에서 각주 다는법을 제대로 알자
② [Ctrl+N] : 각주메뉴를 선택하는 단축키입니다. 엔터를 누르면 각주가 생성되고,. 모양을 미리 정하고 각주를 만들 경우 [N]을 누르면 주석모양 설정창 …
Source: wonderday777.tistory.com
Date Published: 12/16/2022
View: 158
각주 다는 법 – Linchpin
각주 다는 법 · 1. 단행본의 경우, 저자, 「책제목」 , 출판사, 출판년도,인용페이지 · 2. 학위논문의 경우, 저자,「논문제목」 , 논문을 발표/ 인증한 곳, …
Source: youngmikim.tistory.com
Date Published: 9/29/2022
View: 737
각주 다는법 / 한글 각주 / 참고논문 표기법 / 레포트 각주 / 논문 …
ㅇㅇ대학교 ㅇㅇ학위 논문. 출판연도. … 저자. (제목). ((신문)). 출판연도 월 일. … 저자. (제목). ((자료 출간지)). 발간연-월-일(또는 검색 연-월-일).
Source: byeolahhome.tistory.com
Date Published: 6/21/2021
View: 2327
I. 각주와 참고문헌 작성법
I. 각주와 참고문헌 작성법. 1. 각주번호에 반 괄호를 붙인다( 글 프로그램의 메뉴에서 “입력-주석-각주모양”에서 해당 꼴을 지정할 것).
Source: sjkim.ivyro.net
Date Published: 8/16/2022
View: 3085
[논문 작성 방법(16)] 각주, 미주의 차이점과 사용법
문장의 중간 부분에 각주를 포함시켜야 하거나 문장에 하나 이상의 각주가 들어가야 할 때때는 가장 관련 있는 문장의 끝에 쉼표를 넣어야 합니다. 또는, …
Source: goodthought.tistory.com
Date Published: 6/2/2021
View: 9338
각주? 참고문헌? 복잡하다 복잡해! 한방에 알아보는 보고서 …
각주 정리법. ㅣ바로 앞의 같은 논문(글, 책)을 인용할 경우 = 위의 책(글, 논문). 예시) 1) 김잡코, 「좋은 논문 쓰는 방법 연구」, 잡코대 박사학위 …
Source: www.jobkorea.co.kr
Date Published: 8/3/2021
View: 6825
참고문헌, 출처 적는 방법 / 주석,각주 표기하는 … – 철길만걷자
레포트 / 논문 작성시 참고문헌(출처) 적는법, 주석 / 각주에 다는 법. 참고문헌의 종류에 따라 조금씩 각주를 다는 방법이 달라지게 됩니다.
Source: walkrail.tistory.com
Date Published: 2/4/2022
View: 1844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각주 쓰는 법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각주, 미주 넣는 방법.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각주 쓰는 법
- Author: 에딧클래스
- Views: 조회수 4,640회
- Likes: 75525 Like
- Date Published: 2021. 7. 6.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TGWwZ9qLnJY
각주 다는법 총정리
※ 각주를 달 때에 마지막에 (.) 온점을 꼭 넣으시고, 위 형식이 아니더라도 교수님들의 선호하는 스타일을 따라서 작성하시면 좋습니다.
※ 같은 페이지 내에서 똑같은 책을 인용하게 될 때는 위의 책 이라고 표기하시면 됩니다.
예) 1) 사슴찡, 각주다는 법, 사슴출판사, 2018, p21.
2) 위의 책, p22.
3) 위의 책, p35
※ 같은 페이지가 아니더라도 앞에서 인용했던책이 계속 반복 등장하는 경우에는 앞의 책 이라고 표기하면 됩니다.
예) 1) 사슴찡, 각주다는 법, 사슴출판사, 2018, p36
2) 콩순이, 미주다는 법, 콩순이출판사, 2018, p41
3) 사슴찡, 앞의 책, p55
보고서쓰기, 각주와 참고문헌 다는 방법, 각주다는 법, 참고문헌다는 법! 종류별로 각주 참고문헌다는 법이 있었넹!!꼭 참고하자!!
