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사인 공식 | 코사인 법칙 19844 좋은 평가 이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코사인 공식 – 코사인 법칙“?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ppa.maxfit.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maxfit.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수악중독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93,366회 및 좋아요 1,070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기하학에서 코사인 법칙(cosine法則, 영어: law of cosines)은 삼각형의 세 변과 한 각의 코사인 사이에 성립하는 정리이다. 이에 따르면, 삼각형의 두 변의 제곱합에서 사잇각의 코사인과 그 두 변의 곱의 2배를 빼면, 남은 변의 제곱과 같아진다.

코사인 공식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코사인 법칙 – 코사인 공식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http://mathjk.tistory.com

코사인 공식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코사인 법칙 – 나무위키:대문

두 변과 그 끼인각을 알 때, 다른 한 변의 길이를 이 공식을 이용해서 알 수 있다. 코사인 값만 한 쪽에 둔 뒤 나머지 값을 전부 다른 쪽으로 이항 …

+ 여기에 보기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11/23/2022

View: 4765

제2코사인법칙 공식 및 유도과정

제2코사인법칙은 모든 삼각형에서 증명이 가능하다. △ABC의 꼭지점 B에서 밑변 또는 그 연장선 위에 내린 수선의 발을 D, 선분BD=h, 선분AD=x라고 두자.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houseofj.tistory.com

Date Published: 8/14/2021

View: 895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코사인 공식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코사인 법칙.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코사인 법칙
코사인 법칙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코사인 공식

  • Author: 수악중독
  • Views: 조회수 93,366회
  • Likes: 좋아요 1,070개
  • Date Published: 2017. 1. 11.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aXosYpzK90k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하학에서 코사인 법칙(cosine法則, 영어: law of cosines)은 삼각형의 세 변과 한 각의 코사인 사이에 성립하는 정리이다. 이에 따르면, 삼각형의 두 변의 제곱합에서 사잇각의 코사인과 그 두 변의 곱의 2배를 빼면, 남은 변의 제곱과 같아진다. 삼각형의 두 변의 직각 삼각형에 대한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대한 일반화이다. 코사인 법칙은 삼각형의 두 변과 그 사잇각을 알 때 남은 한 변을 구하거나, 세 변을 알 때 세 각을 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정의 [ 편집 ]

A , B , C {\displaystyle A,B,C} a , b , c {\displaystyle a,b,c} 삼각형의 세 각및 이들이 마주하는 변

삼각형 A B C {\displaystyle ABC} 의 세 각 A , B , C {\displaystyle A,B,C} 가 마주하는 변이 각각 a , b , c {\displaystyle a,b,c} 라고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c 2 = a 2 + b 2 − 2 a b cos ⁡ C {\displaystyle c^{2}=a^{2}+b^{2}-2ab\cos C}

여기서 cos {\displaystyle \cos } 은 삼각 함수의 하나인 코사인이다. 이를 코사인 법칙이라고 한다.[1]

코사인 법칙을 통해 삼각형의 두 변과 그 사잇각으로부터 제3의 변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삼각형의 세 변으로부터 세 각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1]

cos ⁡ C = a 2 + b 2 − c 2 2 a b {\displaystyle \cos C={\frac {a^{2}+b^{2}-c^{2}}{2ab}}}

코사인 법칙에서 C {\displaystyle C} 가 직각일 경우, cos ⁡ C = 0 {\displaystyle \cos C=0} 이므로, 다음과 같은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얻는다.[1]

c 2 = a 2 + b 2 {\displaystyle c^{2}=a^{2}+b^{2}}

역사 [ 편집 ]

유클리드의 《원론》 2권 명제12 및 명제 13은 코사인 법칙과 동치인 명제를 서술한다.

명제12

둔각 삼각형에서, 둔각을 마주하는 변 위의 정사각형은 둔각을 이루는 변들 위의 정사각형들(의 합)보다 수직 (직선)이 내려진 둔각의 변, 그리고 둔각을 향한 수직 (직선)에 의해 (삼각형의) 밖에서 절단된 (직선)이 이루는 (직사각형)의 두 배만큼 많다.

Proposition 12†

In obtuse-angled triangles, the square on the side subtending the obtuse angle i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squares on the sides containing the obtuse angle by twice the (rectangle) contained by one of the sides around the obtuse angle, to which a perpendicular (straight-line) falls, and the (straight-line) cut off outside (the triangle) by the perpendicular (straight-line) towards the obtuse angle. — [2]

명제13

예각 삼각형에서, 예각을 마주하는 변 위의 정사각형은 예각을 이루는 변들 위의 정사각형들(의 합)보다 수직 (직선)이 내려진 예각의 변, 그리고 예각을 향하는 수직 (직선)에 의해 (삼각형의) 안에서 절단된 (직선)이 이루는 (직사각형)의 두 배만큼 적다.

Proposition 13†

In acute-angled triangles, the square on the side subtending the acute angle is less than the (sum of the) squares on the sides containing the acute angle by twice the (rectangle) contained by one of the sides around the acute angle, to which a perpendicular (straight-line) falls, and the (straight-line) cut off inside (the triangle) by the perpendicular (straight-line) towards the acute angle. — [2]

레기오몬타누스는 1462~3년에 작성한 《삼각형에 대하여》(라틴어: De Triangulis)에서 (제1) 구면 코사인 법칙을 제시하였다.[3] 프랑수아 비에트는 1579년 저서 《표준 수학》(라틴어: Canon Mathematicus)에서 제2 구면 코사인 법칙을 제시하였다.[3]

증명 [ 편집 ]

유클리드의 《원론》에서의 증명 [ 편집 ]

그림과 같이, C {\displaystyle C} 를 둔각으로 하는 둔각 삼각형 A B C {\displaystyle ABC} 의 높이선 B H {\displaystyle BH} 를 긋자. 그렇다면, A B H {\displaystyle ABH} 는 H {\displaystyle H} 를 직각으로 하는 직각 삼각형이므로,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따라 다음이 성립한다.

