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성 토성 | 대박!! 오늘 아침 토성의 모습 | Saturn In The Morning Photographed In Korea 상위 116개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목성 토성 – 대박!! 오늘 아침 토성의 모습 | Saturn in the Morning Photographed in Korea“?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ppa.maxfit.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maxfit.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나쫌NaZZom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7,192,366회 및 좋아요 112,452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목성 토성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대박!! 오늘 아침 토성의 모습 | Saturn in the Morning Photographed in Korea – 목성 토성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몇 달 동안 태양빛에 숨어서 안보였던
토성을 짧게 관측했어요~!
띠를 두른 모습이 참 반갑네요ㅎㅎ
토성으로 멍타임 한번 ㄱㄱ

[장비 및 제작 정보]– Camera : Canon EOS R5, SONY A7M3, Nikon P1000
– Lens : RF15-36mm, RF70-200mm, batis25mm, batis55mm,
※EOS R5는 캐논코리아로부터 렌탈 받아 사용하였습니다

[Global Search Keyword]Saturn in the Morning Photographed in Korea, Ο Κρόνος το πρωί φωτογραφήθηκε στην Κορέα, कोरियामा विहानको शनि ग्रहको फोटो खिचिएको, Saturn om morgenen fotografert i Korea, Saturn am Morgen fotografiert in Korea, Санчир гаригийн өглөөний гэрэл зургийг Солонгост авчээ. Sao Thổ vào buổi sáng Chụp ảnh ở Hàn Quốc, Saturnus på morgonen fotograferad i Korea, زحل في الصباح صور في كوريا ، Satarn ar Maidin Grianghraf sa Chóiré, Koreyada suratga olingan ertalab Saturn, Сатурн вранці, сфотографований в Кореї, Saturno al mattino fotografato in Corea, Saturnus di Pagi Hari Difoto di Korea, 韓国で撮影された朝の土星、 在韓國拍攝的早晨土星, Saturn ujutro fotografiran u Koreji, ดาวเสาร์ในตอนเช้าถ่ายในเกาหลี, Satürn Sabah Kore’de Fotoğraflandı,عکس زحل در صبح در کره ، Saturno pela manhã fotografado na Coréia, Saturn o poranku sfotografowany w Korei, Saturne le matin photographié en Corée,
A Szaturnusz reggel fotózva Koreában, שבתאי בבוקר צולם בקוריאה,

목성 토성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화보]세계 각국에서 포착한 목성과 토성 대근접 – 동아사이언스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미국 워싱턴DC 알링턴 국립묘지 너머로 밝게 빛나는 목성과 목성보다는 조금 어두운 토성이 가까이 붙은 ‘대근접’을 이달 21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dongascience.com

Date Published: 4/24/2021

View: 8049

목성·토성·금성 ‘한 눈에’ … 일생일대 황홀한 광경 연출

태양계의 최대 행성 목성, 가장 아름다운 토성, 최고의 밝기를 뽐내는 금성이 모든 별빛을 평정하며 이달의 밤하늘을 장악하고 있다.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safetimes.co.kr

Date Published: 12/14/2022

View: 3131

목성과 토성이 서로 껴안았다 – 지디넷코리아

미국 IT매체 씨넷은 22일(현지시간) 전 세계에서 관측된 목성과 토성의 만남을 담은 사진을 모아서 소개했다. WPDE-TV 수석 기상학자 에드 표트롭스키가 …

+ 더 읽기

Source: zdnet.co.kr

Date Published: 9/25/2021

View: 6482

목성의 폭풍, 토성의 가을, 천왕성의 봄…올해 포착한 외행성

태양계 8개 행성 중 바깥쪽에 있는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은 지구와 같은 암석 행성과는 달리 거대한 수소, 헬륨, 암모니아, 메탄 등의 기체와 …

+ 여기에 보기

Source: www.hani.co.kr

Date Published: 9/19/2021

View: 9004

오늘 토성, 금성, 목성, 화성, 수성 위치 | 지금 달 옆에 있는 별

2022년 8월에 우리는 토성, 목성, 천왕성, 화성, 금성, 수성과 달-행성 합을 보게 될 것입니다. 이 기사에서 정확한 시간을 찾으십시오.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starwalk.space

Date Published: 3/28/2021

View: 320

목성·토성·천왕성·해왕성 – 네이버 블로그

목성·토성·천왕성·해왕성. 수성, 금성, 지구, 화성과 같은 지구형 행성의 바깥쪽에는 수소와 헬륨이 주성분인 기체 행성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 더 읽기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6/26/2021

View: 8749

목성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목성은 토성과 마찬가지로 거대 기체 행성이다(천왕성과 해왕성은 거대얼음행성). 목성은 고대 천문학자들에게도 잘 알려져 있었는데, 로마인들은 목성에 로마 신화의 신인 …

+ 여기를 클릭

Source: ko.wikipedia.org

Date Published: 2/16/2021

View: 7452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목성 토성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대박!! 오늘 아침 토성의 모습 | Saturn in the Morning Photographed in Korea.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대박!! 오늘 아침 토성의 모습 | Saturn in the Morning Photographed in Korea
대박!! 오늘 아침 토성의 모습 | Saturn in the Morning Photographed in Korea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목성 토성

  • Author: 나쫌NaZZom
  • Views: 조회수 7,192,366회
  • Likes: 좋아요 112,452개
  • Date Published: 2022. 4. 21.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18ffMzhCQ0s

목성·토성·금성 ‘한 눈에’ … 일생일대 황홀한 광경 연출

서쪽 지평선 오후 6~7시 육안 관측 가능

▲ 태백과 초승달의 만남 … 중앙 위쪽의 밝은 별이 목성, 우측 중간에 초승달, 그 옆에 금성-S20 야간모드로 전남대에서 촬영했다. © 김진아

코로나19 바이러스 오미크론 변이의 출현으로 또 다시 만남을 자제해야 하는 우리를 위로하듯, 초저녁 밤하늘에서 만남을 주제로 특별한 천문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태양계의 최대 행성 목성, 가장 아름다운 토성, 최고의 밝기를 뽐내는 금성이 모든 별빛을 평정하며 이달의 밤하늘을 장악하고 있다.

초저녁 서쪽 지평선에 바짝 붙어서 가장 밝게 빛나는 천체가 금성이고, 금성에서 동쪽 방향으로 30도쯤 떨어진 곳에서 밝게 빛나는 천체가 목성이다.

저녁 노을이 희미해지는 시점부터 목성과 금성 사이에 하나의 별이 더 보이는데, 이것도 별이 아니라 토성이다.

7일부터 오는 9일까지 초승달이 금성, 토성, 목성을 차례로 지나며 우주의 대만남이 진행된다. 워낙 밝은 천체들의 만남이기 때문에 서쪽 하늘이 트인 곳이라면 도심에서도 누구나 쉽게 맨눈으로 이 현상을 관측할 수 있다.

▲ 삼행성을 한 눈에 … 4일 전에는 초승달 없이 초저녁 서쪽 하늘에 목성, 토성, 금성이 나란히 빛나고 있었다. 아이폰11 야간모드로 서울에서 촬영. © 심재철 전문위원

목성과 금성을 관측하며 과학도 배우고, 행성과 항성도 구분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별은 항상 같은 밝기와 일정한 움직임을 보여서 밤하늘의 모습이 항상 같은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변화무쌍한 움직임과 밝기로 별자리 사이를 방황하는 별들이 있어서 밤하늘도 늘 한결같지는 않다.

그런데 별자리 사이를 움직이는 별은 진짜 별(항성)이 아니라 행성이다. 행성의 운동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천동설과 지동설의 치열한 논쟁은 1800년간 지속됐다.

갈릴레이가 망원경으로 ‘목성의 위성이 목성을 돌고 있다’는 사실과 금성의 보름달 모양을 관측해 ‘세상의 중심이 지구가 아니라 태양’이라는 사실을 과학적으로 증명하게 된다.

그런데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아이와 손잡고 밤하늘을 한번 볼 시간이 없다.

▲ 지난 4일 목동자리 구상성단 M3 근처를 지나는 레너드 혜성. ©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정성훈

아니 가끔 밤하늘을 쳐다봐도 저 밝은 별이 목성인지 금성인지 모르고 지나친다. 별자리 사이를 아주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목성과 금성을 천문지식이 없이는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번 주 천문학에 관한 기초 지식이 없어도 초저녁 서쪽 지평선 위를 바라보면 어떨까. 목성과 토성 그리고 금성의 정체를 확인하고 이 행성의 움직임을 느낄 수 있는 일생일대의 기회가 찾아왔다.

오늘은 복잡한 세상일은 낮에 끝내고 밤하늘을 한번 쳐다보자. 한팔 길이 밖에 도달할 수 없는 우리를 무한의 시공이 존재하는 우주로 안내한다.

올해 최고의 천문 이벤트로 금성과 혜성이 만난다.

2021년 최고의 혜성 레너드가 최근 새벽녘 동쪽하늘에서 목동자리를 지나 빠른 속도로 뱀주인자리를 향하고 있다. 12월 중순 이후 레너드 혜성이 궁수자리까지 이동해 초저녁 서쪽 하늘에 나타나면, 드디어 올해 최고의 천문 이벤트가 완성된다. 레너드 혜성과 금성이 만나는 것이다.

혜성의 밝기는 많이 밝아지지만 고도가 낮기 때문에 서쪽 하늘이 탁 트인 서해안 바닷가 쪽이라야 제대로 최고의 우주쇼를 만날 수 있게 된다.

레너드 혜성은 다시 돌아오지 않는 비주기 혜성이기 때문에 이번 기회를 놓치면 다시는 볼 수가 없다. 이번이 레너드 혜성을 볼 수 있는 일생일대의 기회다.

▲ 시속 25만㎞의 속도로 금성을 향하는 레너드 혜성. © 한종현

스마트폰으로 행성과 초승달의 아름다운 만남을 기록할 수 도 있다.

갈릴레이 이전 최고의 천문학자 튀코 브라헤는 맨눈으로 밤하늘을 보고 수많은 관측 기록을 남겼다. 특히 별자리 사이에서 변화무쌍하게 움직이는 화성의 위치를 자세히 기록했다.

이 기록을 바탕으로 케플러는 행성이 원 궤도가 아니라 타원궤도를 돈다는 타원궤도의 법칙을 발견했다.

그런데 우리는 스마트폰 하나로도 튀코 브라헤보다 정확하게 행성의 움직임을 기록할 수 있게 됐다. 스마트폰으로 별과 행성 사진이 잘 찍히기 때문이다. 이번 주 오후 6~7시. 서쪽 지평선 위에서 벌어지는 목성, 토성과 달의 아름다운 만남을 관측하고, 스마트폰으로 기록해보는 것은 어떨까?

☞ [영상] 용맹한 혜성 레너드와 지구, 금성의 삼각관계

☞ [영상] 레너드 혜성 사진, 위치 찾기, 관측 방법

■ 심재철 전문위원 = 서강대에서 화학을 전공하고 27년째 특수윤활유를 연구하고 있지만, 별이 좋아 30년이 넘게 취미로 관측 여행을 하고 있다. 성북작은천문대 교육단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밤하늘 관측(김영사) △별과 별자리 △지구의 운동과 달 △미스터 갈릴레이의 별별 이야기 △오늘의 천체 관측(현암사·2021) 등이 있다.

▶클릭하면 세이프타임즈 후원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성의 폭풍, 토성의 가을, 천왕성의 봄…올해 포착한 외행성

허블우주망원경이 포착한 최근 모습

9월 시작한 ‘외행성 그랜드 투어’ 마쳐

날씨·계절·대기 변화 해마다 정기 추적

왼쪽부터 올해 촬영한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나사 제공

태양계 8개 행성 중 바깥쪽에 있는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은 지구와 같은 암석 행성과는 달리 거대한 수소, 헬륨, 암모니아, 메탄 등의 기체와 얼음으로 이뤄진 행성이다. 태양으로부터의 거리가 7억~45억km로, 지구~태양 거리의 5~30배에 이른다.

미 항공우주국(나사)과 유럽우주국의 합작품인 허블 우주망원경은 이 외행성들의 날씨와 계절, 대기 변화를 추적하기 위해 매년 정기적으로 정밀 관측을 한다. 이를 ‘오팔(OPAL=Outer Planets Atmospheres Legacy) 그랜드 투어’라고 부른다.

나사가 최근 허블우주망원경이 올해 새로 촬영한 외행성들의 모습을 공개했다.

9월4일 촬영한 목성. 나사 제공

_______

목성 대적점 위의 새로운 폭풍 4개

9월4일에 촬영한 올해의 목성 사진에선 적도 근처에서 새로운 폭풍이 발견됐다. 목성의 가장 큰 특징은 적도 주변의 거대한 주황색 대적점이다. 지구보다도 큰 이 대적점은 목성의 대기가 만들어내는 폭풍 현상이다. 대적점 위로는 옅은 구름 띠 안에 붉은색 점 모양의 새로운 폭풍들이 일고 있다. 적도 주변의 주황색 띠도 몇년 동안 어두워졌다 다시 활기를 띠었다.

