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큰 별 | 우주(우리은하)에서 가장 큰 별 – 스티븐슨 2-18 / 태양의 100억 배 / 지구의 1경 2천조 배 / 토성 궤도의 크기 / 상상을 초월하는 별의 크기 75 개의 베스트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가장 큰 별 – 우주(우리은하)에서 가장 큰 별 – 스티븐슨 2-18 / 태양의 100억 배 / 지구의 1경 2천조 배 / 토성 궤도의 크기 / 상상을 초월하는 별의 크기“?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ppa.maxfit.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maxfit.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우주아저씨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998,640회 및 좋아요 9,423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지금까지 밝혀진 별 가운데 가장 큰 별은 지름이 24억km인 방패자리 UY 별(UY Scuti)이다. 비행기를 타고 지구 한 바퀴 도는 데 약 이틀이 걸린다. 하지만 이 별을 한 바퀴 돌려면 무려 950년이 걸리는 엄청난 크기다.

가장 큰 별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우주(우리은하)에서 가장 큰 별 – 스티븐슨 2-18 / 태양의 100억 배 / 지구의 1경 2천조 배 / 토성 궤도의 크기 / 상상을 초월하는 별의 크기 – 가장 큰 별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BGM: Ambient Meditation Soundscape – IVLIOR
. . .
스티븐슨 2-18의 반지름은 무려 태양의 2150배에 이르고
이 별을 한바퀴 돌려면 빛의 속도로는 8시간 이상 걸리며
현재 지구상에서 가장 빠른 록히드 마틴사의 전략정찰기인 유인항공기
SR-71 블랙버드로 날아간다면
500년을 나아가야 이 별의 한바퀴를 돌수 있다.
이 항성의 지름은 약 2,892,600,000km
거의 30억km인데
이 수치는 지구의 지름 12,742km,
목성 139,820km,
태양 1,392,700km 등과 비교한다면
그 크기는 상상을 초월합니다
. . .
참고문헌: https://www.youtube.com/channel/UCmHof0uMcf-KZOZfxmbRrOw/about?view_as=subscriber
Image Source: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Stephenson_2-18_zoomed_in,_2MASS_survey,_2003.png
[email protected]
#우주과학#우주다큐

가장 큰 별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반지름순 항성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래는 현재까지 관측된 별들을 반지름이 큰 순서대로 정렬한 표이다. 반지름의 단위는 태양반경을 기준으로 한다. 반지름 순위에서 상위권을 차지하는 별들은 극대 …

+ 여기에 보기

Source: ko.wikipedia.org

Date Published: 1/3/2022

View: 3162

우주에서 가장 큰 별 TOP 10 – 네이버 블로그

하지만 태양은 우주 전체 입장에서 보면 큰 항성에 속하지 않습니다. 여기서는 우주에서 가장 큰 별 TOP 10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아래 글은 나우뉴스 …

+ 더 읽기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2/18/2021

View: 8312

방패자리 UY – 나무위키

한때 가장 큰 별이었지만…[편집]. 반지름은 태양의 1,708배로 발견된 별들 중 가장 큰 항성이었으나,[1] 큰 …

+ 더 읽기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3/6/2022

View: 9868

우주에서 가장 큰 별 발견, 도대체 얼마나 크기에? 태양의 1300배

한편 인류에 의해 현재까지 관측된 행성 중 우주에서 가장 큰 별은 ‘VY 캐니스 메이저리스’로 크기가 무려 태양의 1450배에 달한다.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ww.yeongnam.com

Date Published: 10/18/2022

View: 3536

우주에서 가장 큰 별은 얼마나 클까? – Astro

현재까지 관측된 바에 의하면, 우주에서 가장 큰 별은 방패자리 UY스쿠티라는 별입니다. 1860년 독일 본 천문대의 천문학자가 가장 처음 발견한 별 …

+ 여기에 보기

Source: codelinko.com

Date Published: 1/28/2021

View: 263

우주에서 가장 큰 별은? : 동영상

별과 유사한 특징을 가진 가장 작은 것들은 거대 가스 행성이나 준갈색왜성입니다. 마치 태양계에서 가장 거대한 행성인 목성처럼요.