보고서쓰기, 각주와 참고문헌 다는 방법, 각주다는 법, 참고문헌다는 법! 종류별로 각주 참고문헌다는 법이 있었넹!!꼭 참고하자!!
보고서 쓰기!!
각주와 참고문헌 형식쓰는 방법!
요즘 정보란이 잘 안되어 있어서 ㅎㅎ
그리고 대딩들 이제 기말이지?!ㅎㅎ
보고서 쓰기!!
막판에 완전 과제 많을텐데 ㅎㅎ
힘내라구 ㅋㅋ
나도 보고서나 논문쓸 때 넘 힘들었엉 ㅋ
이것도 보고 저것도 봤는뎅
에브리타임에서 잘 정리해줘서
올린당!! ㅎㅎ
예전에 봤었는데 이제 올리넹 ㅎ
암튼!! 잘 참고해!!
보고서 쓰기!
-각주와 참고문헌편-
출처 에브리타임
각주와 참고문헌의 의미!!ㅎ
바로 이것이지용 ㅎㅎ
각주는 따로 정보를 표시,
참고문헌은 인용한 자료 표시!
요즘 참고문헌을 표시 안한
표절 논문들이 판을 쳐서
이만 저만 아니징!!
기말 레포트 혹은 논문쓸때
주의하라구!!ㅎㅎ
각주와 참고 문헌 적는법!!
1. 단행본의 경우
저자, 『 책제목 』,출판사,출판년도,인용페이지
2. 학위논문의 경우
저자, 「논문 제목 」,논문을발표/인증한곳,발표년도,인용페이지
어때! 쉽지?ㅎㅎ
3.신문기사의 경우
기자, “기사 제목 ”,신문사,기사작성 년월일,인용된 면
4. 인터넷 자료의 경우
글쓴이, 「제목 」,자료의출처 본인이 인용한 년월일,링크주소
오 인터넷 자료의 경우도 있넹!!
요즘 인터넷 많이 하는데
꼭!! 참고해야겠다!!
5. 사전의 경우
글쓴이, 『사전명 』- “용어 ”,출판사,출판년도(혹은 년월일)
각주 적는법
1)해당문장의 끝: 저자, 출판년도, 쪽수와 같은 간략한 정보만 적기
2)각 페이지의 마지막에 적기
어때!! 쉽지?ㅎㅎ
마지막!!! 참고 문헌 적는법!!
각주와 참고 문헌의 작성법은 동일!
각주를 포함하여 맨 마지막 장에 몰아서 적기!
와우! 본이 아니게 에브리타임꺼를 가지고 왔는뎅!
넘 좋당!! 유용해!!
담에 또 이용해야징 에브리타임!!ㅎㅎ
좋아죠아!!
각주 다는법 -형식에 맞춰 각주달기, 워드, 한글에서 각주 다는법을 제대로 알자
논문이나 레포트 작성시 각주를 달아야 하는 경우들이 종종있고, 이외에도 저작권이 중시됨에 따라 인용된 자료의 출처를 밝히기 위한 각주를 작성하야만 하는 일이 예전보다 많아진 것 같습니다. 알듯 모를듯한 각주 다는 법 은근히 까다롭죠?! 그래서 오늘은 각주다는법에 대해 자세히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첫째, 각주가 무언인지 정확히 알고,
둘째, 제대로 된 형식의 각주 다는법은 어떻게 되는지
마지막으로 한글이나 워드프로세스 같은 프로그램에서 각주달기 방법 등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각주란?
본문의 내용에 관해 부가적 설명이 필요할 때 달게 되는 주석으로 대개의 경우 기술하는 출처를 밝히는 용도로 씌져집니다. 비슷하게 사용되는 형식으로 미주가 존재하는데 둘의 가장 큰 차이는 각주는 각 페이지 하단에 표시하고, 미주는 문서의 맨 뒤에 취합해서 표기하는 형식입니다.