9월7일 촬영한 토성. 나사 제공

_______

가을에 접어든 토성 북반구

9월7일에 촬영한 토성은 이 행성의 계절 변화를 색으로 보여준다. 지난해 사진에서 거의 사라지다시피했던 북극 지역의 거대한 육각형 폭풍이 다시 나타났다. 현재 토성의 북반구는 가을에 접어들면서 색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토성 남반구는 겨울에서 벗어나고 있으며, 고리 아래쪽에서 옅은 파란색을 띠고 있다.

10월25일 촬영한 천왕성. 나사 제공

_______

봄을 맞은 천왕성의 북반구

천왕성은 10월25일에 찍은 것이다. 북반구에는 봄이 오면서, 태양으로부터 날아온 자외선이 증가해 극지방이 밝아졌다. 그 아래를 파란색 고리가 감싸고 있다. 파란색과 흰색 영역 사이의 경계는 위도 43도다. 지난 몇년 동안 이 위도가 그대로 유지되는 것으로 보아 이곳에 강력한 제트기류가 형성돼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나사는 밝혔다.

9월7일 촬영한 해왕성. 나사 제공

_______

구름이 사라진 ‘파란 구슬’ 해왕성

그랜드 투어의 마지막 목적지는 해왕성이다. 푸른 구슬을 연상시키는 해왕성 사진은 9월7일 촬영한 것이다. 올해는 흰구름이 거의 보이지 않은 채 하늘이 온통 파란 색이다. 그러나 북반구 왼쪽에서는 어두운 색의 거대한 폭풍을 볼 수 있다. 2018년에 발견된 이 폭풍은 그동안 적도 쪽을 향해 이동하다 최근 방향이 바뀌었다.

해왕성의 남극 주변에서도 또 다른 어두운 원을 볼 수 있다. 해왕성과 천왕성의 파란색은 지구의 하늘을 파랗게 만드는 레일리 산란과 마찬가지로 메탄이 풍부한 대기가 태양의 붉은빛을 흡수하고 파란빛을 흩뿌린 결과다.

허블우주망원경. 나사 제공

_______

허블 안전 모드로 전환…복구 작업중

허블은 현재 안전 모드로 전환해 있다. 나사는 지난 10월25일 허블에서 데이터 동기화와 관련한 이상 현상을 감지한 이후 관측 활동을 중단시키고 장비 복구 조처를 하고 있다.

1990년 발사된 허블우주망원경은 지름 2.4m의 광학 망원경으로, 고도 540㎞ 상공에서 95분에 한 번씩 지구를 돌며 심우주를 관측하고 있다.

곽노필 선임기자 [email protected]

2022년 8월 달 옆에 있는 행성

2022년 8월에 우리는 토성, 목성, 천왕성, 화성, 금성, 수성과 달-행성 합을 보게 될 것입니다. 이 기사에서 정확한 시간을 찾으십시오.

내용물

달과의 결합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천문학에서 결합은 두 개 이상의 공간 물체가 서로 매우 가깝게 보일 때 발생하는 명백한 사건입니다. 일반적으로 결합은 달과 행성(금성, 수성, 화성, 목성 또는 토성) 사이에 발생합니다.

분명히 행성은 우주에서 달에 가까워지지 않습니다. 실제로 태양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우주 물체는 지구에서 관찰하는 사람에게만 하늘에서 가까이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달과 행성의 결합을 보는 방법?

사전에 알아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주 물체가 상승하고 당신의 위치에 대한 시간을 설정합니다. 낮에는 물체가 수평선 위로 떠서 전혀 볼 수 없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달의 위상. 완전히 조명된 달의 원반은 의심할 여지 없이 흥미진진한 광경이지만 또한 그것에 가까이 있는 상대적으로 희미한 물체를 숨기기도 합니다.

하늘을 가로지르는 우주 물체의 궤적. 우주 물체의 미래 움직임을 시각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시간대에 따라 정확한 결합 순간을 놓칠 수 있지만 여전히 달에 가까운 행성을 잡을 수 있는 기회가 있음을 기억하십시오.

저희 별 보기 앱을 사용하면 천체의 구성 및 상승 시간 또는 달의 위상과 같은 필요한 모든 정보를 빠르게 알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하늘을 가로지르는 천체의 경로를 추적하여 사용자가 있는 곳을 기준으로 그들의 위치를 예측하거나 밝게 빛나는 별의 이름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8월 합

8월 12일: 달-토성 합

8월 12일 서울특별시 오후 12시 55분 (GMT 03:55)에 토성은 보름달에서 3°54’를 지날 것입니다. 두 천체 모두 염소자리에 있을 것입니다. 행성은 0.3 등급으로 빛날 것입니다. 맨눈이나 쌍안경으로 달 옆에 있는 별 모양의 점을 찾아보세요. 망원경을 사용하면 토성과 그 고리를 더 가까이에서 볼 수 있지만 합은 볼 수 없습니다. 달과 행성 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 것입니다.

8월 15일: 달-목성 합

8월 15일 서울특별시 오후 6시 37분 (GMT 09:37)에 달은 고래자리에서 목성과 만납니다. 그들 사이의 겉보기 거리는 1°51’로 너무 넓어 망원경의 시야에 맞지 않으므로 쌍안경을 사용하거나 육안으로 장면을 관찰해보세요. 목성은 -2.8 등급으로 밝게 빛날 것입니다. 81% 조명된 달의 등급은 -12.5입니다.

8월 18일: 달-천왕성 합과 엄폐

8월 18일 서울특별시 오후 11시 14분 (GMT 14:14)에 달과 천왕성은 서로 불과 31’6″ 이내에 지나갈 것입니다. 망원경 렌즈를 통해 두 천체를 동시에 관찰하기에는 다소 거리가 있습니다. 쌍안경을 사용하면 합을 더 잘 볼 수 있습니다. 미국 및 키리바시 일부 지역에 있는 관측자는 천왕성의 달 엄폐를 볼 수도 있습니다. 엄폐가 달은 행성 앞에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일 것입니다. 천왕성은 5.8등급이 될 것이고 반쯤 밝게 빛나는 달은 -11.9등급으로 빛날 것이다. 양자리에서 찾으십시오.

8월 19일: 달-화성 합

8월 19일 서울특별시 오후 9시 16분 (GMT 12:16)에 달은 화성에서 2°41’를 지날 것입니다. 두 개체 모두 황소자리에 있습니다. 달의 디스크(등급 -11.7)는 42%로 조명되고 화성은 0.0의 등급을 갖습니다. 육안으로 또는 쌍안경으로 합을 관찰하십시오.

8월 26일: 달-금성 합

8월 26일 서울특별시 오전 5시 58분 (GMT 8월 25일 오후 8시 58분)에 금성은 거의 보이지 않는 달에서 4°17’를 지날 것입니다. 달은 이틀 후에 초승달에 도달하므로 표면 조명은 1%에 불과합니다. 맨눈으로도 충분히 밝은 -3.9 등급으로 빛나는 금성을 관측해보세요. 두 천체는 모두 게자리에 있습니다.

8월 29일: 달-수성 합

8월 29일 서울특별시 오후 7시 51분 (GMT 10:51)에 달은 처녀자리에서 수성을 만날 것입니다. 그들 사이의 겉보기 거리는 6°38’이 될 것이며, 이는 광학 장치의 시야에 맞추기에는 너무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그러나 0.2 등급으로 빛나는 수성은 육안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달의 디스크는 6%의 조명을 받고 얇은 초승달 모양으로 나타납니다.

7월 합

7월 16일: 달 옆에 있는 토성

7월에, 토성은 달에 가까워진 첫 번째 행성이 될 것입니다. **7월 16일 서울특별시 오전 5시 16분 (GMT 7월 15일 20:16)**에 합을 준수하세요. 태어난 지 16일 된 달은 토성(등급 0.4)에서 4°02′ 이내에 -12.7 등급으로 염소자리에 빛날 것입니다. 육안이나 쌍안경을 통해 볼 수 있지만, 두 천체 모두 망원경의 시야에 들어가지 않을 것입니다.

7월 19일: 달 옆에 있는 목성

**7월 19일 서울특별시 오전 9시 55분 (GMT 00:55)**에 고래자리에서 달이 목성과 만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달의 밝기는 -12.2 등급이며 목성의 밝기는 -2.6 등급에 이를 것입니다. 이 천체들은 망원경 목표치로는 너무 넓은 2°13’의 거리로 분리될 것이지만, 여러분은 밝은 천체를 육안으로 발견하거나 쌍안경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7월 22일: 달 옆에 있는 화성

이틀 후, 달과 화성의 합이 일어날 것이다. 이 천체들은 7월 22일 서울특별시 오전 1시 46분 (GMT 7월 21일 16:46)에 만날 것입니다. 달은 화성(0.3 등급) 옆에 있는 -11.5 등급으로 양자리에 빛날 것입니다. 화성은 달에 1°03’까지 근접할 것이지만 망원경을 통해 두 물체가 함께 있는 것을 보기에는 여전히 너무 넓습니다. 그래서, 쌍안경을 사용하거나, 육안으로 그 합을 관찰하세요.

7월 26일: 달 옆에 있는 금성

7월 26일 서울특별시 오후 11시 12분 (GMT 14:12)에 달은 쌍둥이자리에서 금성을 만날 것입니다. 얇아지는 초승달(등급 -9.1)은 행성의 북쪽으로 4°10’을 지날 것입니다. 금성은 맨눈으로 쉽게 관측할 수 있는 -3.9 등급으로 빛날 것입니다. 여러분은 쌍안경을 사용하여 연결 부분을 더 가까이에서 볼 수 있지만, 두 천체 모두 망원경의 시야에 맞지 않아서 망원경을 가지고 갈 필요는 없습니다.

7월 30일: 달 옆에 있는 수성

7월 30일 서울특별시 오전 6시 8분 (GMT 7월 29일 21:08)에, 달은 수성을 만날 것입니다. 이 모습은 수성(등급 -0.7)이 지평선 위로 몇 도 밖에 나타나지 않아서 북반구에서 보기 어려울 것입니다. 게다가, 달은 태어난 지 하루밖에 안 되었고 -7.9등급을 가질 것입니다. 남반구에서는 일몰 40분 후에 이 합을 관측하도록 노력하세요. 수성과 달은 사자자리에서 서로 3°35′ 이내에 위치할 것입니다.

6월 합

6월 18일: 달-토성 합

이번 달에 달을 만나는 첫 번째 행성은 토성이 될 것이다. 6월 18일 서울특별시 오후 9시 22분 (GMT 12:22)에 4°16′ 떨어져 있다. 거리가 너무 넓어 망원경의 시야에 맞지 않지만 쌍안경을 사용하거나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다. 토성은 0.5등급으로 빛날 것이고, 달의 원반은 72%가 빛날 것이다. 둘 다 염소자리에 있을 것이다.

북반구에서 달과 토성은 동이 트기 약 3시간 전에 지평선 위로 낮게 보입니다. 남반구에서 달과 토성은 자정 전에 일어나 밤새도록 볼 수 있다.

6월 21일: 달-목성 합

6월 21일 서울특별시 오후10시 31분 (GMT 13:31)에, 하현달은 목성에서 2°44′(진도 -2.4)를 지날 것이다. 그들은 화성(등급 0.8)도 볼 수 있는 물고기자리에서 만날 것이다. 행성은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을 만큼 밝게 빛날 것이다.

북반구의 관측자들은 일출 3~4시간 전에 관측을 시작해야 하다. 남반구에서 천체는 밤새 수평선에서 위로 이동하여 동이 트기 직전에 최고점에 도달하다.

6월 23일: 달-화성 합

6월 23일, 서울특별시 오전 3시 16분 (GMT 6월 22일 18:16)에, 하현달과 화성(등급 0.5)의 합이 발생할 것이다. 그들은 서로 1° 떨어진 물고기 자리에서 만날 것이다. 목성(등급 -2.2)이 근처에 있으며 장면에 추가되다.

북반구의 관찰자들은 해가 뜨기 몇 시간 전에 지평선 위로 낮게 빛나는 달과 화성을 감상할 수 있다. 남반구에서 달과 화성은 현지 시간으로 오전 1-2시에 뜨고 밤새 하늘을 가로질러 더 높이 이동할 것이다.

6월 26일: 달-금성 합

6월 26일 서울특별시 오후 5시 11분 (GMT 08:11)에 금성과 거의 보이지 않는 그믐달이 가까이에 나타나다. 그들 사이의 거리는 2°41’이다. 그들은 황소자리에서 찾을 수 있다. 광학 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금성은 육안으로 보기에 충분히 밝은 -3.9 등급으로 빛날 것이다.

달과 금성은 태양보다 조금 일찍 떠오를 것이다. 기껏해야 2시간 동안 관찰할 수 있다. 지평선 근처의 북동쪽에서 발견해 보세요.

6월 27일: 달-수성 합

6월 27일 서울특별시 오후 5시 20분 ( GMT 08:20)에 달은 황소자리에서 수성을 만나다. 달은 다음 날 초승달로 바뀔 것이기 때문에 거의 보이지 않을 것이다. 수성은 -0.5의 등급을 가지지만 여전히 관찰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것은 태양보다 불과 한 시간 전에 뜨고 수평선 위로 높이 올라갈 시간이 없다.