A B 2 = A H 2 + B H 2 {\displaystyle AB^{2}=AH^{2}+BH^{2}}

또한, A H = A C + C H {\displaystyle AH=AC+CH}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A B 2 = ( A C + C H ) 2 + B H 2 = A C 2 + 2 ( A C ) ( C H ) + C H 2 + B H 2 {\displaystyle AB^{2}=(AC+CH)^{2}+BH^{2}=AC^{2}+2(AC)(CH)+CH^{2}+BH^{2}}

마지막 두 항을 직각 삼각형 B C H {\displaystyle BCH} 에 대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통해 정리하면 다음을 얻는다.

A B 2 = A C 2 + 2 ( A C ) ( C H ) + B C 2 {\displaystyle AB^{2}=AC^{2}+2(AC)(CH)+BC^{2}}

이로써 유클리드의 《원론》 2권 명제12가 증명된다. 코사인의 정의에 따라

cos ⁡ C = − cos ⁡ ( π − C ) = − C H B C {\displaystyle \cos C=-\cos(\pi -C)=-{\frac {CH}{BC}}}

이므로, 코사인 법칙

A B 2 = A C 2 + B C 2 − 2 ( A C ) ( B C ) cos ⁡ C {\displaystyle AB^{2}=AC^{2}+BC^{2}-2(AC)(BC)\cos C}

이 C {\displaystyle C} 가 둔각일 경우 성립함을 알 수 있다.[2] C {\displaystyle C} 가 예각일 경우의 증명은 이와 비슷하다.

삼각법을 통한 증명 [ 편집 ]

코사인 법칙의 삼각법 을 통한 증명

삼각형의 세 변을 각각 높이선으로 안에서 또는 밖에서 나누면 다음을 얻는다.[4]

a = b cos ⁡ C + c cos ⁡ B {\displaystyle a=b\cos C+c\cos B} b = a cos ⁡ C + c cos ⁡ A {\displaystyle b=a\cos C+c\cos A} c = a cos ⁡ B + b cos ⁡ A {\displaystyle c=a\cos B+b\cos A}

세 등식의 양변에 각각 a , b , c {\displaystyle a,b,c} 를 곱하면 다음을 얻는다.

a 2 = a b cos ⁡ C + a c cos ⁡ B {\displaystyle a^{2}=ab\cos C+ac\cos B} b 2 = a b cos ⁡ C + b c cos ⁡ A {\displaystyle b^{2}=ab\cos C+bc\cos A} c 2 = a c cos ⁡ B + b c cos ⁡ A {\displaystyle c^{2}=ac\cos B+bc\cos A}

이제 첫째 등식에 둘째 등식을 더한 뒤 셋째 등식을 빼면 다음을 얻는다.

a 2 + b 2 − c 2 = 2 a b cos ⁡ C {\displaystyle a^{2}+b^{2}-c^{2}=2ab\cos C}

이로써 코사인 법칙이 증명된다.

벡터와 스칼라곱을 사용한 증명 [ 편집 ]

다음과 같은 세 벡터를 정의하자.

a = C B → , b = C A → , c = A B → = a − b {\displaystyle \mathbf {a} ={\overrightarrow {CB}},\;\mathbf {b} ={\overrightarrow {CA}},\;\mathbf {c} ={\overrightarrow {AB}}=\mathbf {a} -\mathbf {b} }

그렇다면, 벡터 a , b , c {\displaystyle \mathbf {a} ,\mathbf {b} ,\mathbf {c} } 의 길이는 각각 a , b , c {\displaystyle a,b,c} 이며, 벡터 a {\displaystyle \mathbf {a} } 와 b {\displaystyle \mathbf {b} } 사이의 각도는 C {\displaystyle C} 이다. 따라서, 코사인 법칙을 벡터의 스칼라곱의 성질에 따라 다음과 같이 간단히 증명할 수 있다.[5]

c 2 = c ⋅ c = ( a − b ) ⋅ ( a − b ) = a ⋅ a + b ⋅ b − 2 a ⋅ b = a 2 + b 2 − 2 a b cos ⁡ C {\displaystyle {\begin{aligned}c^{2}&=\mathbf {c} \cdot \mathbf {c} \\&=(\mathbf {a} -\mathbf {b} )\cdot (\mathbf {a} -\mathbf {b} )\\&=\mathbf {a} \cdot \mathbf {a} +\mathbf {b} \cdot \mathbf {b} -2\mathbf {a} \cdot \mathbf {b} \\&=a^{2}+b^{2}-2ab\cos C\end{aligned}}}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경우 [ 편집 ]

구면 코사인 법칙 [ 편집 ]

A , B , C {\displaystyle A,B,C} a , b , c {\displaystyle a,b,c} 구면 삼각형의 세 각와 이들이 마주하는 세 변

단위 구면 위의 구면 삼각형 A B C {\displaystyle ABC} 의 세 각 A , B , C {\displaystyle A,B,C} 가 마주하는 세 변이 각각 a , b , c {\displaystyle a,b,c} 라고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cos ⁡ c = cos ⁡ a cos ⁡ b + sin ⁡ a sin ⁡ b cos ⁡ C {\displaystyle \cos c=\cos a\cos b+\sin a\sin b\cos C}

여기서 cos , sin {\displaystyle \cos ,\sin } 은 각각 코사인, 사인이다. 이를 (제1) 구면 코사인 법칙(第一球面cosine法則, 영어: (first) spherical law of cosines)이라고 한다. 이에 대한 쌍대 명제는 다음과 같다.

cos ⁡ C = − cos ⁡ A cos ⁡ B + sin ⁡ A sin ⁡ B cos ⁡ c {\displaystyle \cos C=-\cos A\cos B+\sin A\sin B\cos c}

이를 제2 구면 코사인 법칙(第二球面cosine法則, 영어: second spherical law of cosines)이라고 한다.