각주 – 보통 본문 내용의 특정부분의 뜻을 보충하거나 풀이한 내용, 출처 등을 본문하단에 표시,
본문과 같은 페이지에 있어 내용을 참고하기 쉬움
미주 – 보통 본문에서 인용한 자료 출처(참고문헌) 및 부가설명을 문서 맨 뒤쪽에 모아서 표시
뒤쪽에 모여있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확인 가능
각주 다는법 형식 제대로 알기
각주를 다는 형식이 다양하긴 하지만 그래도 일반적으로 많이 쓰는 형태로 정리해볼까 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인용한 자료의 경우 엄밀히 말하면 내가 쓴 글이 아니기 때문에 저작권보호와 알림 차원에서 누가 어느참고문헌에서 밝혔는지 자세히 쓰는 것이 제대로 된 형식의 각주 다는법이라는 점입니다.
책의 경우 – 저자명, 저서명, 출판사, 출판년도, 해당페이지
논문 및 학술저널의 경우 – 저나명, 논문·저널명, 출판사, 출판년도, 해당페이지
신문의 경우 – 기자명, 기사제목, 신문명, 일자, 해당면
인터넷의 경우 – 사이트명, 해당URL(자세하게)
사전의 경우 – 저자, 사전명, 출판사, 출판년도
※ 위 형식은 일반적인 경우이며 반드시 이것이 정답이라는 것은 아니니 논문이나 레포트 작성시 요구되는 형식에 맞춰 작성하시면 됩니다.
한글 각주 다는법 및 단축키
한글프로그램에서 각주 다는 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한글을 실행한 후 각주를 달 단어 뒤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상단 메뉴 중 [입력]-[주석]-[각주]메뉴를 선택합니다.
페이지 하단에 각주에 들어갈 내용을 입력합니다.
각주가 달린 곳에 하단 각주 번호와 같은 각주가 생성되어있습니다. 번호는 각주를 달 때마다 자동으로 늘어납니다.
각주의 디자인을 바꾸려면 주석 메뉴에서 설정을 변경하면 됩니다.
한글 단축키 (순서대로 입력해야함)
① [ALT+D] : 상단메뉴 중 입력메뉴를 선택하는 단축키입니다. 단축키를 누르거나 입력메뉴를 선택하세요
② [Ctrl+N] : 각주메뉴를 선택하는 단축키입니다. 엔터를 누르면 각주가 생성되고,
모양을 미리 정하고 각주를 만들 경우 [N]을 누르면 주석모양 설정창이 뜹니다.
워드 각주 다는법 및 단축키
MS워드프로그램에서 각주 다는 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워드프로세스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각주를 달 단어 뒤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상단 메뉴 중 [참조]-[각주삽입]메뉴를 선택합니다.
페이지 하단에 각주에 들어갈 내용을 입력한 후 본문에서 각주번호게 제대로 달렸는지 확인합니다.
워드 단축키
① [ALT+Ctrl+F] : 각주를 생성하는 단축아이콘입니다.
② [ALT+Ctrl+D] : 미주를 생성하는 단축아이콘입니다.
이상으로 각주 다는법에 대한 정리를 마칩니다.
각주 다는 법
1
과학 분야 저술 시 추가 연구 중 기존 연구 결과를 뒤집지 못하는 연구라면 각주에 그 내용을 적지, 본문 내에 직접 인용하지는 않습니다.
각주에 원문의 출판 정보를 쓰는 대신 다른 부가적인 정보 혹은 관련성이 약간 떨어지는 정보들, 여기저기에서 주워모아 본문내에 바로 인용하지는 않은 내용을 적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데이비드 포스터 월리스(David Foster Wallace)는 장편 소설에서 한 페이지 길이의 각주를 일종의 농담으로 사용했습니다. 학술적 저작물에서는 이런 식의 각주를 드물게 사용해야 하지만 회고록이나 기타 논픽션 스타일의 산문에서는 이렇게 쓰는 일이 흔합니다.
각주 다는 법
반응형
각주
각주는 본문의 맨 아래에 보충 정보난 인용문의 출처를 제공할 때 사용하니다.
각주에 간단하고 명확하게 필요한 정보만 넣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워드에서 각주 다는법.