5월 합

5월 2일: 달-수성 합

5월의 시작은 달과 수성(0.7 등급)의 합을 가져올 것이다. 5월 2일 서울특별시 오후 11시 17분(14:17 GMT)에 거의 보이지 않는 1.3%의 조명을 받은 달이 수성의 남쪽으로 1°50’를 지날 것이다.

이 결합은 북반구에서 잘 볼 수 있지만 천체가 태양 가까이에 머물고 눈부심으로 인해 가려질 수 있는 남반구에서는 보기가 매우 어렵다. 황소자리에서 일몰 직후 달과 수성을 찾으세요. 하늘이 충분히 어두우면 근처에서 밝은 플레이아데스를 찾을 수도 있다!

5월 22일: 달-토성 합

5월 22일 서울특별시 오후 1시 43분 (04:43 GMT) , 반쯤 밝게 빛나는 달과 토성(등급 0.6)이 염소자리에서 함께 가까이 있는 모습을 발견해 보세요. 이때 두 천체 사이의 겉보기 거리는 4°27’가 되다. 망원경의 시야에 맞추기에는 너무 넓어서 맨눈으로 보거나 쌍안경을 사용해보세요. 합을 보려고 북반구 관측자는 아침 시간에 수평선 바로 위를 봐야 하고 남반구 관측자는 자정 이후 하늘에서 높은 달과 토성을 발견할 것이다.

5월 25일: 달-화성 합

5월 25일 서울특별시 오전 4시 24분(5월 24일 19:24 GMT)에 달과 화성의 합(등급 0.7)이 일어날 것이다. 지난 5월 22일 그믐달 단계를 지나면서 달의 원반은 나날이 얇아지고 있다. 달은 합의 순간에 2°46’에 가까워지는 물고기자리에서 화성을 만날 것이다. 관찰에 대한 조언은 거의 더 같다. 북반구에 있는 경우 아침에 낮게 보고, 남반구에 있는 경우 현지 시간으로 약 오전 2시 이후에 머리 위로 높게 보세요.

5월 25일: 달-목성 합

또 다른 합은 서울특별시 오전 8시 59분 (5월 24일 23:59 GMT)에 발생하다. 달은 물고기자리에서 목성(등긍 -2.2)의 남쪽으로 3°14’를 지날 것이다. 목성은 화성이나 토성보다 늦게 뜨기 때문에 남반구에서도 현지 시간으로 오전 3시까지 기다려면 합을 볼 수 있다. 북반구의 관찰자들은 해가 뜨기 약 1시간 전에 행성을 볼 수 있으며, 목성이 낮게 유지되기 때문에 다시 맑은 수평선이 중요하다.

5월 27일: 달-금성 합

5월 27일 서울특별시 11시 53분 (02:52 GMT)에 물고기자리에서 눈부신 금성(등급 -4.0)이 11% 조명된 달과 합은 발생할 것이다. 이번 합은 2022년에 달과 금성의 가장 가까운 합이 될 것이다. 달은 빛나는 금성의 남쪽으로 0°12’만 지나갈 것이다!

해가 뜨기 몇 시간 전에 금성이 하늘에 떠오르자마자 관측을 시작해 보세요. Sky Tonight 별보기 앱에서 현재 위치의 정확한 상승 시간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다른 시간에 하늘에서 천체의 위치도 보여주다. 금성과 달은 북반구에서 동이 트기 직전에 뜰 것이지만, 태양이 늦게 뜨는 남반구에서는 관찰자들이 볼 수 있는 적당한 어둠 속에서 약 2시간이 걸릴 것이다.

5월 27일: 금성의 달 엄폐

합 후 몇 분 후인 같은 날 밤 서울특별시 오후 12시 3분 (03:03 GMT)에 동남아시아와 인도네시아의 관측자들은 달이 금성 앞을 지나가는 모습을 볼 것이다. 이것을 달의 행성의 엄폐라고 합니다. 경상적이지만 관찰하기 어려운 행사이다. 달의 엄폐는 하늘에서 달의 위치가 다른 지점에서 최대 2도까지 다르기 때문에 지구 표면의 작은 부분에서만 볼 수 있다.

4월 합

4월 25일: 달-토성 합

2022년 4월 25일 서울 기준 오전 5시 56분(4월 24일 20:56 GMT)에 달과 토성은 함께 모여 염소자리에서 합을 형성하다. 이 천체들은 서로 4.6° 이내에 배치되며, 자연 위성은 -11.5등급, 토성은 0.6등급으로 빛나다. 달과 토성은 망원경으로 함께 보기에는 너무 멀리 떨어져 있지만 육안이나 쌍안경으로 볼 수는 있다.

4월 26일: 달-화성 합

2022년 4월 26일 서울 기준 오전 7시 6분(4월 25일 22:06 GMT)에 달은 물병자리에서 화성을 만날 것이다. 화성(등급 0.9)과 달(등급 -11.1)은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밝을 것이다. 4.1° 이내의 밤하늘에서 그들을 찾으세요. 이 천체들는 약 3시간 동안 아주 가깝게 붙어 있기 때문에 관찰할 시간이 충분하다.

4월 27일: 달-금성 합

2022년 4월 27일 서울 기준 오전 10시 51분(01:51 GMT)에 달이 금성에 가까워질 것이다. 그들 사이의 겉보기 거리는 4°와 같다. 달은 -10.6 등급으로 빛나는 초승달 단계에 있으며, 금성은 -4.1 등급으로 합류하다. 약 10%의 조명을 받은 달의 원반은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렵지만 쌍안경으로 쉽게 찾을 수 있다. 물병자리에서 Sky Tonight 앱을 사용하여 두 천체를 모두 찾으세요.

4월 27일: 달-목성 합

2022년 4월 27일 서울 기준 오후 5시 23분(08:23 GMT)에 금성을 만난 후, 달은 목성과 합치게 되다. 달과 목성 사이의 겉보기 거리는 3.8°에 불과하다. 초승달은 물병자리에서 -10.4 등급으로 빛날 것이다. 목성은 -2.1 등급으로 빛나는 이웃인 물고기자리에 머물 것이다. 두 천체는 쌍안경이나 육안으로 볼 수 있지만 망원경으로 함께 관찰하기에는 너무 멀리 떨어져 있다.

3월 합

3월 7일: 달과 천왕성의 접근

3월 7일 서울 기준 15시 46분(06:46 GMT)에 달과 천왕성 사이의 거리가 46.3’이다.

망원경으로 두 천체를 한 번에 발견하기에는 거리는 여전히 너무 멀다. 쌍안경을 가지고 있는 관찰자는 양자리에서 달(등급 -10.9)과 천왕성(등급 5.8)의 합을 볼 가능성이 더 큰다.

3월 7일: 천왕성의 월엄범오위

동시에 달은 지구에서 볼 때 천왕성 앞을 지나가면서 천왕성의 월엄범오위라고 하는 현상이 발생할 것이다. 그러나 이 현상은 지구의 대부분의 지역에서 볼 수 없습니다. 천왕성의 엄페는 뉴질랜드를 둘러싼 일부 섬에서만 관찰할 수 있다. 천왕성의 재등장은 호주 동부, 뉴질랜드, 남극의 일부에서 관측자들에 의해 목격될 수 있다. 나머지 세계는 위에서 언급한 달과 천왕성의 접근 방식만을 보게 될 것입니다.

3월 28일: 달-화성 합

2022년 3월 28일에 달은 표면의 약 15%만 밝게 빛나는 초승달 단계에 있게 됩니다. 이 상태는 관측자가 별과 행성, 특히 이른 아침에 행성이 수평선 위로 떠오르는 행성을 더 잘 볼 수 있음을 의미하다.

예를 들어, 3월 28일 서울 기준 11시 54분 (02:54 GMT)에 염소자리의 달과 화성이 4°12′ 이내에서 서로 매우 가깝게 지나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화성의 등급은 1.1로 육안으로 볼 수 있을 만큼 밝다.

3월 28일: 달-금성 합

3월 28일 서울 기준 18시 50분(09:50 GMT)에 달은 금성을 만날 것이다. 이 합은 망원경과 쌍안경의 범위를 벗어납니다. 달은 금성의 남쪽으로 6°40’를 지날 것이며, 이는 광학 장치의 시야에 맞추기에는 너무 멀리 떨어져 있다. 그러나 금성은 -4.3 등급으로 빛날 것이기 때문에 염소자리에 있는 달과 금성은 하늘에서 광학장치가 없이 완벽하게 보일 것이다.

3월 28일: 달-토성 합

3월 28일 세 번째 합은 서울 기준 20시 43분(11:43 GMT)에 달이 토성의 남쪽으로 4°25′ 지날 때 발생할 것이다. 토성의 등급은 0.7로 약간 어둡게 보일 수 있지만 쌍안경으로는 여전히 볼 수 있습니다.

육안으로 토성, 화성, 금성과 달을 함께 발견할 수도 있다. 염소자리 방향으로 시선을 돌리고 달 초승달이 아래에서 빛나는 동안 토성, 화성 및 금성과 삼각형을 형성하는 것을 관찰해 보세요.

3월 30일: 달-목성 합

3월 30일 서울 기준 23시 36분(14:36 GMT)에 거의 보이지 않는 달이 목성의 남쪽으로 3°55’를 지날 것입니다. 목성은 -2.0 등급의 장엄한 빛으로 물병자리를 밝힐 것이다. 열대와 남반구는 결합을 관찰하기에 가장 좋은 장소가 될 것이다.

2월 합

2월 2일: 달-목성 합

2월 초에는 달과 목성이 합이 됩니다. 2월 2일 21:08(GMT)에 달은 목성의 남쪽을 4°19’로 통과합니다. 달이 불과 하루 전에 새로운 위상에 도달하여 관측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하늘에서 가장 눈에 띄는 행성 중 하나인 목성은 겉보기 등급이 -2.0일 것입니다. 물병자리에서 해당 천체를 찾아보세요.

2월 27일: 달과 금성의 결합

2022년 2월 27일, GMT 6시 30분에 달(밝기 -10.7)과 금성(-4.6)의 환상적인 결합이 일어날 것입니다. 13%의 얇은 월광 원반이 가장 밝은 행성의 남쪽으로 8°44’를 지날 것이며, 궁수 자리에서 그들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 듀오는 동트기 전 하늘에서 볼 수 있으며, 북반구에서 관찰할 경우 금성은 먼저 수평선 위로 올라가고 곧이어 일출 직전에 초승달이 떠오를 것입니다. 관측 조건은 남쪽 위도가 더 나을 것입니다. 이 듀오는 더 일찍 (현지 시간으로 오전 4시경) 볼 수 있어 관측자가 일출 전에 더 오랫동안 이 경관을 즐길 수 있을 것입니다.

2월 27일: 달-화성 합

같은 날 밤에 달과 화성이 가까이 있는 걸 찾아보세요. 합이 일어날 정확한 시간대는 2022년 2월 27일 09:00(GMT)입니다. 이 순간에 달과 화성의 각거리는 3°31′ 밖에 되지 않을 것입니다. 궁수자리에서 해당 천체를 찾아보세요. 화성은 금성보다 더 어둡지만, 겉보기 등급 1.3으로 빛나기 때문에 육안으로 볼 수 있습니다.

북반구에 거주하고 있다면, 일출 한 시간 전에 관측을 시작하세요. 화성과 금성, 달이 하늘에 일렬로 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남반구에 있는 분들은 더 빨리 현지 시간으로 오전 4시 즈음 관측할 수 있습니다.

2월 28일: 달과 수성의 만남

2월 28일 20:06 GMT에 달과 수성이 다시 만날 것입니다. 만나는 순간 두 천체 사이의 거리는 3°43’가 될 것입니다. 밝은 수성은 -0.1 등급이 될 것입니다. 달은 새로운 위상에 접근하여 하늘에서 거의 보이지 않게 될 것입니다. 두 천체 모두 염소자리에 위치하게 됩니다.

2월 28일: 달-토성 합

2월 28일 23:47(GMT)에 6%만 빛나는 달이 토성과 합이 됩니다. 이 둘은 산양자리에서 서로 근접 통과하며, 4°17′ 거리로 떨어져 있을 것입니다. 토성은 겉보기 등급이 0.7로 수성보다 약간 어둡게 빛날 것입니다.

토성은 최근에 태양과 합이되었으며, 여전히 태양과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습니다. 동트기 전에 현재 수평선 위에 낮게 떠 있는 토성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달은 3월 2일에 새로운 위상으로 변화하고 태양과 가까이 위치하며 태양이 뜨기 직전에 떠오를 것입니다.

1월 합

1월 4일: 달-수성 합

2022년 1월 4일 1시 22분(GMT)에 하늘에서 달이 수성(겉보기 등급 -0.7)을 근접 통과하며, 이 둘은 염소자리에 위치하게 됩니다. 이 둘의 각거리는 3°07’이며 망원경으로 한 시야에서 보기에는 너무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쌍안경을 사용하거나 육안으로 관측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1월 2일 합이 되는 날 달은 새로운 상이 되어 매우 얇게 보이며 4%만 빛이 나게 됩니다. 달은 태양과 가깝게 위치하니 해가 지는 방향에서 작은 초승달과 수성을 찾아보세요. 수평선 위에 낮게 떠 있을 것입니다. 2020년 1월 7일 저녁 하늘에 수성이 태양으로부터 최대 이각에 도달하여, 수성을 관측하기 가장 좋은 밤이 될 것입니다.