이 둘은 각각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cos ⁡ C = cos ⁡ c − cos ⁡ a cos ⁡ b sin ⁡ a sin ⁡ b {\displaystyle \cos C={\frac {\cos c-\cos a\cos b}{\sin a\sin b}}} cos ⁡ c = cos ⁡ C + cos ⁡ A cos ⁡ B sin ⁡ A sin ⁡ B {\displaystyle \cos c={\frac {\cos C+\cos A\cos B}{\sin A\sin B}}}

제1 구면 코사인 법칙의 증명 (법벡터 사용) [ 편집 ]

다음과 같은 벡터들을 정의하자.

u = O A → − ( O C → ⋅ O A → ) O C → | O A → − ( O C → ⋅ O A → ) O C → | , v = O B → − ( O C → ⋅ O B → ) O C → | O B → − ( O C → ⋅ O B → ) O C → | {\displaystyle \mathbf {u} ={\frac {{\overrightarrow {OA}}-({\overrightarrow {OC}}\cdot {\overrightarrow {OA}}){\overrightarrow {OC}}}{|{\overrightarrow {OA}}-({\overrightarrow {OC}}\cdot {\overrightarrow {OA}}){\overrightarrow {OC}}|}},\;\mathbf {v} ={\frac {{\overrightarrow {OB}}-({\overrightarrow {OC}}\cdot {\overrightarrow {OB}}){\overrightarrow {OC}}}{|{\overrightarrow {OB}}-({\overrightarrow {OC}}\cdot {\overrightarrow {OB}}){\overrightarrow {OC}}|}}}

즉, u , v {\displaystyle \mathbf {u} ,\mathbf {v} } 는 각각 C {\displaystyle C} 에서 A , B {\displaystyle A,B} 를 향하는 구면의 단위 접벡터이다. 그렇다면, u , v {\displaystyle \mathbf {u} ,\mathbf {v} } 사이의 각도는 C {\displaystyle C} 이다. 또한, { O C → , u } , { O C → , v } {\displaystyle \{{\overrightarrow {OC}},\mathbf {u} \},\{{\overrightarrow {OC}},\mathbf {v} \}} 는 각각 평면 O A C , O A B {\displaystyle OAC,OAB} 의 정규 직교 기저를 이루므로, O A → , O B → {\displaystyle {\overrightarrow {OA}},{\overrightarrow {OB}}} 를 각각 다음과 같이 분해할 수 있다.

O A → = cos ⁡ a ⋅ O C → + sin ⁡ a ⋅ u {\displaystyle {\overrightarrow {OA}}=\cos a\cdot {\overrightarrow {OC}}+\sin a\cdot \mathbf {u} } O B → = cos ⁡ b ⋅ O C → + sin ⁡ b ⋅ v {\displaystyle {\overrightarrow {OB}}=\cos b\cdot {\overrightarrow {OC}}+\sin b\cdot \mathbf {v} }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cos ⁡ c = O A → ⋅ O B → = ( cos ⁡ a ⋅ O C → + sin ⁡ a ⋅ u ) ⋅ ( cos ⁡ b ⋅ O C → + sin ⁡ b ⋅ v ) = cos ⁡ a cos ⁡ b + sin ⁡ a sin ⁡ b cos ⁡ C {\displaystyle {\begin{aligned}\cos c&={\overrightarrow {OA}}\cdot {\overrightarrow {OB}}\\&=(\cos a\cdot {\overrightarrow {OC}}+\sin a\cdot \mathbf {u} )\cdot (\cos b\cdot {\overrightarrow {OC}}+\sin b\cdot \mathbf {v} )\\&=\cos a\cos b+\sin a\sin b\cos C\end{aligned}}}

제1 구면 코사인 법칙의 증명 (비네-코시 항등식 사용) [ 편집 ]

단위 구면의 중심을 O {\displaystyle O} 라고 하자. 또한, 다음과 같은 세 벡터를 정의하자.

a = O A → , b = O B → , c = O C → {\displaystyle \mathbf {a} ={\overrightarrow {OA}},\;\mathbf {b} ={\overrightarrow {OB}},\;\mathbf {c} ={\overrightarrow {OC}}}

그렇다면, a , b , c {\displaystyle \mathbf {a} ,\mathbf {b} ,\mathbf {c} } 의 길이는 모두 1이며, a , b {\displaystyle \mathbf {a} ,\mathbf {b} } 사이의 각도는 c {\displaystyle c} 이며, a , c {\displaystyle \mathbf {a} ,\mathbf {c} } 사이의 각도는 b {\displaystyle b} 이며, b , c {\displaystyle \mathbf {b} ,\mathbf {c} } 사이의 각도는 a {\displaystyle a} 이다. 따라서, 벡터곱 a × b {\displaystyle \mathbf {a} \times \mathbf {b} } , a × c {\displaystyle \mathbf {a} \times \mathbf {c} } , b × c {\displaystyle \mathbf {b} \times \mathbf {c} } 의 길이는 각각 sin ⁡ c {\displaystyle \sin c} , sin ⁡ b {\displaystyle \sin b} , sin ⁡ a {\displaystyle \sin a} 이다. 또한, a × b {\displaystyle \mathbf {a} \times \mathbf {b} } 와 a × c {\displaystyle \mathbf {a} \times \mathbf {c} } 사이의 각도는 A {\displaystyle A} 이며, b × a {\displaystyle \mathbf {b} \times \mathbf {a} } 와 b × c {\displaystyle \mathbf {b} \times \mathbf {c} } 사이의 각도는 B {\displaystyle B} 이며, c × a {\displaystyle \mathbf {c} \times \mathbf {a} } 와 c × b {\displaystyle \mathbf {c} \times \mathbf {b} } 사이의 각도는 C {\displaystyle C} 이다. 이제, 비네-코시 항등식에 따라 다음이 성립함에 주의하자.