글쓰기(예:각주 넣는 방법) -> 참조 -> 각주삽입 -> 각주 번호 생김 -> 문서 하단 각주 넣는 란 생성
참고자료에 따른 표기 방식
1. 단행본의 경우,
저자, 「책제목」 , 출판사, 출판년도,인용페이지
2. 학위논문의 경우,
저자,「논문제목」 , 논문을 발표/ 인증한 곳, 발표년도, 인용페이지
3. 신문기사의 경우
기자, “기사 제목” , 신문사, 기사작성 년월일, 인용된 면
4. 인터넷 자료의 경우
글쓴이, 「제목」, 자료의 출처, 본인이 인용한 년월일, 링크주소
5. 사전의 경우
글쓴이, 「사전명」, – “용어”, 출판사, 출판년도 (혹은 년월일)
반응형
각주 다는법 / 한글 각주 / 참고논문 표기법 / 레포트 각주 / 논문 참고논문 쓰는법 / 레포트 참고문헌 찾기 / 참고논문 사이트 RISS
반응형
안녕하세요 별미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참고논문 찾는 법 / 표기법 을
알려드리려고 해요.
저도 처음에 대학교에 와서 레포트나
소논문을 써야할 때 참고문헌을 어디서 찾아야하지?
도서관에서 책을 다 찾아봐야하나?
고민이 있었는데요.
왠만한 논문은 riss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네이버에 검색하면 riss사이트가 나오는데요.
여기에 필요한 자료를 검색하면 됩니다.
가끔 유료로 열람해야하는 자료가 있는데
이럴 경우 현재 다니고 있는 대학교나 교육기관에서
무료로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을 주는데요.
보통 대학교에서는 도서관 홈페이지에서 같은 논문을
검색하면 열람이 가능합니다.
레포트를 쓸 때 교양 같은 경우는
각주를 필수로 달아라~
는 과제를 줄 때가 있는데
이런 경우 논문을 참고해서 달면 베스트입니다.
여기서 각주는 뭐냐?
네이버에 검색해보니 너무 어렵게 설명이 되어있죠…
쉽게 말하면 내가 참고한 부분에 출처를 밝히는 것 인데요.
레포트에 그냥 복붙한 부분도 있겠지만
약간의 참고를 한 부분도 꼭 이 출처를 밝혀야합니다.
(유사도 검사에서 걸림)
각주는 한글에서는
상단>입력>주석으로 달 수 있어요.
그럼 해당문장 뒤에1)
이런식으로 번호가 붙고
글 밑에 1)이라고 출처를 밝힐 수 있게 공간이 생깁니다.
그러면 이러한 형태로 출처를 남기면 되는데요.
각주를 쓰는법은 참고문헌 표기법과 같으니
뒤에서 설명할께요!
그럼 참고문헌은 뭐냐?
참고문헌은 글을 다 쓴 후에
따로 페이지를 만들어서
글에 나오지는 않았어도
(각주를 제외하고도)
참고한 문헌을
가나다순서로 정렬해서 첨부하는 것인데요.
각주는 어느부분을 참고했는지 출처를 밝히는 것
참고문헌은 이 글을 쓰는데 참고한 글을 적는 것
입니다.
이 각주와 참고문헌을 표기하는 방법이
글의 성격마다 달라서
어려운데요.
순서는
저자>자료>어디서>언제
입니다.
하나씩 살펴볼께요
여기서
((큰꺽쇠)) (작은 꺽쇠)
로 표현할께요.
1. 단행본
저자. ((제목)). 출판사. 출판연도.
순서대로 적어줍니다.
2. 편집서, 학술지 논문
저자. (제목). ((출판지명)). 출판연도. 페이지.
3. 학위 논문
저자. (제목). ㅇㅇ대학교 ㅇㅇ학위 논문. 출판연도.
4. 신문칼럼
저자. (제목). ((신문)). 출판연도 월 일.
5. 온라인자료
저자. (제목). ((자료 출간지)).
발간연-월-일(또는 검색 연-월-일). 검색주소.
온라인자료 같은 경우에는 출간지나 제목이 없을 경우에는 생략, 영화 같은 경우 단행본을 따르고
제작사를 적어주면 됩니다.