+ 여기에 표시

Source: scent.kisti.re.kr

Date Published: 6/26/2021

View: 1661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가장 큰 별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우주(우리은하)에서 가장 큰 별 – 스티븐슨 2-18 / 태양의 100억 배 / 지구의 1경 2천조 배 / 토성 궤도의 크기 / 상상을 초월하는 별의 크기.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우주(우리은하)에서 가장 큰 별 - 스티븐슨 2-18 / 태양의 100억 배 / 지구의 1경 2천조 배 / 토성 궤도의 크기 / 상상을 초월하는 별의 크기
우주(우리은하)에서 가장 큰 별 – 스티븐슨 2-18 / 태양의 100억 배 / 지구의 1경 2천조 배 / 토성 궤도의 크기 / 상상을 초월하는 별의 크기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가장 큰 별

  • Author: 우주아저씨
  • Views: 조회수 998,640회
  • Likes: 좋아요 9,423개
  • Date Published: 2021. 7. 16.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wX2tmVE8gh8

[아하! 우주] 우주에서 가장 큰 ‘별’(항성)은 얼마나 클까?

얼마전 태양 질량의 100배가 넘는 용골자리 에타 별의 생생한 이미지가 미 항공우주국(NASA)에 의해 공개돼 별지기들은 물론 일반인들에게 놀라움과 화제를 안겨주었다. 태양만 하더라도 지름이 지구-달 간 거리의 3.5배인 140만 km에 달하는데, 이보다 100배나 크다는 사실은 충격적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했다.그렇다면 도대체 우주에서 가장 큰 별은 얼마나 클까? 이러한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 필자가 최신 자료를 활용, 별에 관한 재미있는 정보들을 정리해보았다.별은 우주라는 구조물을 이루고 있는 기본적인 자재다. 말하자면 우주의 벽돌이라고 할 수 있다. 우주에는 셀 수도 없는 수많은 별들이 있지만 크기 또한 엄청나고 다양하다. 그중에서 가장 큰 별은 얼마나 클까? 한도 끝고 없이 넓은 것이 우주이니까, 그걸 다 뒤질 수는 없는 노릇인지라 어차피 우리은하와 그 주변의 별들을 대상으로 후보를 뽑을 수밖에 없다.그런데 큰 별들은 거의가 다 적색거성들이다. 별의 종말에 이르러 몸집이 불어날 대로 불어난 별들이 순위를 차지하는 것은 당연한 노릇이기도 하다.다만 별의 크기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다소 어려운 작업이고, 더욱이 어떤 별은 어디까지가 몸체이고 주변 가스인지조차 분별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또 별 크기를 측정하는 기술 역시 세월에 따라 진보하는 만큼 이러한 별 크기 순위는 언제든 바뀔 수도 있다는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지금까지 밝혀진 별 가운데 가장 큰 별은 지름이 24억km인 방패자리 UY 별(UY Scuti)이다. 비행기를 타고 지구 한 바퀴 도는 데 약 이틀이 걸린다. 하지만 이 별을 한 바퀴 돌려면 무려 950년이 걸리는 엄청난 크기다. 하나의 사물이 이렇게 클 수가 있다니! 정말 믿기 어려운 노릇이고 상상이 안 간다. 하지만 사실이다. 우주는 이토록 놀랍다.다음 목록 중 별 이름 다음 괄호 안의 숫자는 태양 크기의 몇 배임을 나타낸다.10위: 전갈자리 AH 별 / AH Scorpii(1,411)전갈자리 AH 별은 전갈자리에 있는 적색초거성으로 3등급 부근의 변광성이다. 온도도 변하는 만큼 크기도 변해 대략 태양 반지름의 1,287~1,535 사이에서 요동한다. 지구와의 거리는 12,000광년. 밝은 동반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9위: 백조자리 KY별/ KY Cygni(1,420)백조자리 KY 별은 3.5등급으로 백조자리 별이다. 