( c × b ) ⋅ ( c × a ) = ( c ⋅ c ) ( a ⋅ b ) − ( c ⋅ b ) ( c ⋅ a ) {\displaystyle (\mathbf {c} \times \mathbf {b} )\cdot (\mathbf {c} \times \mathbf {a} )=(\mathbf {c} \cdot \mathbf {c} )(\mathbf {a} \cdot \mathbf {b} )-(\mathbf {c} \cdot \mathbf {b} )(\mathbf {c} \cdot \mathbf {a} )}

여기에 위의 결과들을 대입하면 다음을 얻는다.

sin ⁡ a sin ⁡ b cos ⁡ C = cos ⁡ c − cos ⁡ a cos ⁡ b {\displaystyle \sin a\sin b\cos C=\cos c-\cos a\cos b}

이로써 제1 구면 코사인 법칙이 증명된다.

제2 구면 코사인 법칙의 증명 [ 편집 ]

구면 삼각형 A B C {\displaystyle ABC} 의 극삼각형을 A ′ B ′ C ′ {\displaystyle A’B’C’} 라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a ′ = π − A , b ′ = π − B , c ′ = π − C {\displaystyle a’=\pi -A,\;b’=\pi -B,\;c’=\pi -C} A ′ = π − a , B ′ = π − b , C ′ = π − c {\displaystyle A’=\pi -a,\;B’=\pi -b,\;C’=\pi -c}

따라서 제1 구면 코사인 법칙을 극삼각형 A ′ B ′ C ′ {\displaystyle A’B’C’} 에 적용하면, 구면 삼각형 A B C {\displaystyle ABC} 에 대한 제2 구면 코사인 법칙을 얻는다.

쌍곡 코사인 법칙 [ 편집 ]

가우스 곡률 -1의 쌍곡면 위의 쌍곡 삼각형 A B C {\displaystyle ABC} 의 세 각 A , B , C {\displaystyle A,B,C} 이 마주하는 변이 각각 a , b , c {\displaystyle a,b,c} 라고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cosh ⁡ c = cosh ⁡ a cosh ⁡ b − sinh ⁡ a sinh ⁡ b cos ⁡ C {\displaystyle \cosh c=\cosh a\cosh b-\sinh a\sinh b\cos C}

여기서 cosh , sinh {\displaystyle \cosh ,\sinh } 는 각각 쌍곡 코사인, 쌍곡 사인이다. 이를 (제1) 쌍곡 코사인 법칙((第一)雙曲cosine法則, 영어: (first) hyperbolic law of cosines)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다음이 성립한다.

cos ⁡ C = − cos ⁡ A cos ⁡ B + sin ⁡ A sin ⁡ B cosh ⁡ c {\displaystyle \cos C=-\cos A\cos B+\sin A\sin B\cosh c}

이를 제2 쌍곡 코사인 법칙(第二雙曲cosine法則, 영어: second hyperbolic law of cosines)이라고 한다.

이 두 법칙은 각각 다음과 같이 다시 쓸 수 있다.[6]

cos ⁡ C = cosh ⁡ a cosh ⁡ b − cosh ⁡ c sinh ⁡ a sinh ⁡ b {\displaystyle \cos C={\frac {\cosh a\cosh b-\cosh c}{\sinh a\sinh b}}} cosh ⁡ c = cos ⁡ A cos ⁡ B + cos ⁡ C sin ⁡ A sin ⁡ B {\displaystyle \cosh c={\frac {\cos A\cos B+\cos C}{\sin A\sin B}}}

특히, C {\displaystyle C} 가 직각일 경우의 제1 쌍곡 코사인 법칙은 쌍곡 피타고라스 정리가 된다.[6]

cosh ⁡ c = cosh ⁡ a cosh ⁡ b {\displaystyle \cosh c=\cosh a\cosh b}

제1 쌍곡 코사인 법칙의 증명 [ 편집 ]

복소 평면 C {\displaystyle \mathbb {C} } 위의 열린 단위 원판 D ⊆ C {\displaystyle D\subseteq \mathbb {C} } 위에서 푸앵카레 원판 모형을 취하자. 쌍곡 삼각형 z 1 , z 2 , z 3 {\displaystyle z_{1},z_{2},z_{3}} 의 세 각의 크기를 A , B , C {\displaystyle A,B,C} , 세 변의 길이를 a , b , c {\displaystyle a,b,c} 라고 하자. D {\displaystyle D} 위에 적절한 등거리 변환을 가하여 z 3 , z 2 , z 1 {\displaystyle z_{3},z_{2},z_{1}} 을 각각 원점 0, 양의 실수 r ∈ R + {\displaystyle r\in \mathbb {R} ^{+}} , 허수부 Im ⁡ z > 0 {\displaystyle \operatorname {Im} z>0} 가 0보다 큰 복소수 z {\displaystyle z} 로 옮길 수 있다. 등거리 변환의 성질에 따라 새로운 삼각형 z , r , 0 {\displaystyle z,r,0} 의 세 변 및 세 각은 원래의 삼각형 z 1 , z 2 , z 3 {\displaystyle z_{1},z_{2},z_{3}} 와 같으므로, 새로운 삼각형 z , r , 0 {\displaystyle z,r,0} 에 대하여 증명하는 것으로 족하다. 쌍곡 거리의 정의에 따라, 세 변은 다음과 같다.