각주의 경우 같은 글을 더 언급할 경우
저자. 앞의 글.
로 출처를 밝히면 된답니다.
복잡하지만 이러한 형식만 지켜도
레포트는 반틈이상은 먹고 들어간다고 생각해요.
사실 학부에서는 새로운 사실을 밝히기보다는
얼마나 학술적인 글쓰기를 잘하는 지 (형식에 맞게)
+적당한 자료 찾기
+약간의 나의생각
가 중요해요.
모두 유용하게 쓰셨으면 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반응형
[논문 작성 방법(16)] 각주, 미주의 차이점과 사용법
728×90
반응형
SMALL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건강한 가족회복, 개인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1. 각주, 미주의 차이점과 사용법
안녕하세요. 논문 작성 방법 15에서는 ‘요약’ 부분을 어떻게 써야하는지, ‘서론’ 부분의 작은은 어떠한 방향으로 하는 거이 좋은지 알려드렸습니다. 오늘은 본론 작업을 하는데 꼭 필요한 각주, 미주 다는 법과 또 그 차이점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우선 각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터넷 검색창에 ‘각주’를 입력하면 다음과 같은 정의가 뜹니다.
논문 따위의 글을 쓸 때, 본문의 어떤 부분의 뜻을 보충하거나 풀이한 글을 본문의 아래쪽에 따로 단 것.[비슷한 말] 아랫주, 주각4
즉, 논문 속의 각주는 페이지의 맨 아래에 배치된 설명으로 위의 텍스트의 지정된 부분에 대한 언급이나 논평을 설명해주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각주는 인용의 출처를 밝히는 참조 각주와 본문의 내용을 보충적으로 설명해주는 내용 각주가 있습니다. 각주를 사용하다 보면 이를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우선 각주는 단지 흥미로운 설명을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기억하셔야 합니다. 때로는 단순히 관련 소스(정보 따위의 출처, 정보를 제공하는 사람이나 자료)를 참조하기도 합니다. 특정 자료의 출저 또는 주제에 대한 다른 출처를 찾을 수 있는 위치를 독자에게 알릴 수도 있습니다.
그럼 참조 각주란 무엇을 의미하고 내용 각주란 무엇인지, 또 그 각각의 특성은 어떤 것이 있는지 좀 더 세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내용각주는 특수용어나 전문용어에 대한 개념 정의 및 풀이, 본문 내용의 추가 및 삭제, 보충 설명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합니다. 여기서 여러분들이 주의하셔야 할 점은 바로 내용 각주를 너무 과용하면 본문의 중요성이 오히려 줄어들 위험이 있다는 겁니다. 따라서 내용 각각주를 사용하기 전에는 그 사용 가치 또는 이유를 충분히 고려하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예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2. 각주, 미주의 차이점과 사용법
위 사진에서 2) 3) 뒤에 써져 있는 부분이 바로 내용 각주입니다. 2번은 확인 하실 수 없지만 ‘4대강 유역 정비 사업’을 설명하는 각주이고, 3번은 보시다시피 ‘프레이밍 이론’에 대한 설명입니다.
그럼 이번에는 참조 각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참조각주는 위에서도 말씀드렸듯 인용의 출처를 밝히기 위해서 각주를 사용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그러나 이 경우 참조 인용과 참고 문헌 목록을 통해 밝혀지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참조를 위한 각주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만약 이 부분이 너무 생소하고 어려우신 분들이라면 과감하게 넘기셔도 됩니다. 그래도 궁금증을 가진 분들이 있으시기 때문에, 이 또한 예시를 들어 보겠습니다.
3. 각주, 미주의 차이점과 사용법
여기서 2)에 해당하는 부분이 바로 출처 표시를 하는, 참조 각주에 해당합니다. 1)은 위에서 설명 드린 내용을 생각해 보시면, 내용 각주라는 점 이해하실 수 있을 겁니다.