실제 밝기는 태양의 300,000배이지만, 거리가 5,000광년이나 떨어져 있어 맨눈으로는 안 보인다.8위: 큰개자리 VY 별/ Canis Majoris (1,420)이 극초거성은 한때 우주 최대의 별로 군림했지만, 보다 정밀한 측정이 이루어진 결과 순위가 뚝 떨어졌다. 큰개자리에 있는 이 별은 태양 크기의 1,420 ± 120배다. 이는 약 13AU(천문단위:지구-태양 간 거리)에 해당하는 길이로, 1,976,640,000km다. 만약 이 별을 태양 자리에 끌어다놓는다면 목성 궤도에까지 미치고, 때로는 토성 궤도까지 넘볼 것이다. 지구로부터 거리는 3,900광년이다.7위: 세페우스자리 RW 별/ RW Cephei (1,435)세페우스자리 RW 별은 황색 또는 적색 극대거성으로, 세페우스자리에 있다. 크기는 태양의 1,260~1,610배로, 평균은 1,435배다. 변광성으로서 그 밝기 변화폭이 너무 커 G2형에서 M형까지를 널뛰기한다. 지구에서 약 11,500광년 떨어져 있다.6위: 세페우스자리 VV 별/ VV Cephei A (1,050-1,900)세페우스자리 VV 별은 지구에서 약 3,000광년 떨어진 세페우스자리에 있는 식쌍성(蝕雙星·식변광성)이자 알골형 변광성이다. 세페우스자리 VV A는 지름이 태양의 약 1,600-1,900배 정도로, 이 별이 현재 태양의 위치에 있다고 가정하면 그 둘레는 목성 공전궤도를 넘을 정도다. 밝기는 태양보다 약 275,000~575,000배다.5위: 궁수자리 VX 별/ VX Sagittarii (1,520)궁수자리 VX 별은 궁수자리 μ별과 삼렬성운 사이에 위치한 적색 초거성으로 맥동 변광성이다. 태양 반지름의 약 832~1,520배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크기로 미루어볼 때, 궁수자리 VX 별은 이미 최후를 맞이했거나 또는 수천, 수만년 뒤에 초신성 폭발로 최후를 맞이할 것으로 예측된다. 지구로부터 약 5,150광년 떨어져 있어 폭발하더라도 직접적인 영향은 없을 것이다.4. 웨스터룬드 1-26 별/ Westerlund 1-26 (1,530)웨스터룬드 1-26 별은 강력한 전파를 내뿜는 청색 극대거성이다. 웨스터룬드 1이라는 초항성 성단에 자리잡은 별로, 대략 태양 반지름의 1,530배, 1,064,880,000km에 이른다. 태양 자리에다 끌어온다면 목성 궤도를 잡아먹을 것이다.3. WOH G64 (1,540)WOH G64는 우리 은하의 동반 은하인 대마젤란 성운에서 발견된 항성들 중 가장 큰 별로, 황새치자리 방향으로 지구에서 약 16만 3천 광년 떨어진 곳에 있다. 크기는 태양반경의 1,540배로 만약 태양 자리에 끌어다놓는다면 항성 표면은 토성 궤도까지 미칠 것이다. 이 별의 주위에는 반지름이 최소 120AU(천문단위)~ 최대 30,000AU에 이르는 도넛 모양의 두터운 가스 물질이 둘러싸고 있는데, 물질의 총질량은 태양의 3~9배에 이른다.2. 백조자리 NML 별/ NML Cygni (1,650)백조자리 NML 별은 특이하게도 성운으로 둘러싸여 있는 극대거성이다. 크기는 태양의 1,650배, 15.3AU, 2,295,000,000km에 이른다. 태양 자리에다 놓는다면 항성 표면이 목성 궤도를 넘어 토성 궤도 중간까지 육박할 것이다. 부피는 태양의 45억 배에 달한다.1. 방패자리 UY별/ UY Scuti (1,708)방패자리 UY 별은 적색 초성성이거나 극대거성으로 방패자리의 변광성이다. 이제껏 알려진 별 중에서 가장 큰 별로, 태양 반지름의 1,708배에 달한다. 지름은 24억km(16AU)이고, 부피는 태양의 50억 배다.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극대거성의 하나로 거리는 약 9,500광년이다. 만약 태양 자리에다 갖다놓는다면 그 광구는 목성 궤도를 삼키고 거의 토성에까지 육박하는 크기다.끝으로, 우주에서 가장 큰 은하는 뱀자리에 있는 IC 1101이라는 은하로, 지름이 약 600만 광년으로 밝혀졌다. 이는 우리은하의 약 60배라는 뜻이다. 인간이 지금껏 만들어낸 가장 빠른 속도는 보이저 1호의 초속 17km다. 총알 속도의 17배인 이것을 타고 이 은하를 가로지르는 데는 무려 60억 년이 걸린다. 이것이 바로 인간에게는 무한이고 영겁이 아닐까?이광식 통신원 [email protected]