a = ln ⁡ 1 + r 1 − r {\displaystyle a=\ln {\frac {1+r}{1-r}}} b = ln ⁡ 1 + | z | 1 − | z | {\displaystyle b=\ln {\frac {1+|z|}{1-|z|}}} c = ln ⁡ | 1 − r z | + | z − r | | 1 − r z | − | z − r | {\displaystyle c=\ln {\frac {|1-rz|+|z-r|}{|1-rz|-|z-r|}}}

여기서 ln {\displaystyle \ln } 은 자연 로그이며, | − | {\displaystyle |-|} 은 복소수의 절댓값이다. 이 셋을 다음과 같이 변형할 수 있다.

tanh ⁡ a 2 = r {\displaystyle \tanh {\frac {a}{2}}=r} tanh ⁡ b 2 = | z | {\displaystyle \tanh {\frac {b}{2}}=|z|} tanh ⁡ c 2 = | z − r | | 1 − r z | {\displaystyle \tanh {\frac {c}{2}}={\frac {|z-r|}{|1-rz|}}}

여기서 tanh {\displaystyle \tanh } 는 쌍곡 탄젠트이다. 쌍곡선 함수의 항등식을 사용한 뒤 위의 결과를 대입하여 정리하면 다음을 얻는다.

cosh ⁡ c = 2 sinh 2 ⁡ c 2 + 1 = 2 tanh 2 ⁡ c 2 1 − tanh 2 ⁡ c 2 + 1 = 2 | z − r | 2 | 1 − r z | 2 − | z − r | 2 + 1 = 2 r 2 + | z | 2 − 2 r z cos ⁡ C ( 1 − r 2 ) ( 1 − | z | 2 ) + 1 = ( 1 + r 2 ) ( 1 + | z | 2 ) − 4 r z cos ⁡ C ( 1 − r 2 ) ( 1 − | z | 2 ) {\displaystyle {\begin{aligned}\cosh c&=2\sinh ^{2}{\frac {c}{2}}+1\\&=2{\frac {\tanh ^{2}{\frac {c}{2}}}{1-\tanh ^{2}{\frac {c}{2}}}}+1\\&=2{\frac {|z-r|^{2}}{|1-rz|^{2}-|z-r|^{2}}}+1\\&=2{\frac {r^{2}+|z|^{2}-2rz\cos C}{(1-r^{2})(1-|z|^{2})}}+1\\&={\frac {(1+r^{2})(1+|z|^{2})-4rz\cos C}{(1-r^{2})(1-|z|^{2})}}\end{aligned}}}

넷째 등호에서 분자 부분은 평면 삼각형 z , r , 0 {\displaystyle z,r,0} 에 대한 평면 코사인 법칙에 따르며, 분모 부분은 절댓값이 실수부와 허수부의 제곱합임에 따라 계산할 수 있다. 이제, 여기에 다음을 대입하면 제1 쌍곡 코사인 법칙의 증명이 완성된다.[6]

cosh ⁡ a = 1 + tanh 2 ⁡ a 2 1 − tanh 2 ⁡ a 2 = 1 + r 2 1 − r 2 {\displaystyle \cosh a={\frac {1+\tanh ^{2}{\frac {a}{2}}}{1-\tanh ^{2}{\frac {a}{2}}}}={\frac {1+r^{2}}{1-r^{2}}}} sinh ⁡ a = 2 tanh ⁡ a 2 1 − tanh 2 ⁡ a 2 = 2 r 1 − r 2 {\displaystyle \sinh a={\frac {2\tanh {\frac {a}{2}}}{1-\tanh ^{2}{\frac {a}{2}}}}={\frac {2r}{1-r^{2}}}} cosh ⁡ b = 1 + | z | 1 − | z | {\displaystyle \cosh b={\frac {1+|z|}{1-|z|}}} sinh ⁡ b = 2 | z | 1 − | z | 2 {\displaystyle \sinh b={\frac {2|z|}{1-|z|^{2}}}}

제2 쌍곡 코사인 법칙의 증명 [ 편집 ]

쌍곡 사인 법칙에 나오는 비율의 구체적인 값은 다음과 같다.

sin ⁡ A sinh ⁡ a = sin ⁡ B sinh ⁡ b = sin ⁡ C sinh ⁡ c = 1 − cosh 2 ⁡ a − cosh 2 ⁡ b − cosh 2 ⁡ c + 2 cosh ⁡ a cosh ⁡ b cosh ⁡ c sinh ⁡ a sinh ⁡ b sinh ⁡ c {\displaystyle {\frac {\sin A}{\sinh a}}={\frac {\sin B}{\sinh b}}={\frac {\sin C}{\sinh c}}={\frac {\sqrt {1-\cosh ^{2}a-\cosh ^{2}b-\cosh ^{2}c+2\cosh a\cosh b\cosh c}}{\sinh a\sinh b\sinh c}}}

이에 따라 각 A , B , C {\displaystyle A,B,C} 의 사인 값은 다음과 같다.