1월 4일: 달-토성 합

2022년 1월 4일 16시 50분(GMT)에 초승달이 고리형 행성인 토성(0.6)과 합이 됩니다. 이들은 서로 더 먼 거리에 있을 것입니다. 달은 거대 토성의 남쪽을 4°11’로 통과합니다. 해가 진 후 수평선 가까이에서 얇은 달과 토성을 찾아보세요.

1월 6일: 달-목성 합

2022년 1월 6일 0시 9분(GMT)에 물병자리에서 상현달이 밝은 거대 기체 행성인 목성과 만납니다. 이날까지, 달은 거대 기체 행성의 남쪽을 4°27’로 통과하며 18%가 빛이나 더 관측하기 쉬워질 것입니다. 그리고 목성은 -2.1의 겉보기 등급으로 빛공해가 있는 지역에서도 잘 보일 것입니다.

1월 29일: 달-화성 합

2022년 1월 29일 15시 5분(GMT)에 하늘에서 달이 화성(1.5)을 서로 근접 통과합니다. 1월 말에 달은 다시 얇아지며 10%만 빛을 냅니다. 궁수자리에서 하현달이 화성의 남쪽을 2°24’로 통과할 예정입니다.

화성은 2022년 1월 아침 행성이므로 해가 지기 2시간 전 즈음에 관측해야 합니다. 달은 태양과 가까이 위치하여 관측하기 어려우며 태양의 환한 빛에 가려질 수도 있습니다. 천체가 떠오른 직후 이들을 발견할 수 있는 자유 수평선을 찾아보세요.

1월 31일 달-수성 합

1월 말에 달과 수성의 합이 다시 한번 일어납니다. 이번에는 관측하기 더 어렵습니다. 두 천체는 1월 31일 0시 20분(GMT)에 만나며 각거리 7°34’로 떨어져 있을 예정입니다. 이 둘은 망원경이나 쌍안경의 시야각에 맞지 않기 때문에 육안으로만 둘을 한 번에 관측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1월 31일에 달은 거의 볼 수가 없습니다. 새로운 상이 되기까지 하루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수성은 밝기가 현저하게 떨어져 겉보기 등급이 1.5에 불과할 것입니다. 게다가 1월 23일 내합이 끝난 후, 수성은 밤 동안 수평선 아래에 위치하며 태양이 뜨기 1시간 전에 뜹니다.

지금까지 달과 관련된 다가오는 이벤트를 포함한 달과의 행성 만남을 알아보았습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소셜 미디어에 꼭 공유해주세요.

다른 게시글에서 2021년에 달과 행성들의 합에 대해 알아보세요.

맑은 하늘과 행복한 관찰 되시기 바랍니다!

목성·토성·천왕성·해왕성 : 네이버 블로그

목성·토성·천왕성·해왕성

수성, 금성, 지구, 화성과 같은 지구형 행성의 바깥쪽에는 수소와 헬륨이 주성분인 기체 행성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2006년 8월 국제천문연맹(IAU)의 행성에 대한 분류법을 정정한 후로 명왕성이 소행성으로 바뀌자 목성형 행성은 화성 바깥 궤도에 있는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을 의미하게 되었습니다. 목성형 행성은 지구형 행성에 비해 반경은 크지만 평균밀도는 지구형 행성보다 작은 편입니다. 하지만 크기가 매우 커서 전체적인 질량은 지구형 행성보다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목성형 행성들의 자전 속도는 지구형 행성보다 빨라서 편평도가 크고 짙은 대기로 둘러싸여 있어서 가시광선 영역을 관측해 보면 회전하는 대기층을 쉽게 관측할 수 있습니다. 목성형 행성은 많은 위성들을 거느리고 있으며 모두 고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목성형 행성들의 이 고리는 어떻게 생겨나게 되었을까요?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기조력을 이해해야 한답니다. 달은 지구에 만유인력을 미쳐 해수면의 변화를 가져와 밀물과 썰물 현상이 나타나게 만드는데 달이 지구에 미치는 이러한 힘을 ‘기조력’이라고 합니다. 이때 지구도 달에 영향을 미쳐서 달을 타원체로 찌그러들게 합니다. 고체로 되어 있는 달이 찌그러지는 것이지요. 이처럼 질량이 다른 두 천체가 어느 한계 이상으로 가까워지면 질량이 작은 천체는 아주 많이 찌그러지다가 결국에는 깨지게 됩니다.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의 고리는 그들 주위를 도는 위성이 그들 행성과 어느 한계 이상으로 가까워져 기조력 때문에 깨져 형성된 것이랍니다.

■ 목성(Jupiter)

태양계의 다섯 번째 궤로를 돌고 있는 목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입니다. 목성의 크기는 지구 크기의 1,300배나 되고, 질량은 무려 318배에 달해 목성의 질량은 태양계에 있는 모든 행성의 질량을 합한 것의 2배나 된답니다.

목성은 변화무쌍한 대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독특한 줄무늬를 만들며 적도와 평행하게 목성 전체를 휘감아 도는 목성의 대기는 지구에서도 관측할 수 있습니다. 10개에서 14개 정도로 보이는 이 줄무늬는 쉴 새 없이 움직이면서 서로 섞이기도 하고 넓어지기도 하고 때로는 없어지기도 한답니다. 목성 대기의 관측에서 가장 흥미로운 것은 남쪽에 자리 잡고 있는 어두운 붉은색의 타원형 무늬인 대적점입니다. 이 대적점은 세로 방향으로는 폭이 14,000km, 가로 방향으로는 26,000km에 달하는 크기입니다. 즉, 붉은색의 점 안에 지구만한 행성이 2개나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인 것이지요. 대적점에서는 바람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불고, 다른 지점의 구름보다 온도가 2℃ 정도 낮습니다. 우주 탐사선이 조사한 결과 대적점은 목성에 나타나는 거대한 태풍과 같은 돌풍의 소용돌이로 지구의 태풍은 길어야 한 달 정도면 사라지지만 대적점은 발견된 이래 300년이나 계속되는데, 왜 그런지는 아직 분명하게 밝혀지지 않았답니다.

목성에는 위성이 63개 있습니다. 그중 가장 크고 밝은 이오, 에우로파, 칼리스토, 가니메데 4개의 위성을 갈릴레이 위성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이 위성들을 처음 발견한 사람이 바로 갈릴레이이기 때문입니다. 이 중에서 가장 큰 가니메데는 수성보다도 크답니다. 이오에서는 활발한 화산 활동뿐만 아니라 지진도 관측되었습니다.

▲목성(출처: 에듀넷)

■ 토성(Saturn)

목성에 이어 그 다음으로 큰 행성인 토성은 얼음과 바위, 먼지로 이루어진 크고 아름다운 고리가 있어 ‘태양계의 보석’이라고도 불립니다. 처음에는 하나로 된 거대한 고리라고 생각했는데, 여러 개의 고리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지요. 유일하게 대기를 가진, 위성을 거느린 행성으로 아주 빠르게 자전하고 있어 행성 중에 가장 납작한 타원체 모양(옆으로 길쭉한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토성의 위성 중에 타이탄은 수성만한데, 밀도는 아주 낮고, 표면은 액체 질소로 뒤덮여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토성을 생명이 탄생하기 전의 원시 지구와 아주 비슷하다고 여기고 있답니다.

▲토성(출처: 에듀넷)

■ 천왕성(Uranus)

파란 원반처럼 빛나는 천왕성은 옆으로 누운 행성입니다. 천왕성은 자전축이 98˚ 정도 기울어져 비스듬히 누운 채 태양 주위를 돌고 있는데 천왕성의 자전축이 기울어진 것은 아주 오래 전 천왕성에 거대한 충돌이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천왕성은 또한 토성처럼 수평으로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수직으로 서 있는 기이한 모습의 고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태양계의 행성 중에서 세 번째로 큰 천왕성은 지름이 약 51,000km로 지구의 네 배 정도이며 태양으로부터 받은 태양 광선의 양은 지구가 받는 양의 1/360에 불과해서 표면의 온도는 -170℃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공전은 아주 느려서 태양 주위를 한 바퀴 도는 데 약 84년이 걸리는 반면 자전은 빨라서 11시간 만에 자전을 한답니다.

▲천왕성(출처: 에듀넷)

■ 해왕성(Neptune)

해왕성은 목성형 행성 가운데 가장 바깥쪽 궤도를 돌고 있는 행성을 말합니다. 태양으로부터의 거리는 약 45억 km로 천왕성이 발견된 지 65년 뒤인 1846년에 수학적 계산에 의해 발견되었습니다. 천문학자들은 천왕성이 약간 불규칙한 궤도를 나타내는 것을 보고 천왕성보다 바깥쪽에 있는 행성이 끌어당기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했고, 그 별의 위치를 계산해 냈는데 실제로 그 위치와 아주 가까운 곳에서 해왕성이 발견되었답니다. 해왕성은 아주 큰 궤도를 돌기 때문에 공전 주기도 아주 길어 165년이나 됩니다. 자전 주기는 16시간 7분입니다.

해왕성의 대기는 천왕성의 대기와 비슷하게 수소와 헬륨 그리고 메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해왕성이 파랗게 보이는 것은 대기의 메탄 성분이 태양의 빨간 빛을 흡수하고 파란 빛을 잘 반사하기 때문입니다. 해왕성의 위성들 가운데 가장 큰 트리톤은 달보다 조금 작은데, 공전 방향이 해왕성의 공전 방향과 반대입니다. 그 이유는 여전히 수수께끼랍니다.

▲해왕성(출처: 에듀넷)

[자료출처: 에듀넷]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목성(木星, 라틴어: Jupiter)은 태양계의 다섯번째 행성이자 가장 큰 행성이다. 태양의 질량의 1,000분의 1배에 달하는 거대행성으로, 태양계에 있는 다른 모든 행성들을 합한 질량의 약 2.5배에 이른다. 목성은 토성과 마찬가지로 거대 기체 행성이다(천왕성과 해왕성은 거대얼음행성). 목성은 고대 천문학자들에게도 잘 알려져 있었는데,[1] 로마인들은 목성에 로마 신화의 신인 유피테르의 이름을 붙였다.[2] 동양에서 목성의 명칭은 오행 중 하나인 나무(木)에서 유래되었다. 신화에서는 세성(歲星)이라고도 불렀다. 목성은 지구에서 봤을 때 겉보기등급이 -2.94에 이르기 때문에, 반사광이 그림자를 형성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밝다.[3] 그래서 목성은 밤하늘에서 평균적으로 달과 금성 다음, 즉 세번째로 가장 밝은 천체에 해당한다.[주 1]

목성은 주로 수소로 이루어져 있다. 헬륨은 목성을 이루는 전체 분자 개수의 십분의 일 정도만을 차지하지만 목성의 질량의 사분의 일을 차지한다. 그리고 목성은 중원소로 이루어진 암석형 핵을 가지고 있으며,[4] 다른 거대행성들과 같이 뚜렷한 고체 표면이 없다. 빠른 자전으로 인해서 행성의 모양은 편구(적도의 팽대부가 약간 눈에 띄는) 모양이다. 외곽 대기는 위도에 따라 몇가지의 띠들로 눈에 띄게 구분되는데, 서로 상호작용하는 경계선을 따라 발생하는 난류와 폭풍에 의한 것이다. 그로 인해 발생한 유명한 결과물로는 대적점이 있는데, 대적점은 적어도 망원경을 통해 최초로 관측된 17세기부터 존재한 거대한 폭풍이다. 목성의 주변은 희미한 고리계와 강력한 자기권이 있다. 목성은 1610년에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발견한 가장 큰 네 개의 갈릴레이 위성을 포함하여 적어도 79개의 위성을 가지고 있다. 이들 중 가장 큰 가니메데의 직경은 행성인 수성의 직경보다도 크다.

목성은 여러 시기에 무인 탐사선을 통해 탐사되어 왔다. 그 중 플라이바이 임무 기간 동안의 초기의 파이오니어 및 보이저와 이후의 갈릴레오 궤도 탐사선이 가장 유명하다. 2007년 2월 말에 뉴호라이즌스가 목성의 중력을 이용하여 가속하고 궤적을 명왕성으로 변경하였다. 목성을 가장 최근에 탐사한 탐사선은 2016년 7월 4일에 목성에 도달한 주노이다.[5][6] 차후의 목성계 탐사 대상은 유로파의 표면 아래에 있을 액체 바다일 것이다.

형성 및 궤도전이 [ 편집 ]

이 부분의 본문은 이 부분의 본문은 대전이 가설 입니다.

지구와 그 주변의 행성들은 목성과 충돌로 인해 파괴된 태양 근처의 슈퍼지구들의 잔재로부터 형성되었다. 과학자들이 대전이 가설(Grand Tack Hypothesis)이라고 부르는 가설에 따르면 목성이 태양계 안쪽으로 침투하면서 중력에 의한 잡아당김과 끌기로 인해 슈퍼지구들의 궤도가 겹쳐지기 시작하면서 이들 사이에서 여러 충돌이 발생하였다.[7]

천문학자들은 여러개의 행성으로 이루어진 약 500개의 행성계를 발견하였으며, 이러한 계들은 주로 지구보다 수 배 이상 큰 질량의 행성(슈퍼지구)을 하나 이상 포함하며, 수성보다 더 가까운 거리에서 모성의 주변을 공전하고 있다. 목성과 같은 거대기체행성 또한 종종 모성과 가까이서 발견된다.