반지름순 항성 목록

아래는 현재까지 관측된 별들을 반지름이 큰 순서대로 정렬한 표이다. 반지름의 단위는 태양반경을 기준으로 한다. 반지름 순위에서 상위권을 차지하는 별들은 극대거성이나 적색초거성이다. 이들은 관측방법에 따라 측정값이 달라지기도 한다.

아래 목록 중 상위를 차지하는 별들의 반지름은 막대하게 크기 때문에, 만약 이 별들을 우리 태양 대신 태양계 중앙에 놓는다고 가정하면, 그 표면이 보통 목성 궤도를 전후하여 미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들은 덩치와 비교하면 밀도는 매우 희박하다.

대표적으로 큰개자리 VY가 있는데, 크기는 매우 거대해서 목성의 궤도를 훌쩍 넘고 토성의 궤도에 다다름에도 불구하고 질량은 고작 태양의 17배 밖에 되지 않는다.

개요 [ 편집 ]

목록의 순서는 완벽하지 않으며, 정확히 밝혀진 것이 아니다.

때때로 측정된 값에 큰 불확실성이 있다.

대부분 별과의 거리는 정도가 달라서 불확실하며 이러한 불확실성은 크기측정에 영향을 주게 된다.

거대한 대기를 가진 목록의 모든 별은 대부분 불투명한 먼지껍질이나 원반에 깊이 숨어있으며, 맥동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의 반지름은 명확하지 않다.

반지름이 큰 별들은 보통 생명의 끝에 다다른 존재이기 때문에 불안정하며, 변광성의 성질을 가진 경우가 많다. 따라서 밝기를 기준으로 한 별들의 반지름값은 측정 기준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보통의 항성 목록에서는 쌍성을 하나처럼 취급하는 경우가 많으나, 아래 목록에서는 분리하여 실었다.

항성진화 모형과 하야시의 불안정대에 기초하여, 우리은하 내의 별들은 태양 반지름의 약 1,500 배를 넘지 못한다는 예측에 대한 이론적 추측이 있다. 정확한 한계에 대해서는 별의 중원소 함량에 달려 있다. 예를 들어 마젤란 성운에 있는 초거성들의 약간씩 다른 온도 및 밝기 한계를 가진다. 한계를 넘는 별들은 거대한 방출과 단 몇달 만의 분광형 변화를 겪는다.

상위권 목록은 발견된 별 다수를 싣고 있으나, 태양과 비슷하거나 그보다 약간 작은 별들은 비교를 위해 일부만 실은 것이다.

은하계 별들 [ 편집 ]

마젤란 은하에 대한 탐사는 많은 적색초거성을 목록에 수록하였고 이들 중 44 개는 그 크기가 최소 태양의 700 배(아래 표 구분행)에서 최대 1,200~1,300 배에 이른다.[1]

목록 [ 편집 ]

참고 문헌 [ 편집 ]

내용주

L/T eff : 볼로미터 광도와 AD: 시직경 과 거리를 기반하여 계산됨L/T 유효온도 를 기반하여 계산됨

참조주

★ 우주에서 가장 큰 별 TOP 10★

★ 우주에서 가장 큰 별 TOP 10★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정말 큽니다!

비행기로도 한바퀴 도는데 꼬박 이틀이라는 시간이 걸립니다.

하지만 태양 입장에서 보면 지구는 정말 작은 천체일 뿐입니다.

태양은 지구보다 109배나 큰 항성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태양은 우주 전체 입장에서 보면 큰 항성에 속하지 않습니다.

여기서는 우주에서 가장 큰 별 TOP 10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아래 글은 나우뉴스 글을 참고로 하였습니다.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117601002)

cf) 별 이름 옆의 (숫자) 는 태양보다 몇배 큰지를 얘기해줍니다.

★ TOP 10 : 전갈자리 AH별 / AH Scorpii(1,411)

Twee mooie dubbelsterren: Xi en Nu Scorpii

이 별은 전갈자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적색초거성으로 3등급 부근의 변광성입니다.