sin ⁡ A = 1 − cosh 2 ⁡ a − cosh 2 ⁡ b − cosh 2 ⁡ c + 2 cosh ⁡ a cosh ⁡ b cosh ⁡ c sinh ⁡ b sinh ⁡ c {\displaystyle \sin A={\frac {\sqrt {1-\cosh ^{2}a-\cosh ^{2}b-\cosh ^{2}c+2\cosh a\cosh b\cosh c}}{\sinh b\sinh c}}} sin ⁡ B = 1 − cosh 2 ⁡ a − cosh 2 ⁡ b − cosh 2 ⁡ c + 2 cosh ⁡ a cosh ⁡ b cosh ⁡ c sinh ⁡ a sinh ⁡ c {\displaystyle \sin B={\frac {\sqrt {1-\cosh ^{2}a-\cosh ^{2}b-\cosh ^{2}c+2\cosh a\cosh b\cosh c}}{\sinh a\sinh c}}} sin ⁡ C = 1 − cosh 2 ⁡ a − cosh 2 ⁡ b − cosh 2 ⁡ c + 2 cosh ⁡ a cosh ⁡ b cosh ⁡ c sinh ⁡ a sinh ⁡ b {\displaystyle \sin C={\frac {\sqrt {1-\cosh ^{2}a-\cosh ^{2}b-\cosh ^{2}c+2\cosh a\cosh b\cosh c}}{\sinh a\sinh b}}}

또한, 제1 쌍곡 코사인 법칙에 따라 A , B , C {\displaystyle A,B,C} 의 코사인 값은 다음과 같다.

cos ⁡ A = cosh ⁡ b cosh ⁡ c − cosh ⁡ a sinh ⁡ b sinh ⁡ c {\displaystyle \cos A={\frac {\cosh b\cosh c-\cosh a}{\sinh b\sinh c}}} cos ⁡ B = cosh ⁡ a cosh ⁡ c − cosh ⁡ b sinh ⁡ a sinh ⁡ c {\displaystyle \cos B={\frac {\cosh a\cosh c-\cosh b}{\sinh a\sinh c}}} cos ⁡ C = cosh ⁡ a cosh ⁡ b − cosh ⁡ c sinh ⁡ a sinh ⁡ b {\displaystyle \cos C={\frac {\cosh a\cosh b-\cosh c}{\sinh a\sinh b}}}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cos ⁡ A cos ⁡ B + cos ⁡ C sin ⁡ A sin ⁡ B = ( cosh ⁡ b − cosh ⁡ c − cosh ⁡ a ) ( cosh ⁡ a cosh ⁡ c − cosh ⁡ b ) + sinh 2 ⁡ c ( cosh ⁡ a cosh ⁡ b − cosh ⁡ c ) 1 − cosh 2 ⁡ a − cosh 2 ⁡ b − cosh 2 ⁡ c + 2 cosh ⁡ a cosh ⁡ b cosh ⁡ c = cosh ⁡ a cosh ⁡ b cosh 2 ⁡ c − cosh 2 ⁡ a cosh ⁡ c − cosh 2 ⁡ b cosh ⁡ c + cosh ⁡ a cosh ⁡ b + cosh ⁡ a cosh ⁡ b sinh 2 ⁡ c − cosh ⁡ c sinh 2 ⁡ c 1 − cosh 2 ⁡ a − cosh 2 ⁡ b − cosh 2 ⁡ c + 2 cosh ⁡ a cosh ⁡ b cosh ⁡ c = cosh ⁡ c {\displaystyle {\begin{aligned}{\frac {\cos A\cos B+\cos C}{\sin A\sin B}}&={\frac {(\cosh b-\cosh c-\cosh a)(\cosh a\cosh c-\cosh b)+\sinh ^{2}c(\cosh a\cosh b-\cosh c)}{1-\cosh ^{2}a-\cosh ^{2}b-\cosh ^{2}c+2\cosh a\cosh b\cosh c}}\\&={\frac {\cosh a\cosh b\cosh ^{2}c-\cosh ^{2}a\cosh c-\cosh ^{2}b\cosh c+\cosh a\cosh b+\cosh a\cosh b\sinh ^{2}c-\cosh c\sinh ^{2}c}{1-\cosh ^{2}a-\cosh ^{2}b-\cosh ^{2}c+2\cosh a\cosh b\cosh c}}\\&=\cosh c\end{aligned}}}

마지막 등호에는 항등식 cosh 2 ⁡ c − sinh 2 ⁡ c = 1 {\displaystyle \cosh ^{2}c-\sinh ^{2}c=1} 이 사용되었다. 이로써 제2 쌍곡 코사인 법칙이 증명된다.[6]

평면 코사인 법칙과의 관계 [ 편집 ]

평면 코사인 법칙은 제1 구면 및 쌍곡 코사인 법칙의 극한이다. 예를 들어, 평면 코사인 법칙이 제1 쌍곡 코사인 법칙의 극한임을 다음과 같이 보일 수 있다. 푸앵카레 원판의 반지름이 r {\displaystyle r} 일 경우, 제1 쌍곡 코사인 법칙은 다음과 같이 된다.

cosh ⁡ c r r = cosh ⁡ a r r cosh ⁡ b r r − sinh ⁡ a r r sinh ⁡ b r r cos ⁡ C r {\displaystyle \cosh {\frac {c_{r}}{r}}=\cosh {\frac {a_{r}}{r}}\cosh {\frac {b_{r}}{r}}-\sinh {\frac {a_{r}}{r}}\sinh {\frac {b_{r}}{r}}\cos C_{r}}

이 경우, r → ∞ {\displaystyle r\to \infty } 일 때 쌍곡 거리 a r , b r , c r {\displaystyle a_{r},b_{r},c_{r}} 는 유클리드 거리의 2배 2 a ∞ , 2 b ∞ , 2 c ∞ {\displaystyle 2a_{\infty },2b_{\infty },2c_{\infty }} 로 수렴하며, 쌍곡각 A r , B r , C r {\displaystyle A_{r},B_{r},C_{r}} 은 유클리드 각 A ∞ , B ∞ , C ∞ {\displaystyle A_{\infty },B_{\infty },C_{\infty }} 로 수렴한다. 테일러 정리에 따라 다음이 성립한다.