목성이 태양계 안쪽에서 튕겨져 나오면서 지구를 포함한 내행성들이 형성될 수 있었다.[8]

구조 [ 편집 ]

목성은 주로 기체 및 액체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목성의 직경은 적도에서 142,984 km (88,846 mi)이다. 밀도는 1.326 g/cm3으로, 태양계의 거대행성 중에서 두번째로 크지만 지구형 행성의 밀도보다는 낮다.

조성 [ 편집 ]

목성의 상층부 대기는 약 88 ~ 92%의 수소와 8 ~ 12%의 헬륨으로 이루어져 있다. 참고로 이는 개수밀도 조성비인데, 헬륨 원자가 수소 원자보다 네 배나 무겁기 때문에 질량비로 조성을 기술할 때 다른 원자에 의해서 조성이 바뀌기 때문이다. 질량에 따른 목성의 대기는 약 75%의 수소와 24%의 헬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나머지 일 퍼센트만이 다른 원소들로 이루어져 있다. 목성의 내부는 밀한 물질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질량의 대략 71%가 수소, 24%가 헬륨, 5%가 다른 원소들로 이루어져 있다. 목성의 대기는 미량의 메테인, 수증기, 암모니아, 규소화합물을 포함하며, 또한 미량의 탄소, 에테인, 황화수소, 네온, 산소, 포스핀, 황 등으로 이루어져 있기도 하다. 대기의 최외곽층은 얼음 암모니아 결정을 포함한다.[9][10] 적외선 및 자외선 분석을 통해서는 미량의 벤젠과 탄화수소들이 발견되기도 한다.[11]

대기의 수소 및 헬륨의 비율은 원시태양 성운의 이론적인 조성과 가깝다. 상층부 대기의 네온은 질량비로 단 20 ppm을 차지하는데, 이는 태양의 십분의 일정도다.[12] 헬륨 또한 태양의 헬륨 조성의 약 80% 정도로 감소하였는데, 이러한 감소는 행성 내부로 원소들이 침전된 결과이다.[13]

분광학에 따르면 토성은 목성의 조성과 유사할 것으로 여겨지지만, 천왕성과 해왕성은 수소와 헬륨이 상대적으로 훨씬 적다.[14]

질량 및 크기 [ 편집 ]

목성의 직경은 지구(×10.9733)보다 크고 태양(×0.10045)보다는 작은 크기의 정도 중 하나이다. 대적점은 지구와 크기가 거의 같다.

목성질량 문서에 이 부분의 추가 정보가 있습니다.

목성의 질량은 태양계의 다른 모든 행성을 합한 질량의 2.5 배로, 태양과 목성의 무게중심이 태양의 중심으로부터 1.068 태양 반지름, 즉 태양의 표면 위에 자리잡게 만들 만큼 매우 무겁다. 목성은 크기가 지구보다 훨씬 크지만 밀도는 상당히 낮다. 목성의 부피는 지구의 약 1,321 배이지만 질량은 지구보다 단 318 배 밖에 크지 않기 때문이다.[15][16] 목성의 반지름은 태양의 반지름의 약 1/10 배이며,[17] 그 질량은 태양의 질량의 0.001 배이다. 따라서 두 천체의 밀도는 비슷하다.[18] 목성의 질량(M J 또는 M jup )은 다른 천체, 특히 외계행성과 갈색왜성의 질량을 기술할 때 종종 사용된다. 예를 들면 외계행성 HD 209458 b의 질량은 0.69 M J 이며, 안드로메다자리 카파 b의 질량은 12.8 M J 이다.[19]

여러 이론 모형들은 목성이 현재보다 훨씬 더 무거웠다면 그 크기가 줄어들었을 것임을 시사한다.[20] 질량의 작은 변화에 대해서 반지름은 눈에 띄게 변화하지 않지만, 약 500 M 🜨 (1.6 목성질량) 이상에서는[20] 압력의 증가에 따라 내부가 매우 크게 압축되면서 질량의 크기는 증가한데 비해 행성의 부피는 감소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목성은 지난 역사와 조성을 통해 그만한 질량을 가졌기 때문에 직경이 큰 것으로 여겨진다.[21] 만약 질량을 끌어모으면서 수축하는 과정이 계속해서 진행된다면, 핵융합이 발생하여 약 50 목성질량에서 고질량 갈색왜성이 된다.[22]

목성이 수소 핵융합을 하여 별이 되기 위해서는 75 배나 더 무거워야 하지만, 가장 작은 적색왜성은 목성의 반지름의 약 30 퍼센트 밖에 크지 않다.[23][24] 이에 불구하고 목성은 태양으로부터 받는 열보다 더 많은 열을 복사하고 있다. 내부에 만들어진 열량은 목성이 받는 태양 복사에너지와 맞먹는다.[25] 이런 열은 수축을 통한 켈빈-헬름홀츠 기작에 의해 발생한 것이다. 이 과정으로 목성은 연간 약 2 센티미터씩 수축한다.[26] 처음 형성되었을 때 목성은 더 뜨거웠고 현재 지름의 두 배정도로 컸을 것이다.[27]

내부 구조 [ 편집 ]

목성은 여러 원소들이 혼합된 고밀도의 핵과 그 주변의 액상 금속성 수소층, 대부분 수소분자로 구성된 외곽층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여겨진다.[26] 이런 구조에 관해 더 상세한 내용은 아직까지도 상당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핵은 보통 암석형으로 기술되지만, 상세한 조성은 그 깊이의 온도 및 압력에서 물질의 특성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불명이다. 1997년, 핵의 존재가 여러 중력측량을 통해 주장되었는데, 그 질량은 지구의 질량의 12~45 배 또는 목성의 총질량의 대략 4~14 %이다.[25][28] 핵의 존재는 최소한 목성의 역사 부문에서 행성의 형성 모형을 통해 제기되는데, 모형에서 원시태양 성운으로부터 대량의 수소와 헬륨을 끌어모을 정도로 무거운 암석형 또는 얼음형 핵의 형성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핵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용융 상태의 핵은 그와 혼합된 뜨거운 액상 금속성 수소의 대류로 인해 수축하며 행성 내부에서 높은 수준의 구조를 지니게 된다. 여러 중력측량들이 전반적으로 그 가능성을 배제할 만큼 정밀하지 않기 때문에 핵에 관해서는 지금도 전적으로 불명이다.[26][29]

적외선에서 본 목성 애니메이션.

이런 모형의 불확실성은 지금까지 측정된 변수들의 오차와 상관있다. 회전계수 중 하나(J 6 )는 행성의 중력모멘트, 적도 반경, 1 바의 압력에서의 온도를 기술하는데 사용된다. 2016년 7월에 목성에 도달할 것으로 예정된 주노의 임무로 핵에 관한 더 나은 모형을 위해 이러한 변수들의 값은 정밀하게 제한될 것이다.[30]

핵 영역은 밀한 금속성 수소로 둘러싸여 있는데, 이 층은 목성의 반지름의 약 78%까지 뻗어 있다.[25] 비와 유사한 헬륨 및 네온 액적이 이 층을 통해 쏟아지면서 상층부 대기에서 이러한 원소의 양이 감소하였을 것이다.[13][31]

금속성 수소층 위에는 수소로 이루어진 투명한 안쪽 대기가 자리잡고 있다. 이 깊이에서의 온도는 수소에 대해 단 33 K인 임계온도 이상이다.[32] 이 상태에서 액체 및 기체의 상은 구별할 수 없다. 때문에 여기서 수소는 초임계 유체 상태에 있다고 일컫는다. 수소는 구름층에서 약 1,000 km 아래까지 뻗어 있는 상층부에서는 기체로 취급되고,[25] 그보다 아래에 있는 층에서는 액체로 취급된다. 물리학적으로 그 경계는 명확하지 않다. 기체는 하강하면서 매끄럽게 뜨거워지고 밀해지기 때문이다.[33][34]

목성 내부의 온도와 압력은 켈빈-헬름홀츠 기작으로 인해 핵쪽으로 급격하게 증가한다. 10 바 수준의 “표면” 압력에서, 온도는 약 340 K이다. 수소가 임계점 이상으로 가열되어 금속성을 띠게 되는 상전이 영역의 온도는 10,000 K이며 압력은 200 GPa로 추정된다. 핵의 경계에서의 온도는 36,000 K, 압력은 대략 3,000~4,500 GPa로 추정된다.[25]

액상 금속성 수소 층에 덮힌 암석형 핵을 가진 목성의 내부에 관한 모형을 묘사한 그림.

대기 [ 편집 ]

이 부분의 본문은 이 부분의 본문은 목성의 대기 입니다.

목성은 고도가 5,000 km 이상에 이르는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대기를 가지고 있다.[35][36] 지표면이 없기 때문에, 대기의 시작점은 주로 대기압이 1 MPa (10 바), 또는 지구의 표면 압력의 열 배에 해당하는 지점으로 간주된다.[35]

구름층 [ 편집 ]

보이저 1호 가 1979년 2월 25일에 목성 상공 920만 킬로미터에서 촬영한 목성의 대적점과 그 주변. 대적점 바로 아래의 하얀 타원형 폭풍은 지구와 직경이 거의 같다.

목성은 암모니아 결정 및 아마 황화수소암모늄으로 구성된 구름에 영구적으로 뒤덮혀 있다. 이 구름들은 대류권계면에 위치해 있으며 열대 지역으로 알려진 서로 다른 위도에 있는 띠들에 따라 배열된다. 이들은 밝은 색조의 대(zone)와 어두운 색조의 띠(belt)로 나뉜다. 이들의 충돌 순환 패턴의 상호작용으로 폭풍과 난류가 유발된다. 국지 제트(zonal jet)에서는 풍속 100 m/s (360 km/h)의 바람이 흔하게 발생한다.[37] 대는 폭과 색깔, 색의 강도가 해마다 변하는 것으로 관측되어 왔는데, 과학자들이 이를 확인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안정적으로 남아있다.[16]

구름층은 약 50 km의 두께를 가지며, 두껍고 낮은 층과 얇고 깔끔한 영역, 최소한 두 개의 구름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암모니아층 아래에는 얇은 H 2 O 구름층이 있을 것으로 여겨지는데, 목성의 대기에서 감지된 번개의 섬광을 통해 추측된 것이다. 번개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물의 극성으로 인해 전하분리가 일어나야하기 때문이다.[25] 이들의 방전은 지구에서 발생하는 번개의 수천 배에 이를 정도로 강력하다.[38] 물구름은 내부에서 가열된 열을 통해 뇌우를 일으킬 수 있다.[39]

목성의 구름에서 띠는 오랜지 및 갈색은 용승하는 화합물이 태양의 자외선에 노출되어 변색되면서 발생한 것이다. 정확한 성질에 관해서는 아직까지 불확실하지만 이들의 실체는 인, 황 또는 아마 탄화수소일 것으로 여겨진다.[25][40] 발색단으로 알려져 있는 이러한 다채로운 화합물들은 따뜻한 낮은쪽의 구름층과 섞이게 된다. 대는 상승 대류세포가 암모니아를 결정화하여 낮은 구름층을 가리게 만들 때 형성된다.[41]

목성의 낮은 자전축 경사는 극지역이 적도지역보다 적은 태양 복사를 일관적으로 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행성 내부의 대류는 더 많은 에너지를 극지역으로 수송하여 구름층의 온도 불균형을 해소하게 만든다.[16]

대적점과 그 외 소용돌이 [ 편집 ] [42] 목성의 대적점 은 시간이 흐르면서 그 크기가 줄어들고 있다.

목성의 가장 유명한 특징은 대적점이다. 대적점은 오랫동안 유지되고 있는 고기압성 폭풍으로, 적도를 기준으로 남위 22˚에 위치해 있으며 지구보다 더 크다. 대적점은 최소한 1831년,[43] 또는 1665년[44][45] 이후부터 존재해왔다. 허블 우주 망원경이 여러차례 촬영한 사진에서는 대적점과 인접해 있는 두 개의 “적점”(red spot)이 드러나기도 했다.[46][47] 대적점은 12 cm 이상 구경의 지상 망원경을 통해서 볼 수 있을 만큼 크다,[48] 여러 수학적 모형들은 이 폭풍은 안정적으로 목성의 영구적인 특징일 것이라고 시사한다.[49]

달걀형의 폭풍인 대적점은 약 6일 주기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50] 대적점의 크기는 24~40,000 km × 12~14,000 km로, 지구를 둘 또는 세 개나 품을 수 있을 정도이다.[51] 이 폭풍의 최대 고도는 주변의 구름 꼭대기에 대해서 약 8 km이다.[52]

대적점과 같은 폭풍(oval)들은 거대행성의 난류성 대기에서 흔히 발생한다. 목성 또한 이름이 붙여지지 않을 정도로 작은 갈색 및 백색의 폭풍들을 가지고 있다. 백색 폭풍은 상대적으로 차가운 상층부 대기의 구름을 포함하는 경향이 있으며, 갈색 폭풍은 따뜻한 “보통의 구름층”에 위치해 있다. 이러한 폭풍들은 수 시간정도로 짧게 지속되거나 수 세기까지 지속될 수 있다.