별의 밝기가 변하는 이유가 여러가지가 있는데 이 별은

크기가 변하고 온도가 변해서 밝기가 달라집니다.

크기가 변하므로 태양과의 절대적인 비교는 하기 힘들지만

대략 1,287~1,535 사이의 크기로 변한다고 합니다.

지구와의 거리는 12,000광년입니다.

★ TOP 9 : 백조자리 KY별 / KY Cygni(1,420)

이 별은 백조자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약 3.5 등급의 밝기입니다.

하지만 실제 밝기는 태양의 300,000배이지만

거리가 5,000광년이나 떨어져 있습니다.

http://www.mysutka9.estranky.cz/clanky/hfghegh.html

http://jumk.de/astronomie/big-stars/ky-cygni.shtml

★ TOP 8 : 큰개자리 VY별 / Canis Majoris(1,420)

이 별은 한 때 우주 최대의 별로 존재했지만

정밀한 측정이 이루어진 결과 순위가 이렇게 팍 떨어졌습니다.

태양보다 1420±120배 입니다.

약 1,976,640,000km(약 20억 km)로 13AU 정도의 거리입니다.

(AU :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

13AU 정도면 토성 궤도까지 다가갈 수 있는 크기입니다.

이 별은 지구로부터 약 3,900광년 정도 떨어져 있습니다.

http://freebestpictures.blogspot.kr/2012/10/canis-majoris-wallpapers-1366×768-hd.html

http://www.futuretimeline.net/beyond.htm#.VLr9NWJ_uSo

★ TOP 7 : 세페우스자리 RW별 / RW Cephei(1,435)

세페우스자리 RW 별은 황색 또는 적색을 띄고 있습니다.

크기는 태양보다 약 1,260~1610 배정도입니다.

밝기가 변하는 변광성으로 그 밝기 변화폭이 상당히 큽니다.

지구에서부터 약 11,500 광년 떨어져 있습니다.

http://jumk.de/astronomie/big-stars/rw-cephei.shtml

★ TOP 6 : 세페우스자리 VV별 / VV Cephei A(1,050-1,900)

지구로부터 약 3,000광년 떨어진 이 별은 식변광성입니다.

(식변광성 : 두 개의 별 궤도면이 지구와 시선방향이 일치해서

지구에서 봤을 때 일식과 같이 동일한 현상이 일어나 그 밝기가 변하는 별)

지름이 약 태양의 1,600~1,900배 정도이며

이 정도 크기면 목성 공전궤도를 넘어섭니다.

밝기는 태양보다 275,000~575,000배 정도 밝다고 합니다.

이 별과 함께 도는 VV Cepehi B는 청색초거성으로 태양보다 100,000배 더 밝습니다.

http://driverlayer.com/showimg?v=g&img=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c/c7/Sun_and_VV_Cephei_A.png&org=http://it.wikipedia.org/wiki/VV_Cephei&ti=di%20VV%20Cephei%20A%20e%20del%20Sole.&hos=upload.wikimedia.org

http://tu-astronomia.blogspot.kr/

★ TOP 5 : 궁수자리 VX별 / VX Sagittarii(1,520)

궁수자리 VX 별은 적색 초거성으로 맥동 변광성입니다.

(맥동 변광성 : 별이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여 밝기가 변하는 변광성)

궁수자리 VX별은 이미 최후를 맞이했거나

수천, 수만년 뒤에 초신성 폭발로 최후를 맞이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지구로부터 약 5,150 광년 떨어져 있어서

초신성 폭발이 있어도 지구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없을거라고 합니다.

http://muyinteresantespain.blogspot.kr/2014/02/conoces-las-estrellas-mas-grandes-del.html

★ TOP 4 : 웨스터룬드 1-26별 / Westerlund 1-26(1,530)

웨스터룬드 1-26 별은 강력한 전파를 내뿜는 청색 극대거성입니다.

웨스터룬드 1은 초항성 성단에 자리잡은 별을 말합니다.

태양 반지름의 약 1,530 배이며 1,064,880,000km 정도입니다.

http://www.eso.org/public/images/potw1341a/

http://www.eso.org/public/images/eso1415a/

★ TOP 3 : WOH G64 (1,540)

WOH G64는 우리 은하의 동반 은하인 대마젤란 성운에서 발견된 것 중 가장 큰 별입니다.