다음으로는 각주, 또는 미주에 대해 자주 물어보시는 질문들을 몇가지 정리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첫 번째로는 작은 각주 표시의 위치에 대한 질문입니다. 작은 각주는 가능하면 문장이 끝나는 마침표나 문장부호가 나오는 즉시, 문장 끝에 넣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 문장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각주 다음 두 칸을 건너뛰는 것도 잊지 말세요. 문장의 중간 부분에 각주를 포함시켜야 하거나 문장에 하나 이상의 각주가 들어가야 할 때때는 가장 관련 있는 문장의 끝에 쉼표를 넣어야 합니다. 또는, 가장 관련성이 높은 단어의 끝에 바로 놓고, 각주가 문장의 끝에 있지 않다면 문장 뒤 하나의 공백만 건너 뛰시면 됩니다.
두 번째는 바로 정말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실 정보입니다. 바로 각주와 미주의 차이점입니다. 이 둘의 유일한 차이점은 ‘게재 위치’입니다. 각주는 관련 페이지 하단에 표시되고 미주는 문서 끝에 나타납니다.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실 만하죠? 독자가 여러분의 메모를 바바로 읽으려는 경우 각주는 그 해당 독자의 주의를 끌 수밖에 없습니다. 즉 각주는 논문을 읽을 때 바로 눈길을 사로잡는 반면, 미주는 문서 끝에 표기되기 때문에 흐름에 방해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4. 각주, 미주의 차이점과 사용법
마지막 질문은 각주 또는 미주에 출처를 인용할 경우, 이러한 방법이 참고 문헌을 제시하는 것과 다른 점이 무엇일까요. 특히나 문서 끝에 표기하는 미주의 경우 많은 사람들이 참고 문헌과 그 형식 또는 내용에 혼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약 이 글을 보고 계시는 여러분이 논문 작성을 많이 해보지 않으신 분들이라면, 공감하기 어려우실 수도 있겠지만 때로는 인용문을 괄호로 묶어 사용하는 경우가 필요할 때도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품을 인용’하는 경우에는 그 문장에 해당하는 문헌의 목록만 포함될 것입니다. 그러나 논문의 맨 마지막에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합니다. 또 대부분의 독자들은 자료 출처를 보기 위해 주석과 기타 정보를 하나하나 일일이 모두 검토할 필요가 없으므로 각주 또는 미주보다 더 편리하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5. 각주, 미주의 차이점과 사용법
이쯤 되면 각주와 미주를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궁금하게 됩니다. 그래서 제가 그 형식과 사용법을 간단하게 정리해 봤습니다. 우선 각주의 경우, 어떤 자료에 다느냐에 따라 그 형식이 다릅니다. 아래에 간단하게 정리를 하겠습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물론 제가 설명드리는 건 참조 각주의 형식입니다. 내용 각주는 단순히 정보를를 추가적으로 기재해 주는 것이기 때문에 이렇다할 형식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1. 학위논문의 경우
-저자, 『논문제목』 논문을 발표/인증한 곳, 발표 연도, 인용 페이지
2. 신문기사의 경우
-기자, “기사 제목”, 신문사, 기사작성 연월일, 인용된 면
3. 단행복의 경우
-저자, 『책제목』, 출판사, 출판연도, 인용 페이지
4. 학술지 논문의 경우
-저자, 『논문 제목』, 논문 바발표 학회명, 논문이 실린 학회지 이름(호수), 발표연도, 인용페이지
5. 인터넷 자료의 경우
-글쓴이, 『제목』, 자료의 출처, 본인이 인용한 연월일, 링크주소
6. 사전의 경우
-글쓴이, 『책 제목』, “용어” 출판사, 출판연도
각주, 미주의 정의와 그 종류, 그리고 차이점과 그 형식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유용한 정보가 되셨길 바라빈다. 논문을 작업하는 과정이 처음에는 어려울지 몰라도 이렇게 하나하나씩 알아가다 보니 조금은 쉽게 느껴질 겁니다.
6. 각주, 미주의 차이점과 사용법
-한국상담학신문-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제휴 및 강의 문의: 010-2788-3025
반응형
LIST
각주? 참고문헌? 복잡하다 복잡해! 한방에 알아보는 보고서&논문 작성법!