보이저의 탐사로 대적점이 하나의 폭풍이었다는 것이 알려지기 전에도, 대적점이 다른 부분의 대기에 대해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고 때때로 빠르거나 더 느리게 회전함으로써 행성의 표면의 어떠한 깊은 특징과 연관되지 않았다는 강력한 증거가 있었다.

2000년에 목성의 남반구에서 발생한 대기 현상은 대적점의 외양과 비슷하나 그보다 더 작은데, 세 개의 작은 백색 달걀형 폭풍들(1938년에 처음으로 관측됨)이 병합하면서 더 크게 만들어진 것이다. 이 폭풍은 오벌 BA라 명명되고, 주니어 적점(Red Spot Junior)이라는 별명이 붙여졌다. 오벌 BA는 색의 강도가 증가한 이후로 색깔이 백색에서 적색으로 변화하였다.[52][53][54]

행성의 고리 [ 편집 ]

이 부분의 본문은 이 부분의 본문은 목성의 고리 입니다.

목성은 이루어진 희미한 고리계를 가지고 있다. 목성의 고리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는데, 헤일로(halo)로 알려져 있는 안쪽의 입자 토러스와, 상대적으로 밝은 큰 고리, 외곽의 매우 가는 고리가 있다.[55] 이러한 고리들은 토성의 고리에서 볼 수 있는 얼음보다는 티끌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25] 큰 고리는 목성의 위성인 아드라스테아와 메티스에서 방출된 물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보통 위성으로 되돌아갈 물질은 목성의 강력한 중력으로 인해 끌어당겨진다. 때문에 물질의 궤도는 목성으로 크게 틀어지게 되고 추가적인 충돌로 인해 새로운 물질이 유입된다.[56] 비슷한 방법으로, 위성인 테베와 아말테아 역시 두 개의 희미한 티끌 고리를 형성했을 것이다.[56] 또한 아말테아의 궤도와 일치하는 암석형 고리의 증거가 있는데, 이 고리는 아말테아의 충돌 부스러기를 포함하고 있을 것이다.[57]

자기권 [ 편집 ]

이 부분의 본문은 이 부분의 본문은 목성의 자기권 입니다.

main oval)이라고 불리는 매우 밝은 원형의 영역과 그 속의 희미한 오로라가 보인다. 목성의 오로라 . 표시된 밝은 세 점들은 위성인 이오(좌측), 가니메데(하단), 유로파(하단)와 연결된 자속관 (magnetic flux tube)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주폭풍()이라고 불리는 매우 밝은 원형의 영역과 그 속의 희미한 오로라가 보인다.

목성의 자기장은 적도에서 4.2 가우스(0.42 mT), 극에서 10~14 가우스(1.0 1.4 mT)에 이르기 때문에 지구의 자기장보다 14 배나 강하며, 태양계에서 흑점을 제외하고 가장 강력하다.[41] 이러한 자기장은 액상 금속성 수소핵 속 물질들의 소용돌이 운동으로 인한 맴돌이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목성의 위성인 이오의 화산활동으로 대량의 이산화황이 방출되면서 위성의 궤도를 따라 기체 토러스가 만들어지는데, 이 기체는 목성의 자기권에서 이온화되어 황이온과 산소이온이 된다. 이들은 목성의 대기에서 기원한 수소이온과 함께 목성의 적도면에 플라스마판(plasma sheet)을 형성한다. 판 속의 플라스마는 목성에 대해 반대로 회전하기 때문에 쌍극자 자기장을 자기원반의 자기장으로 변형시킨다. 플라스마판 속의 전자는 강력한 전파를 방출하여 0.6~30 MHz 범위에서 폭발을 일으킨다.[58]

목성의 중심으로부터 약 75 목성반경 지점에서 자기권과 태양풍의 상호작용으로 활꼴 충격파가 발생한다. 목성의 자기권 주변은 자기권 외피층(자기권과 활꼴 충격파 사이의 영역)의 안쪽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는 자기권계면으로 덮혀있다. 이 영역과 태양풍이 상호작용하면서 목성의 태양 반대편 자기권은 길게 늘여지게 되는데, 거의 토성의 궤도에 이를 정도로 길게 뻗는다. 목성의 가장 큰 네 위성은 모두 목성의 자기권 속을 공전하기 때문에 태양풍으로부터 안전하다.[25]

목성의 자기권은 행성의 극지역에서 여러차례 발생하는 강렬한 전파 방출의 원인이다. 위성 이오의 화산활동(아래 참고)으로 인해 기체가 목성의 자기권으로 분출되어 행성 주변에 입자 토러스를 형성한다. 이오가 이 토러스 속을 움직이면서 알펜파를 일으키는데, 이 때문에 이온화된 물질이 목성의 극지역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결과로 사이클로트론 메이저 기작을 통해 전파가 발생하며, 그 에너지는 원뿔형 표면을 따라 전송된다. 지구가 이 원뿔과 상호작용할 때, 목성의 전파 방출은 태양의 전파 방출량을 넘어서기도 한다.[59]

공전 및 자전 [ 편집 ]

목성(빨강)은 지구(파랑)가 태양(중앙)을 11.86번 공전할 때 한 번 공전한다.

목성은 태양과의 무게중심이 태양의 체적 바깥에 위치한 유일한 행성으로, 그 무게중심은 태양 표면으로부터 태양 반지름의 7% 밖에 위치한다.[60] 목성과 태양 사이의 평균 거리는 7억 7,800만 km(지구와 태양 사이의 평균 거리의 5.2배, 즉 5.2 AU)이며 11.86년마다 한 번씩 공전을 완주한다. 이 주기는 토성의 공전주기의 2/5배로, 즉 태양계에서 가장 큰 두 행성은 5:2 궤도공명을 이루고 있다.[61] 목성의 타원궤도는 지구에 대해 1.31˚ 기울어져 있다. 0.048의 궤도이심률 때문에 태양에 대한 목성의 거리는 가장 가까운 지점(근일점)에서부터 가장 먼 지점(원일점)까지 약 7,500만 킬로미터 차이난다.

목성의 자전축 경사는 약 3.13˚로 상대적으로 작다. 때문에 목성은 지구나 화성에 비해 큰 계절적 변화를 겪지 않는다.[62]

목성의 자전은 10시간 이내로 한바퀴를 완주할 만큼 태양계의 모든 행성 중에서 가장 빠르다. 이러한 자전으로 인해서 목성은 지상의 아마추어 망원경을 통해서 쉽게 확인할 수 있을 정도의 적도 팽대부가 만들어진다. 행성의 모양은 극지름보다 적도지름이 더 큰 편구 모양이다. 목성의 적도지름은 극지름보다 9,275 km(5,763 mi) 더 길다.[34]

목성은 고체가 아니기 때문에 행성의 상층부 대기는 차등회전을 겪는다. 목성의 극 대기의 자전은 적도 대기의 자전보다 주기가 5분 더 길다. 그래서 특히 대기 현상의 운동을 도표화 하기 위해서 세가지 계가 기준 좌표계로 사용된다. 제일회전계(System I)는 북위 10˚에서 남위 10˚까지 적용된다. 제일회전계의 자전주기는 9시간 50분 30초로 목성에서 가장 짧다. 제이회전계(System II)는 그 외의 모든 위도에서 적용되는데, 자전주기는 9시 55분 40.6초이다. 제삼회전계(System III)는 전파천문학자들이 처음으로 밝혀낸 것으로, 목성 자기권의 자전과 상관있다. 제삼회전계의 자전주기는 목성의 공식적인 자전주기로 쓰인다.[63]

관측 [ 편집 ]

목성과 달의 합

지구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변화로 인한 외행성의 역행 운동.

목성은 통상적으로 하늘에서 태양과 달, 금성 다음으로 가장 밝은 천체이다.[41] 그러나 화성이 목성보다 밝아 보이는 시기가 있기도 하다. 지구에 대한 목성의 위치에 따라 목성의 겉보기등급은 충일 때 -2.9등급에서 합일 때 -1.6 등급으로 감소하며, 목성의 각지름 역시 50.1″에서 29.8″로 변한다.[15] 가장 밝은 시기는 목성이 근일점을 지나면서 충에 위치할 때이다.

지구는 태양을 공전하면서 목성을 398.9일 마다 한 번씩 추월하는데, 이 주기를 회합주기라고 한다. 이런 과정에서 지구에서 목성은 배경별에 대해 올가미 형태의 역행 운동을 하는 것처럼 보인다.

목성의 궤도가 지구의 궤도의 바깥에 있기 때문에 목성의 위상각은 지구에서 봤을 때 절대 11.5˚를 넘을 수 없다. 즉, 목성은 지구에서 망원경으로 관찰할 때 항상 거의 보름달처럼 보인다. 때문에 우주선 탐사를 통해서만 목성의 초승달에 가까운 위상을 볼 수 있다.[64] 보통 작은 망원경을 통해서 목성의 네 갈릴레이 위성과 목성의 대기상의 커다란 구름띠를 볼 수 있다.[65] 좀 더 큰 망원경을 통해서는 목성의 대적점을 볼 수 있기도 하다.

연구 및 탐사 [ 편집 ]

망원경 발명 이전의 연구 [ 편집 ]

알마게스트 모형. 지구(⊕)에 대한 목성(☉)의 경도 운동을 설명하기 위한모형.

목성에 관해 기록된 첫 관측 자료들은 기원전 7세기에서 8세기 경 바빌로니아의 천문학자들이 작성하였다.[66] 고대 중국에서는 목성을 세성(歲星, Sui-xing)으로 표기하였다. 그리고 4세기 경 황도 부근의 하늘을 열두 개의 영역으로 나누었는데, 여기서 목성은 매년 한 영역을 통과한다.[67] 중국의 역사가 시저쭝(席澤宗)은 고대 중국의 천문학자인 감덕(甘德)이 기원전 362년 경에 목성의 위성 중 하나를 나안으로 발견하였다고 주장하였다. 그의 주장이 확실하다면, 갈릴레오 위성은 갈릴레오가 발견했던 것보다 약 2,000년이나 더 앞서 발견되었음을 의미한다.[68][69] 2세기 경 헬레니즘 시대의 천문학자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는 알마게스트를 저술하는 동안 지구에 대한 목성의 운동을 설명하고 약 4332.38 일 또는 11.86 년에 해당하는 공전주기를 계산하기 위해 대원과 주전원에 기반한 천동설 모형을 도입하였다.[70] 499년, 인도의 수학자 겸 천문학자인 아리아바타 역시 목성의 공전주기를 계산하기 위해 천동설 모형을 이용하였다.[71]

지상 망원경을 이용한 연구 [ 편집 ]

1610년,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망원경을 이용하여 목성의 가장 큰 네 위성(갈릴레이 위성)을 발견하였다. 이는 지구 외 다른 행성의 위성에 관해 망원경을 이용한 첫 관측으로 여겨지고 있다. 갈릴레오의 발견 이후 시몬 마리우스가 별개로 목성 주변의 위성을 발견하였으나, 그의 발견은 1614년 저서에 기록되기 전까지 발표된 적이 없었다.[72] 그러나 마리우스가 붙인 네 위성의 명칭,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는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다. 또 이들의 발견은 겉보기에 지구를 중심으로 하지 않는 천구운동에 관한 첫 발견이기도 하다. 이러한 발견은 행성의 운동에 관한 코페르니쿠스의 태양중심설이 지지받기 시작하는 중요한 시점이었다. 이러한 노골적인 코페르니쿠스의 이론의 지지로 갈릴레오는 종교재판의 위협에 처했었다.[73]

1660년대에는 카시니가 새로운 망원경을 이용하여 목성의 점들과 다채로운 띠를 발견하였으며 목성이 편구 모양, 즉 극 부분이 평평한 것처럼 보인다는 것을 관측하였다. 또 그는 목성의 자전주기를 측정할 수 있기도 하였다.[74] 카시니는 1690년에 목성의 대기가 차등회전을 겪고 있다는 것을 기록하였다.[25]

목성의 남반구에 있는 뚜렷한 타원형의 대적점은 아직 논란이 있긴 하지만 1664년 로버트 훅과 1665년 지오반니 카시니의 관측 이후부터 관측되어 왔다. 약사였던 하인리히 슈바베는 1831년에 대적점의 상세한 모습을 최초로 그림으로 기록하였다.[75]

1665년과 1708년 사이의 여러 관측에 따르면 적점을 찾을 수 없었다고 한다. 이후 1878년에 크게 뚜렷해졌으나, 1883년과 20세기 초에 다시 희미해졌었다.[76]

지오반니 보렐리와 카시니는 목성의 위성이 목성의 앞뒤를 언제 통과하는지 예측할 수 있도록, 목성의 위성들의 운동에 관해 정밀한 표를 작성하였다. 1670년대에는 목성이 지구에 대해 태양 반대편 위치에 있을 때 목성의 위성들이 목성의 앞뒤를 통과하는 시기가 예측된 것보다 약 17분이나 늦게 발생한 것이 관측되었다. 올레 뢰머는 이를 통해 관찰이 즉각적이지 않음을 추론하였고(카시니는 처음에 이에 대해 동의하지 않았다),[10] 그 시간차를 이용해서 빛의 속도를 측정하였다.[77]