황새치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16만 3천 광년 떨어져 있습니다.

크기는 1,540배로 태양계로 오면 항성 표면이 토성 궤도까지 미칠 정도의 크기입니다.

이 별 주위에는 반지름이 최소 120AU~30,000AU에 이르는

도넛 모양의 두터운 가스 물질이 둘러싸고 있습니다.

크기에 비해 물질의 총질량은 태양의 3~9배 정도라고 합니다.

ESO’s copyright notice.

https://www.sflorg.com/observatories/eso/eso_08

★ TOP 2 : 백조자리 NML 별 / NML Cygni (1,650)

백조자리 NML 별은 성운으로 둘러싸여 있는 극대거성입니다.

태양의 1,650배, 15.3 AU, 2,295,000,000km(23억km)

이 정도 크기면 토성 궤도 중간까지 이른다고 합니다.

부피는 태양보다 45억 배나 큽니다.

http://dna20.net/16

★ TOP 1 : 방패자리 UY 별 / UY Scuti (1,708)

방패자리 UY 별은 적색 초성성이거나 극대거성으로

방패자리의 변광성입니다.

지름이 약 24억km(16AU)이고, 부피는 태양의 50억 배입니다.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극대거성 중 하나입니다.

약 9,500광년 정도 떨어져 있습니다.

태양의 위치에 놓으면 토성까지도 육박하는 크기입니다.

방패자리 UV 별이 태양으로 오면 주변에 있는 모든 것들이

UV 별을 향해 빨려들어가게 됩니다.

우주에서 가장 큰 별 발견, 도대체 얼마나 크기에? 태양의 1300배

사진=우주에서 가장 큰 별 발견[온라인커뮤니티]

우주에서 가장 큰 별이 발견됐다.

외신에 따르면 프랑스 니스 코트다쥐르 천문대의 올리비에 쉐스노 박사가 이끄는 국제 우주 연구팀이 관측 사상 10개 안에 드는 큰 별을 발견했다고 보도했다.

HR 5171 A로 명명된 이 별의 크기는 무려 태양의 1300배다.

이 별은 동반별을 갖고 있는데 매우 가깝게 붙어 있어 그 모습이 마치 거대한 땅콩처럼 보인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HR 5171 A는 지구에서 약 1만 2000광년에 이르는 먼 곳에 떨어져 있지만 방출하는 빛과 에너지가 매우 강해 맑은 밤하늘에는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다.

이 별은 40년 동안 계속 팽창해 왔으며 여전히 매우 빠른 변화를 보이는 단계라고 연구진은 전했다.

한편 인류에 의해 현재까지 관측된 행성 중 우주에서 가장 큰 별은 ‘VY 캐니스 메이저리스’로 크기가 무려 태양의 1450배에 달한다. 광속으로 한바퀴를 도는데 걸리는 시간은 11시간 45분(지구는 1초)이 걸린다.

네티즌들은 “우주에서 가장 큰별 발견, 놀라울 정도로 크네””우주에서 가장 큰 별 발견, 앞으로 더욱 커질 수 있다니 놀랍다”등의 반응을 보였다.

인터넷뉴스팀[email protected]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우주에서 가장 큰 별은 얼마나 클까?

반응형

01. 우주에서 가장 큰 별, 방패자리 UY스쿠티(UY Scuti)

현재까지 관측된 바에 의하면, 우주에서 가장 큰 별은 방패자리 UY스쿠티라는 별입니다. 1860년 독일 본 천문대의 천문학자가 가장 처음 발견한 별이지만, 2012년 유럽 남방천문대의 천문학자들이 이 별이 우주 최대의 항성이라는 것을 처음 알아냈습니다.

02. 도대체 얼마나 크길래

UY 스쿠티라는 별의 크기에 대한 영상은 위와 같습니다. 영상을 보면 우리가 얼마나 작은 존재인지 느껴지는 영상인데요, 경이롭고 실감이 안나면서도 무언가 조금 허탈한 느낌도 있네요. 태양의 질량보다 약 30배 정도 이지만(정확한 측정이 어려움), 태양 반지름의 약 1,700배 정도이며 태양 부피의 약 50억배라고 합니다. 지구보다는 6,500조배 크기의 부피이며 이 별을 태양의 위치에 놓으면 토성의 궤도 중간까지 육박하는 어마무시한 크기를 지니고 있습니다.