취업하기도 바빠 죽겠는데, 과제는? 논문은?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
논문에 대해 1도 모르는 당신들을 위해 준비했다. 좋은일 연구소와 함께 알아보는 기초 논문 작성법!
(이미지 = 잡코리아 좋은일 연구소 DB)
1. 기본 규격
ㅣ용지 종류
A4(210X297mm)
ㅣ용지여백
위쪽 : 25
오른쪽 : 25
아래쪽 : 20
머리말 : 15
꼬리말 : 15
ㅣ문단 모양
정렬방식 : 양쪽정렬
문단여백 : 왼쪽 0pt, 오른쪽 0pt
줄간격 150%~180%
ㅣ글자 모양
글꼴 : 신명조
장평 : 100
자간 : 0
크기 : 10pt~11pt
2. 각주
ㅣ내용 각주 : 용어 개념정의 및 풀이, 보충설명을 위한 각주
예시) 잡코리아 좋은일 연구소5) 에서는 대학생 남년 각각 100명을 대상으로 취업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를 조사했다.
5) 좋은일 연구소는 취업, 채용, 인턴, 이력서, NCS, 직업, 공기업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연구소 입니다.
ㅣ참조 각주: 인용의 출처를 밝히기 위한 각주
각주번호) 저자명, 저서명, (발행지:발행사, 발행년), 인용면수
예시) 취업이 어렵다1)는 결과 또한 같은 맥락에서~
1) 김잡코, 취업난 속에서 살아남기, (서울: 잡코출판사, 2016), PP.33-4
3. 각주 정리법
ㅣ바로 앞의 같은 논문(글, 책)을 인용할 경우 = 위의 책(글, 논문)
예시)
1) 김잡코, 「좋은 논문 쓰는 방법 연구」, 잡코대 박사학위 논문, 2016, 23면
김잡코, 위의 논문, 13면
ㅣ바로 앞은 아니지만 앞에서 이미 인용한 바 있는 논문(글,책)을 인용할 경우 = 앞의 책(글, 논문)
예시)
1) 김잡코, 『현대인의 취업난 극복』, 잡코리아 출판사, 2016, 16면
2) 박취업, , 『이렇게 공부했어요』, 좋은일연구소 출판사, 2016, 33면
3) 김잡코, 앞의 책 55면
4. 참고문헌 작성법
ㅣ저서일 경우
저자명, 『저서명』, 판수, 출판지 : 출판사, 참고 페이지, 출판연도
예시) 김잡코, 『나도 논문을 잘 쓰고 싶다!』. 서울: 잡코 출판사, 2016
TIP. 출판연도는 저자명 뒤 괄호를 묶어서 제시할 수도 있습니다.
ㅣ번역서일 경우
저자명, 『저서명』, 옮긴이, 출판지: 출판사, 참고페이지, 출판연도
예시) 김잡코,『나도 논문 잘쓰고 싶다!』, 김옮김, 서울: 잡코 출판사, 2016
ㅣ학술논문일 경우
저자명, “논문 제목”, 잡지명, 학회명, 권수, 호수, 참고 페이지, 출판연도
예시) 김잡코, “취업보다 논문에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들의 정신분석연구”. 취준생 연구, 잡코리아연구, 19(7), 271-292, 2016
TIP. 논문의 경우 제목을 ” ” 혹은 「」를 사용합니다.