cosh ⁡ a r r = 1 + 1 2 ( a r r ) 2 + o ( 1 r 2 ) ( r → ∞ ) {\displaystyle \cosh {\frac {a_{r}}{r}}=1+{\frac {1}{2}}\left({\frac {a_{r}}{r}}\right)^{2}+o\left({\frac {1}{r^{2}}}\right)\qquad (r\to \infty )} cosh ⁡ b r r = 1 + 1 2 ( b r r ) 2 + o ( 1 r 2 ) ( r → ∞ ) {\displaystyle \cosh {\frac {b_{r}}{r}}=1+{\frac {1}{2}}\left({\frac {b_{r}}{r}}\right)^{2}+o\left({\frac {1}{r^{2}}}\right)\qquad (r\to \infty )} cosh ⁡ c r r = 1 + 1 2 ( c r r ) 2 + o ( 1 r 2 ) ( r → ∞ ) {\displaystyle \cosh {\frac {c_{r}}{r}}=1+{\frac {1}{2}}\left({\frac {c_{r}}{r}}\right)^{2}+o\left({\frac {1}{r^{2}}}\right)\qquad (r\to \infty )}

이를 법칙에 대입하면 다음을 얻는다.

c r 2 r 2 = a r 2 r 2 + b r 2 r 2 − 2 sinh ⁡ a r r sinh ⁡ b r r cos ⁡ C r + o ( 1 r 2 ) ( r → ∞ ) {\displaystyle {\frac {c_{r}^{2}}{r^{2}}}={\frac {a_{r}^{2}}{r^{2}}}+{\frac {b_{r}^{2}}{r^{2}}}-2\sinh {\frac {a_{r}}{r}}\sinh {\frac {b_{r}}{r}}\cos C_{r}+o\left({\frac {1}{r^{2}}}\right)\qquad (r\to \infty )}

다음에 주의하여, 양변에 r 2 {\displaystyle r^{2}} 을 곱한 뒤 극한 r → ∞ {\displaystyle r\to \infty } 을 취하고 다시 양변에 4를 나누자.

lim r → ∞ r sinh ⁡ a r r = 2 a ∞ {\displaystyle \lim _{r\to \infty }r\sinh {\frac {a_{r}}{r}}=2a_{\infty }} lim r → ∞ r sinh ⁡ b r r = 2 b ∞ {\displaystyle \lim _{r\to \infty }r\sinh {\frac {b_{r}}{r}}=2b_{\infty }} lim r → ∞ r sinh ⁡ b r r = 2 c ∞ {\displaystyle \lim _{r\to \infty }r\sinh {\frac {b_{r}}{r}}=2c_{\infty }}

그러면 평면 코사인 법칙을 얻는다.[6]

c ∞ 2 = a ∞ 2 + b ∞ 2 − 2 a ∞ b ∞ cos ⁡ C ∞ {\displaystyle c_{\infty }^{2}=a_{\infty }^{2}+b_{\infty }^{2}-2a_{\infty }b_{\infty }\cos C_{\infty }}

제2 쌍곡 코사인 법칙

cos ⁡ C r = − cos ⁡ A r cos ⁡ B r + sin ⁡ A r sin ⁡ B r cosh ⁡ c r r {\displaystyle \cos C_{r}=-\cos A_{r}\cos B_{r}+\sin A_{r}\sin B_{r}\cosh {\frac {c_{r}}{r}}}

에 극한 r → ∞ {\displaystyle r\to \infty } 을 취하면 다음과 같은 자명한 항등식이 된다.

cos ⁡ C ∞ = − cos ⁡ A ∞ cos ⁡ B ∞ + sin ⁡ A ∞ sin ⁡ B ∞ {\displaystyle \cos C_{\infty }=-\cos A_{\infty }\cos B_{\infty }+\sin A_{\infty }\sin B_{\infty }}

이는 A ∞ + B ∞ + C ∞ = π {\displaystyle A_{\infty }+B_{\infty }+C_{\infty }=\pi } 이므로 자명하다. 따라서 유클리드 기하학에는 제2 코사인 법칙이 존재하지 않는다.[6]

같이 보기 [ 편집 ]

각주 [ 편집 ]

삼각함수 제 2코사인 법칙 총정리(공식, 예제풀이)

반응형

안녕하세요. 훈릴스입니다.

오늘은 삼각함수의 공식 중 제 2 코사인 법칙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합니다. 요즘들어 삼각함수와 관련된 포스팅을 많이하고 있는데요. 정말 해도해도 끝이없는 것이 수험생 여러분들의 고통이 느껴집니다. 간단하니, 따라오시죠! 레츠게릿

코사인 제 2법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어려워보이지만 사실은 간단한데요. 우리가 구하고자하는 변의 제곱은 다른 변의 제곱의 합에서 다른 두변의 곱에 2를 곱하고 구하고자하는 변의 마주편 각의 Cos을 곱한 것과 같습니다. 말로 표현하자니 어렵지만, 열 번 정도 공책에 적어보시면 원리를 쉽게 익히실 수 있을 것입니다. 코사인 제 2법칙은 다양한 문제에 적용되기에 꼭 알고 계셔야하는데요. 공식만 알고가면 그러니, 바로 예제 문제 풀이를 해보겠습니다. 따라오시죠!

문제) 다음과 같은 삼각형이 주어졌을 때 c의 길이는 얼마인가?