1892년, E. E. 바너드는 캘리포니아의 릭 천문대의 36 인치(910 mm) 굴절망원경을 통해 목성의 다섯번째 위성을 발견하였다. 이 위성은 후에 아말테아라 이름 붙여졌다.[78] 아말테아는 안시관측을 통해 직접적으로 발견된 마지막 위성이었다.[79]

1932년에는 루퍼트 빌트는 목성의 스펙트럼에서 암모니아와 메탄의 흡수선을 발견하였다.[80]

1938년에는 백색 폭풍(white oval)이라 불리는 세 개의 고기압성 폭풍이 관측되었다. 이들은 수십년 동안 서로 접근하기도 하였으나 병합은 하지 않으면서, 대기상에서 별개의 현상으로 존재했었다. 그러나 1998년에 두 개의 폭풍이 병합하였고, 2000년에는 남은 하나가 흡수되면서 최종적으로 하나의 더 큰 폭풍, 오벌 BA가 되었다.[81]

전파망원경을 이용한 연구 [ 편집 ]

1955년, 버나드 버크와 케네스 프랭클린은 22.2 MHz 대역에서 목성에서 오는 전파 폭발 신호를 탐지하였다.[25] 이 폭발의 주기는 목성의 자전주기와 일치하였는데, 이들은 그러한 정보를 통해 목성의 자전속도를 개선할 수 있었다. 목성에서 발생한 전파폭발은 두가지 형태로 나뉘는데, 수 초 정도까지 지속되는 긴 폭발(long burst, L-burst)과 밀리초 이하로 지속되는 짧은 폭발(short burst, S-burst)이 있다.[82]

과학자들은 목성에서 발신된 전파신호가 세가지 유형으로 나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데카미터(십 미터 단위의 파장) 전파폭발은 목성의 자전에 따라 변화하며, 목성의 자기장과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받는다. [83]

데시미터(센티미터 파장) 전파 방출은 1959년 프랭크 드레이크와 하인 흐배텀(Hein Hvatum)이 처음으로 관측하였다. [25] 이 신호는 목성의 적도 주변의 토러스 형태의 띠에서 발생하는데, 목성의 자기장에 가속된 전자의 사이클로트론 복사이다. [84]

이 신호는 목성의 적도 주변의 토러스 형태의 띠에서 발생하는데, 목성의 자기장에 가속된 전자의 사이클로트론 복사이다. 열복사는 목성의 대기의 열로 인해 발생한다.[25]

우주 탐사선을 통한 탐사 [ 편집 ]

이 부분의 본문은 이 부분의 본문은 목성 탐사 입니다.

1973년부터 지금까지 수많은 무인 우주 탐사선들이 목성에 방문하였다. 그 중 가장 유명한 것은 파이오니어 10호로, 처음으로 목성에 가까이 접근하여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의 특성과 그곳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상세하게 보여준 우주 탐사선이다.[85][86] 태양계 내의 다른 행성으로 우주 비행을 하기 위해서는 우주선 속도의 순변화량, 또는 델타 v로 표현되는 에너지가 요구된다. 지상에서 지구 저궤도에 이르기 위해 요구되는 델타 v는 9.7 km/s 인데,[87] 지구 저궤도에서 목성까지 호만 전이 궤도로 비행하기 위해서는 6.3 km/s라는 상당한 양의 델타 v가 요구된다.[88] 때문에 이러한 방법으로 목성을 향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다행히도, 우주 비행에 더 오랜 시간이 소요되긴 하지만 행성의 플라이바이를 통한 중력도움으로 목성에 도착하는데 필요한 에너지의 양을 줄일 수가 있다.[89]

플라이바이 임무 [ 편집 ]

플라이바이 임무 우주선 최대접근

시기 거리 파이오니어 10호 1973년 12월 3일 130,000 km 파이오니어 11호 1974년 12월 4일 34,000 km 보이저 1호 1979년 3월 5일 349,000 km 보이저 2호 1979년 7월 9일 570,000 km 율리시스 호 1992년 2월 8일[90] 408,894 km 2004년 2월 4일[90] 120,000,000 km 카시니 호 2000년 12월 30일 10,000,000 km 뉴 허라이즌스 호 2007년 2월 28일 2,304,535 km

1973년 초, 몇몇의 우주선들이 행성을 이용한 플라이바이 항법을 통해 목성 관측 범위로 방향을 돌렸다. 이러한 파이오니어 임무를 통해서 목성의 대기와 목성의 위성 일부를 근접 촬영한 모습을 처음으로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이를 통해 목성 근처의 방사장(放射場)이 예측되던 것보다 훨씬 강하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는데, 다행히도 목성에 접근한 두 우주선 모두 그러한 환경에서 큰 고장을 일으키지 않았다. 이러한 우주선들의 궤적은 목성계의 질량 측정값을 개선하는데 이용되기도 하였으며, 행성에 의한 전파 엄폐로 목성의 직경과 극의 편평도에 관해 더 나은 측정값을 얻을 수 있었다.[16][91]

그로부터 6년 후, 보이저 임무로 갈릴레이 위성에 관한 이해를 크게 개선할 수 있었으며 목성의 고리들을 발견하게 되었다. 또한 이들은 대적점이 고기압성임을 확인해주었다. 이전의 사진과 이들이 촬영한 사진 등 여러 사진의 비교로 적점이 파이오니어 임무 이후로 오렌지색에서 암갈색으로 색조가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온화된 원자로 이루어진 토러스가 이오의 궤도를 따라 놓여있는 것이 발견되었고, 이오의 표면에서는 일부는 분출 과정에 있는 화산들이 관측되었다. 우주선이 목성의 뒤편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밤측 대기에서 번개에 의한 섬광이 관측되기도 하였다.[16][92]

목성에 접근했던 다음 임무는 율리시스 태양 탐사선으로, 태양을 극궤도로 비행하기 위해 플라이바이를 이용하였다. 탐사선이 목성을 통과하는 동안에 목성의 자기권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율리시스 호는 카메라를 탑재하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그에 관한 사진은 얻을 수 없었다. 두번째 플라이바이로부터 6년 후에는 더 먼거리에 위치하게 되었다.[90]

카시니 호가 2001년 1월 1일에 촬영한 목성과 이오.

2000년에는 카시니 탐사선이 토성으로 향하는 도중에 목성을 지나면서 그 당시까지 가장 높은 해상도의 사진을 촬영하였다.[93]

뉴 허라이즌스 탐사선은 명왕성으로 향하기 위해 목성을 지나는 과정에서 목성의 중력 도움을 이용하였다. 탐사선이 목성에 가장 가까이 접근한 때는 2007년 2월 28일이었다.[94] 뉴 허라이즌스 호의 카메라를 통해 이오의 화산에서 분출되는 플라스마를 촬영하였으며 네 갈릴레이 위성에 관해 상세하게 진행되었을 뿐만 아니라, 외곽의 위성들인 히말리아와 엘라라에 대한 장거리 관측도 이루어졌다.[95] 목성계의 사진 탐사는 2006년 9월 4일부터 시작되었다.[96][97]

갈릴레오 임무 [ 편집 ]

이 부분의 본문은 이 부분의 본문은 갈릴레오 (우주선) 입니다.

지금까지 목성을 공전한 우주 탐사선은 갈릴레오 궤도 탐사선이 유일하다. 갈릴레오 호는 1995년 12월 7일부터 목성의 주변을 공전하기 시작하였다.[21] 7년 이상 행성을 공전하면서 모든 갈릴레이 위성과 아말테아에 대한 여러 회의 플라이바이가 수행되었다. 또한 탐사선은 슈메이커-레비 9 혜성이 1994년에 목성에 접근하여 충돌하는 모습을 사건을 관찰하기 매우 좋은 위치에서 목격하기도 하였다. 고성능 전파 수신 안테나의 전개 실패로 원래 계획된 탐사 능력에 제한을 받았지만, 갈릴레오 호로부터 얻은 목성계에 관한 정보는 광범위했다.[98]

1995년 7월에는 질량 340 킬로그램의 티타늄제 대기 탐사선이 우주선으로부터 사출되어, 당해 12월 7일에 목성의 대기에 진입하였다.[21] 탐사선은 대기 진입 후 150 km(93 mi)를 약 2,575 km/h(1,600 mph)의 속력으로 낙하하였으며[21] 57.6분 동안 자료를 수집하다가 섭씨 153 도, 23 기압의 압력에서 파괴되었다.[99] 그 후 잔해는 녹아내려 아마 기화하였을 것이다. 갈릴레오 궤도 탐사선 역시 생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을지도 모르는 위성인 유로파와 충돌하여 오염시킬 가능성을 피하기 위해, 2003년 9월 21일에 목성으로 방향을 돌려 50 km/s 이상의 속력으로 대기 탐사선과 동일한 운명을 맞이하였다.[98]

갈릴레오 임무로 얻은 자료로 수소가 목성의 대기의 90%까지 차지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21] 탐사선이 증발하기 전까지 기록된 온도 자료는 섭씨 300도 이상이었으며 풍속은 644 km/h 이상으로 측정되었다.[21]

주노 임무 [ 편집 ]

이 부분의 본문은 이 부분의 본문은 주노 (우주선) 입니다.

NASA의 주노 탐사선이 2016년 7월 4일에 목성에 도달하였다.[5] 이후에 극궤도로 돌면서 목성을 상세하게 탐사할 것이다.[100]

이후의 탐사선 [ 편집 ]

다음에 계획된 목성계에 관한 임무로는 2022년 발사 예정인 유럽 우주국의 목성 얼음 위성 탐사선(JUICE)과,[101] 2025년 NASA의 유로파 클리퍼 임무가 있다.[102]

취소된 임무 [ 편집 ]

목성의 위성인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의 표면 아래에 액체 바다가 존재할 가능성 때문에 얼음 위성에 관한 상세한 연구가 큰 관심을 끌어왔다. 그러나 자금 조달의 어려움으로 인해 그러한 계획은 계속 지연되어 왔었다. 2005년에는 NASA의 목성 얼음 위성 탐사선(JIMO) 계획이 취소되기까지 하였다.[103] 이후에는 NASA와 ESA가 협력하는 방식으로 EJSM/라플라스 공동 임무가 계획되어 대략 2020년 쯤에 실행될 예정이었다. EJSM/라플라스 임무는 NASA가 주도하는 목성 유로파 궤도선과 ESA가 주도하는 목성 가니메데 궤도선으로 구성되어 있었다.[104] 그러나 2011년 4월에 ESA가 공식적으로 NASA와 예산 및 주제를 공유하는 파트너쉽을 종료하면서 임무는 무산되고 예정표만 남게 되었다. 대신 ESA는 이를 골자로 L1 코즈믹 비전을 완수하기 위해 유럽만의 임무를 추진할 계획이다.[105]

위성 [ 편집 ]

이 부분의 본문은 이 부분의 본문은 목성의 위성 입니다.

목성은 79개의 자연위성을 가지고 있다.[106] 그 중 53개는 지름 10 km 미만으로, 모두 1975년 이후부터 발견된 것들이다. 갈릴레이 위성으로 알려져 있는 가장 큰 네 위성,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는 지구에서 맑은 밤하늘에 쌍안경으로도 볼 수 있다.

갈릴레이 위성 [ 편집 ]

이 부분의 본문은 이 부분의 본문은 갈릴레이 위성 입니다.

태양계에서 가장 큰 위성들인 이오와 유로파, 가니메데의 공전은 라플라스 공명이라 불리는 패턴을 이룬다. 이오가 목성을 네 번 공전할 때 유로파는 정확히 두 번, 가니메데는 한 번 공전한다. 이러한 공명으로 세 위성은 매번 공전할 때마다 동일한 지점에서 주변으로부터 추가적인 잡아당김을 받음으로써 궤도가 타원형으로 변형되는 등 중력에 의한 영향을 받는다. 반면에 목성의 기조력은 이들의 궤도를 원형으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107]

세 위성의 궤도 이심률로 인해 위성이 목성에 접근함으로써 목성의 중력에 의한 잡아당김으로 세 위성의 형태에 일정한 굽힘이 발생하며, 위성들이 목성으로부터 멀어지면서 다시 구형에 가까운 형태로 되돌아온다. 이러한 조석 굽힘에 의한 마찰로 위성의 내부에 열이 발생하는데, 이런 현상은 세 위성 중에 가장 강한 기조력을 받는 이오의 큰 화산활동을 통해 가장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 유로파의 표면이 지질학적으로 어리다는 것(위성의 외형이 최근에 바뀌었음을 의미)을 통해서 알 수 있기도 하다.