ㅣ학위 논문일 경우
저자명, “논문명”, 학교, 학위논문, 참고 페이지, 출판연도
예시) 김잡코, “취업보다 논문에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들의 정신분석연구”, 취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ㅣ사전 표기 법
저자명, 『사전명』 – “용어”, 출판사, 출판년도
예시) 김잡코,『잡코사전』 – “취업”, 잡코출판사, 2016
ㅣ인터넷 사이트 참고 표기법
사이트 이름, “검색어”, 참고한 날짜, 링크주소
예시) 잡코리아, “논문”, http://www.jobkorea.co.kr/GoodJob/inside, 2016년 6월 22일
ㅣ기사 참고 표기 법
기자, “기사제목”, 신문이름, 신문발행일, 인용된 면수
예시) 김잡코,“논문과 사랑에 빠진 A양”, 잡스패취 일보, 2016년 6월 22일, 1면
잡코리아 좋은일 연구소 ㅣ 이상겸 인턴사원 y_cando@
관련글 더보기
>취업준비하소-23화 열정맨 신입사원 문서잡성 팁
>자기소개서보다 중요한 이력서 쓰기
>인사담당자 198명이 뽑은 잘쓴 자기소개서의 특징
참고문헌, 출처 적는 방법 / 주석,각주 표기하는 방법 / 레포트, 논문 작성시 인용 표기 방법
대학교에서 레포트(과제)를 하다보면 참고문헌을 많이 보게 됩니다. 이럴 때 그냥 복사해서 붙여넣기를 하시면 지적재산권을 위반하게 되고 유사문서로 판별될 확률이 많습니다. 레포트를 할 때 출처를 적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레포트 / 논문 작성시 참고문헌(출처) 적는법, 주석 / 각주에 다는 법
참고문헌의 종류에 따라 조금씩 각주를 다는 방법이 달라지게 됩니다. 어떤 참고문헌을 참고했는지 확인하고 알맞은 순서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1. 저서(단행본, 책)
글쓴이(저자), 도서명(책 이름), 출판사, 출판년도, 인용한 페이지 쪽수
예1 : 이준영, 사회복지행정론, 학지사, 2016, p226 (226쪽)
예2 : Timothy Keller, Walking with God through Pain and Suffering, New York, 2015, p337 (외국도서는 도시의 이름으로 적습니다.)
2. 번역서
글쓴이(저자), 도서명(책 이름), 옮긴이, 출판사, 출판년도, 인용한 페이지 쪽수
예 : 베르나르 베르베르, 개미, 이세욱 옮김, 열린책들, 2001, p387(387쪽)
3. 논문
정기간행 논문
글쓴이(작성자), 논문제목, 논문이 게제된 책이나 잡지(연구서), 잡지권(호)수, (출판사), 출판년도, 인용한 페이지 쪽 수
예 : 김구영·권혁빈, 철도교통관제사의 직무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6 No.10, 2016, p38(28쪽)
학위논문
글쓴이(자성자), 논문제목, 수여 학교 및 학과명, 수여 년도, 페이지
예 : 김대준, 철도산업의 민영화로 인한 가격변화가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02, p17(17쪽)
4. 신문기사
기사제목, 신문이름, 날짜, 면 수
예 : 이명박 구속, ‘4대강 비리’ 전모도 밝혀질까, 경향신문, 2018년 3월 25일, 1면
5. 인터넷 기사
기사 제목, 매체 이름, 작성일시, 사이트 주소(접속일자)
예 : 한국 축구 북아일랜드에 2대1 아쉬운 역전패, 국민일보, 2018년 3월 25일,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2226517&code=61161311&cp=nv (2018년 3월 25일)
6. 사전
항목, 이름, 사전이름, 출판사, 출판년도 (항목 필자 이름이 있으면 필자 이름을 제일 앞에 작성)
예 : 외계인, 동아백과사전, 동아출판사, 1982
작성 예시
특정한 서비스 전달체계에 포함된 모든 조직을 뜻한다. 운영주제별 규정을 따르면, 공공 전달체계의 조직 군은 공공기관으로 구성된 것이고, 민간 전달체계는 민간이 운영하는 조직의 집합이 조직 군이 된다.1)
1) 최덕경·강도명·김준환·김태동·박주현·이은경·전영록, 사회복지행정론, 창지사, 2014, 127쪽
키워드에 대한 정보 각주 쓰는 법
다음은 Bing에서 각주 쓰는 법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각주, 미주 넣는 방법
- 각주 장별로 새번호 넣기
- 각주넣기
- 주석넣기
- 미주넣기
- 각주 내용만 문서저장
- 한글문서편집
- 한글편집
- 아래한글
- 한글각주
- 각주간간격
각주, #미주 #넣는 #방법
YouTube에서 각주 쓰는 법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각주, 미주 넣는 방법 | 각주 쓰는 법,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