문제가 주어졌네요. 각 하나와 변의 길이가 두 개가 주어지면 코사인 2법칙을 이용해서 풀어야한다고 머릿속에서 생각하셔야 해요. 앞서 배운 공식을 적용해서 문제 풀이를 진행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간단하죠? 코사인 2법칙을 이용하는 문제를 자주 풀어보시면 자유자재로 문제 풀이가 가능하실 거에요! 오늘도 화이팅!!

반응형

모든 삼각함수 공식 정리 (feat.깨알꿀팁)

반응형

안녕하세요. 다롱이 입니다.🤗

오늘은 고등학교 때 수능을 위해 꼭 외어야 하는

삼각함수 공식에 대해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삼각함수 공식이 너무 많아 고민이지만,

최대한 줄이고 쉽게 정리하여

제가 알려주는 것만 외우고 나머지는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게끔 삼각함수 공식 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이것만 외운다면 삼각함수 공식은 끝!

알고 있으면 좋은 깨알꿀팁 적어두었으니 보고가세요.😄

공식 이름을 ctrl+F 로 찾아보세요.

※정의는 건너뛰고 공식만 알려드리겠습니다.

제곱공식

sin2θ + cos2θ = 1

여기서

sin2θ 혹은 cos2θ 으로 나눈다면

1+ tan2θ = sec2θ

1 + cot2θ = csc2θ

이 형태들은 중요하니 형태 자체 를 외워도 좋습니다.

사인법칙

코사인 법칙

제1코사인 법칙

제2코사인 법칙

사인법칙과 제2코사인 법칙은 중요합니다.✨

삼각함수 덧셈공식

사코코사 / 코코사사/ 일마탄탄분의 탄플탄

대부분 공식의 기초 가 되기 때문에

꼭 알아야 하는 공식입니다.😊

삼각함수 합성

위 공식이 어려워 보이지만

삼각형을 그려서 생각하면 간단합니다.

sinθ 앞의 a를 밑변, cosθ 앞의 b를 높이인

삼각형을 그립니다.

괄호의 a와 b를 정리 후 처음 식에 대입하고

뚫어져라 쳐다보면 덧셈공식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삼각형과 삼각함수의 덧셈공식을

안다면 합성공식이 쉽습니다.

삼각함수 2배각 공식

덧셈공식을 이용하여 나온 공식입니다.

사인 – 두사코

코사인 – 코제마사제

cos2α는 sin2θ + cos2θ = 1 을 이용하면

2배각 공식 을 외우고 두 각을 α,2α 로 놔두면

3배각도 유도 할 수 있습니다.

삼각함수 3배각 공식

또한, 코사인의 2배각 공식 에서

α대신α/2를 대입하여

반각공식을 유도 할 수 있습니다.

삼각함수 반각공식

반각공식은 외워서

빠르게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삼각함수 곱을 합으로

이 부분도 사실 덧셈공식 을 이용하여

유도할 수 있지만 형태가 비슷하니

외우는 것이 어렵지 않습니다.

삼각함수 합을 곱으로

위 식을 아래와 같이

대입하고 정리합니다.

사코 – 사플사

코사 – 사마사

코코 – 코플코

사사 – 마코마코

곱을 합으로, 합을 곱으로 둘 다 똑같으니

이것만 외우고 형태는 눈으로 외웁니다.

형태를 외워야 특정 문제에서

이 공식을 사용하는 문제인지를 압니다.

심심할때 한번씩 불러주면 어느샌가 외워집니다.😅

삼각함수에서 꿀팁 이라면

공식을 간추린 단어 를 하루에 10분이라도

꾸준히 외우는 것 뿐입니다.

한번에 외울려고 하지 말고

하루 10분씩 한달만 꾸준히 하면

잊고싶어도 머리속에서 맴도는,

잊혀지지가 않는 순간까지 옵니다.🤣

이렇게 외워둔다면 대학교 1학년때에도

놀면서 수학공부 할 수 있게 됩니다.😄

모두들 화이팅입니다.

반응형

제2코사인법칙 공식 및 유도과정

반응형

제2코사인법칙이란?

임의의 삼각형이 주어졌을 때, 제1코사인법칙과 제2코사인법칙이 성립된다.

다음과 같은 삼각형이 주어졌을 때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위의 식을 제2코사인법칙이라고 한다. 상당히 많이 쓰이는 공식이며 식을 변형해서 많이 쓰기도 한다.↓

제2코사인법칙의 변형

공식 유도하기

제2코사인법칙은 모든 삼각형에서 증명이 가능하다. △ABC의 꼭지점 B에서 밑변 또는 그 연장선 위에 내린 수선의 발을 D, 선분BD=h, 선분AD=x라고 두자.

1. 예각삼각형의 경우

2. 둔각삼각형의 경우

3. 직각삼각형의 경우

똑같은 방법으로 b, c 꼴로도 정리할 수 있으니, 위의 증명과정을 참고하여 b, c도 직접 공식을 유도하면서 이해하며 암기하도록 하자.

함께 읽기

제1코사인법칙 및 유도과정에 대하여 알아보자

삼각함수의 변환 공식에 대하여 알아보자.

반응형

코사인 제2법칙

00.코사인 제2법칙

코사인 제2법칙은 삼각함수나 삼각형 관련 문제에서 광범위하게 많이 사용되는데 교과과정에서 제외되어 한동안 정리를 않했습니다. 벌써 몇년이 흘렀네요~~ 그래서 옛날 자료를 다시 정리하여 upgrade를 했습니다. 수학공부를 열심히 하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주요내용

01. 코사인 제2법칙과 증명

02. 코사인 제2법칙 예제들

키워드에 대한 정보 코사인 공식

다음은 Bing에서 코사인 공식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코사인 법칙

  • 코사인 법칙

코사인 #법칙


YouTube에서 코사인 공식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코사인 법칙 | 코사인 공식,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