지구의 달과 비교한 갈릴레이 위성 명칭 영어

발음 직경 질량 궤도 반경 공전 주기 km % kg % km % 일 % 이오 (Io) ˈaɪ.oʊ 3,643 105 8.9×1022 120 421,700 110 1.77 7 유로파 (Europa) jʊˈroʊpə 3,122 90 4.8×1022 65 671,034 175 3.55 13 가니메데 (Ganymede) ˈɡænimiːd 5,262 150 14.8×1022 200 1,070,412 280 7.15 26 칼리스토 (Callisto) kəˈlɪstoʊ 4,821 140 10.8×1022 150 1,882,709 490 16.69 61 갈릴레이 위성,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목성과의 거리 순으로 나열)

분류 [ 편집 ]

보이저 임무 이전에, 목성의 위성은 궤도 요소의 공통점을 통해 네 집단으로 간단하게 분류되었다. 그러나 이후 수많은 위성들이 발견되면서 분류는 아래처럼 복잡해지게 되었다. 현재는 여섯 개의 큰 분류군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나, 일부는 이들과 별개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기존의 분류군은 목성의 적도면 근처에서 거의 원형의 궤도를 돌고 있는 여덟 개의 내위성(內衛星)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은 목성과 같은 시기에 함께 만들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남은 분류군은 궤도가 목성의 적도면에 대해 크게 기울어지고 타원형인 수많은 작은 불규칙 위성들로 구성된다. 이들은 목성에 포획된 소행성이거나 그러한 소행성의 잔해로 여겨진다. 유사한 궤도 요소를 가지는 집단에 속해 있는 불규칙 위성들은 기원이 같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아마 큰 위성이나 포획된 천체가 파괴되면서 만들어졌을 것이다.[108][109]

규칙 위성 내위성군 네 개의 작은 위성으로 구성된 내위성군(Inner group)은 직경이 200 km 미만으로, 궤도 반경 200,000 km 이내에서 목성을 공전하고 있으며 궤도 경사각은 0.5도 이내이다. 갈릴레이 위성[110] 갈릴레오 갈릴레이와 시몬 마리우스가 동시에 발견한 위성들로, 목성으로부터 400,000~2,000,000 km 거리에서 공전하고 있다. 이들은 태양계에서 가장 큰 위성들이다. 불규칙 위성 테미스토 이 위성군에 속한 위성은 테미스토 뿐으로, 테미스토는 갈릴레이 위성과 히말리아 위성군의 중간 지점에서 공전하고 있다. 히말리아 위성군 목성으로부터 11,000,00~12,000,000 km 거리에서 빽빽히 군집을 이룬채 공전하고 있는 위성군이다. 카르포 테미스토와 마찬가지로 그 자체로 독립된 경우이다. 아난케 위성군의 안쪽 가장자리에 있으며, 순행 공전을 하고 있다. 아난케 위성군 경계선을 알기 힘든 역행 공전 위성군으로, 목성으로부터 평균 21,276,000 km에서 궤도 경사각 평균 149 도로 공전하고 있다. 카르메 위성군 매우 명확한 역행 위성군으로, 목성으로부터 평균23,404,000 km에서 궤도 경사각 평균 165 도로 공전하고 있다. 파시페 위성군 아주 약간 뚜렷한 분산된 형태의 역행 위성군으로, 최외곽 위성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태양계와의 상호작용 [ 편집 ]

태양과 마찬가지로, 목성의 중력은 태양계가 오늘날의 형태를 갖추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태양계 행성의 대부분의 궤도는 태양의 적도면보다 목성의 궤도면에 가깝게 기울어져 있다(수성만이 궤도 기울기가 태양의 적도면에 더 가깝다). 그리고 소행성대의 커크우드 간극은 대부분 목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며, 과거의 태양계 안쪽에서 일어난 후기 대폭격은 목성에 원인이 있었다.[111]

목성의 중력장은 위성과 마찬가지로 수많은 소행성들을 통제하여 목성의 라그랑주점 영역으로 이주시킨다. 이렇게 이주된 소행성들은 트로이군이라고 불리며, 일리아드에서 등장하는 것처럼 그리스와 트로이 “측”으로 나뉜다. 이들 중 맨 처음에 발견된 것은 588 아킬레스로, 막스 볼프가 1906년에 발견하였다. 그 그후 2000개 이상의 트로이 소행성이 발견되어 왔다.[112] 가장 거대한 트로이 소행성은 624 헥토르이다.

대부분의 단주기 혜성들은 목성의 궤도 장반경보다 작은 장반경을 가진 혜성족인 목성족(Jupiter family)에 속해있다. 목성족 혜성은 해왕성 궤도 바깥의 카이퍼대에서 형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목성과 가까이 접근하는 과정에서, 이들의 궤도는 섭동을 받아 공전 주기가 짧아지며 태양 및 목성과의 일정한 중력 상호작용으로 원형에 가까워진다.[113]

충돌 [ 편집 ]

목성은 태양계의 진공 청소기라고 불리는데,[115] 그 이유는 목성이 어마어마한 중력 우물을 가지며 태양계 안쪽 근처에 위치해있기 때문이다. 목성은 태양계의 행성 중에서 가장 많은 혜성 충돌을 겪고 있다.[116] 목성은 혜성 폭격으로부터 안쪽 태양계를 부분적으로 보호해 주었을 것이라 여겨졌으나,[21] 최근의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목성이 중력을 통해 끌어 당기는 혜성의 수와 방출해내는 혜성의 수가 거의 같기 때문에 태양계 안쪽을 지나가는 혜성들의 수를 전체적으로 감소시키지 않는다고 한다.[117] 이에 관해서는 과학자들 사이에서도 논란이 많다. 일부는 목성이 카이퍼대에서 지구로 혜성을 끌어당긴다고 생각하는 반면, 다른 이들은 목성이 가설상의 오르트 구름으로부터 지구를 보호한다고 생각한다.[118] 목성은 지구보다 소행성 및 혜성 충돌을 200 배나 더 겪었다.[21]

1997년에 옛 천문학 그림들을 조사해본 결과, 카시니는 1690년에 목성에서 일어난 충돌의 자국을 기록하였을 것이라고 한다. 그러한 조사로 여덟 개의 다른 후보 관측들에 대해 충돌 가능성이 낮거나 거의 없다는 것이 밝혀지기도 했다.[119] 보이저 1호는 1979년 3월에 목성에 접근하던 동안 화구를 촬영하였다.[120] 1994년 7월 16일에서 22일 사이에 슈메이커-레비 9(SL9, 공식적으로 D/1993 F2로 명명) 혜성에서 나온 20개 이상의 파편이 목성의 남반구와 충돌하였다. 이는 두 태양계 천체의 충돌에 대한 최초의 관측이었다. 이러한 충돌로 목성의 대기의 조성에 관한 유용한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121][122]

2009년 7월 19일, 제이회전계 경도 216도 부근에서 충돌 자국이 발견되었다.[123][124] 이 충돌은 목성의 대기에 오벌 BA의 크기와 비슷한 검은 점을 남겼다. 적외선 관측을 통해 충돌 지점에서 밝은 점이 관측되었는데, 이는 충돌로 인해 목성의 남극 주변 영역의 대기 하층부가 따뜻해졌음을 의미한다.[125]

2010년 6월 3일에는 이전에 관측된 것들보다는 작은 화구가 오스트레일리아의 아마추어 천문학자, 앤서니 웨슬리에 의해 발견되었는데, 후에 필리핀의 다른 아마추어 천문학자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도 발견되었다.[126] 2010년 8월 20일에는 또다른 화구가 관측되기도 했다.[127]

2012년 9월 10일에도 화구가 관측되었다.[120][128]

2016년 3월 17일, 소행성 또는 혜성이 강타한 모습이 영상에 포착되었다.[129]

생명체 존재 가능성 [ 편집 ]

1953년에, 밀러와 유리의 실험은 방전을 통해 원시 지구의 대기에 존재했던 생명체의 구성 요소인 아미노산을 포함한 유기 화합물의 생성을 입증하였다. 상정된 원시 대기에는 물, 메테인, 암모니아, 수소분자가 존재하였는데, 이러한 분자들은 목성의 대기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목성의 대기에는 강력한 수직 공기순환으로 인해, 그러한 화합물들을 아래의 영역으로 이송한다. 그리고 대기 내부의 높은 온도로 화합물들이 파괴되면서 지구에서와 같은 생명체의 발생을 막는다.[130]

목성의 대기에서 물은 적은 양만 존재하고 목성의 고체 표면이 극단적인 압력을 받는 깊은 곳에 있기 때문에, 목성에 지구에서와 같은 생명체가 존재할 것이라는 생각은 신뢰성이 떨어진다. 하지만, 아직도 암모니아 또는 물 기반 생명체가 목성의 상층부 대기에서 진화할 수 있다고 가설화되어오긴 하였다.[131][132][133][134] 목성의 위성 중 일부 표면 아래에 있을 바다의 존재로, 이곳에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더 높을 것으로 추측된다.

신화 [ 편집 ]

목성은 고대에도 알려져 있었다. 밤하늘에서 육안으로 관찰 가능하고 가끔은 태양이 낮게 뜬 낮에도 볼 수 있기 때문이다.[135] 바빌로니아인들에게 목성은 그들의 신 마르두크를 상징했다. 이들은 목성이 황도를 따라 약 12년 동안 공전한다는 사실을 통해 황도 십이궁을 만들었다.[16][136]

로마인들은 목성의 명칭에 원시 인도-유럽의 발음어의 합성어 Dyēu-pəter(주격: Dyēus-pətēr, “하늘의 신” 또는 “낮의 신”를 의미)에서 유래된 명칭인, 로마 신화의 최고신, 주피터(라틴어: Iuppiter, Iūpiter)의 이름(조브라고도 불림)을 붙였다.[137] 따라서 목성은 그리스 신화의 제우스(Ζεύς) 또는 디아스(Δίας)를 상징하기도 한다.[138]

행성을 상징하는 ♃ 심볼은 신의 번개를 표현한 것이다. 그리스의 신을 의미하는 제우스(Zeus)는 zenographic(목성의-)과 같이 목성과 연관된 용어를 만드는 데 쓰이는 zeno-의 어원이다.[139]

jovian(목성의-)은 Jupiter의 형용사적 형태이다. 그보다 오래된 형용사적 형태로는 중세 시대의 점성가들이 만든, jovial이 있는데, 목성의 점성술적 영향 덕분에 “행복” 또는 “즐거움”이라는 기분을 의미하는 것이 되었다.[140]

중국, 한국, 일본에서는 행성을 “목성”(木星)이라고 불렀는데, 중국의 오행에서 기원한 것이다.[141][142][143] 중국의 도교에서는 행성을 삼성(三星) 중 복성(福星)으로 의인화하였다. 그리스에서는 목성을 “타오름”을 의미하는 파에톤(Φαέθων)이라 불렀다. 베다 시대의 점성술에서, 힌두의 점성가들은 행성에 신들의 스승, “무거운 사람”을 의미하는 “구루”라고 자주 불리는 브리하스파티의 이름을 붙였다.[144]

게르만 신화에서 목성은 토르와 동일하였으며, 로마의 dies Jovis에 대한 영명이 Thursday이다.[145]

중앙 아시아-터키 신화에서 목성은 eren(의미 불명)과 yultuz(별)의 합성어로 Erendiz 또는 Erentüz라고 불리었다. eren의 의미에 대해서는 많은 이론이 있다. 이 시기의 사람들은 목성의 공전주기가 11년 하고 300일이 된다는 것을 계산하였다. 이들은 하늘에서 Erentüz의 운동이 사회 및 자연적 사건과 어느정도 연관된다고 여겼다.[146]

내용주 [ 편집 ]

↑ 위상 변화와 거리에 따라 목성의 겉보기 등급 은 -1.6 등급에서 -2.94 등급까지 변하기 때문에 화성 이 잠깐 동안 목성보다 밝아 보일 수 있다.

각주 [ 편집 ]

키워드에 대한 정보 목성 토성

다음은 Bing에서 목성 토성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대박!! 오늘 아침 토성의 모습 | Saturn in the Morning Photographed in Korea

  • 나쫌
  • 나쫌NaZZom
  • 아침토성
  • 토성모습
  • 토성 P1000
  • 토성 촬영
  • 토성 직촬
  • 4월의 토성
  • 잠자기 전에
  • 잠자기 전에 보세요
  • 마음 편안해지는 영상
  • 숙면영상
  • 숙면다큐
  • 숙면TV
  • 실제촬영
  • 나쫌 알티스트
  • EOS알티스트
  • 나쫌 소니A7M3
  • 소니 A7M3
  • sony A7m3
  • A7m3
  • batis
  • EOS R5
  • Saturn in the Morning Photographed in Korea
  • Ο Κρόνος το πρωί φωτογραφήθηκε στην Κορέα
  • कोरियामा विहानको शनि ग्रहको फोटो खिचिएको
  • 韓国で撮影された朝の土星
  • 在韓國拍攝的早晨土星
  • Sao Thổ vào buổi sáng Chụp ảnh ở Hàn Quốc
  • زحل في الصباح صور في كوريا ، Satarn ar Maidin Grianghraf sa Chóiré
  • Koreyada suratga olingan ertalab Saturn

대박!! #오늘 #아침 #토성의 #모습 #| #Saturn #in #the #Morning #Photographed #in #Korea


YouTube에서 목성 토성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대박!! 오늘 아침 토성의 모습 | Saturn in the Morning Photographed in Korea | 목성 토성,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