03. 비유하자면

태양을 지름이 약 20cm정도 되는 축구공에 비유하자면, UY 스쿠티의 높이는 1만 3천미터로 에베레스트산 높이의 약 1.5배가 된다고 합니다. 태양의 둘레를 빛의 속도로 돌면, 14.5초면 1바퀴를 돌지만 UY 스쿠티의 둘레를 빛의 속도로 돌면, 7시간이나 소요됩니다. 그렇다면, 비행기를 타고 돌면 얼마나 걸리까요? 무려, 1,000년이나 걸린다고 하니 그 크기에 놀라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04. 얼마나 떨어져 있는 별일까?

이렇게 큰 UY 스쿠티라는 별은 지구로부터 방패자리 방향으로 약 9,500광년 떨어져 있다고 합니다. 우리 은하의 중심 방향에 있으며 먼지에 둘러싸인 적색초거성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초거성은 별 진화의 거의 마지막 단계이며, 질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 수명이 1천만년에서 3천만년 수준에 불과합니다. 이 별은 온도가 다시 올라가 적색초거성에서 황색초거성으로, 밝은 청색변광성 혹은 볼프-레이에별로 진화할 것입니다. 그리고 그 이후 초신성으로 최후를 맞이할 것입니다.

05. UY 스쿠티의 또 다른 특징, 변광성

이 별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별의 밝기가 미약하게 변하는 변광성이라는 점입니다.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여 밝기가 변하는데 수축할 때 밝게 빛나고, 팽창할 때 어두워집니다. 수축할 때는 내부의 압력이 높아져 핵융합반응이 활발해지기 때문이죠. 이러한 밝기의 주기는 약 740일이라고 하네요.

06. 아직까지도 현재진행형

UY 스쿠티는 일단 현재까지 밝혀진 항성 중에 가장 큰 항성으로 결론낸 상태이지만 우주는 넓고도 넓은지라 아직까지도 밝혀지지 않은 더 큰 항성이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우주에 대해 알면 알수록 그 거대함과 위대함에 절로 숙연해지는데요, 앞으로도 신비한 우주 관련 지식에 대해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관련 포스팅도 함께 읽기

▼ 태양계 행성 크기 및 거리 순서는?

▼ 블랙홀 실제 모습은 어떤 모습일까?

반응형

우주에서 가장 큰 별은?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245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E-mail : [email protected] Copyright © 2022 KISTI. ALL RIGHTS RESERVED. top

쿠키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이거나 브라우저 설정에서 쿠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이트의 일부 기능(로그인 등)을 이용할 수 없으니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가장 큰 별

다음은 Bing에서 가장 큰 별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우주(우리은하)에서 가장 큰 별 – 스티븐슨 2-18 / 태양의 100억 배 / 지구의 1경 2천조 배 / 토성 궤도의 크기 / 상상을 초월하는 별의 크기

  • 지식앤상식
  • 지식앤드상식
  • 지식N상식
  • 일반상식
  • 재미있는상식
  • 재미있는이야기
  • 상식
  • 우주
  • 우주과학
  • 수면영상
  • 꿀잠영상
  • 수면다큐
  • 꿀잠다큐
  • 우주과학기술
  • 태양계
  • 안드로메다은하
  • 상식다큐
  • 지식다큐
  • 지식
  • 지식과상식
  • 상식과지식
  • ASMR
  • 안드로메다
  • 가장큰별
  • 스티븐슨2-18
  • 가장오래된별
  • 가장멀리있는별

우주(우리은하)에서 #가장 #큰 #별 #- #스티븐슨 #2-18 #/ #태양의 #100억 #배 #/ #지구의 #1경 #2천조 #배 #/ #토성 #궤도의 #크기 #/ #상상을 #초월하는 #별의 #크기


YouTube에서 가장 큰 별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우주(우리은하)에서 가장 큰 별 – 스티븐슨 2-18 / 태양의 100억 배 / 지구의 1경 2천조 배 / 토성 궤도의 크기 / 상상을 초월하는 별의 크기 | 가장 큰 별,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