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상 예절 | 문상예절 – 분향방법 251 개의 새로운 답변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문상 예절 – 문상예절 – 분향방법“?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ppa.maxfit.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maxfit.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young seok Kim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433,434회 및 좋아요 2,633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문상절차
  1. 상가(빈소)에 도착하면 문밖에서 외투나 모자 등을 미리 벗어 둔다.
  2. 상주에게 가볍게 목례를 하고 영정 앞에 무릎을 꿇고 앉는다.
  3. 분향 및 헌화 방법은 향나무를 깎은 나무향일 경우는 오른손으로 향을 집어 향로 위에 놓는데 이 때 왼손으로 오른 손목을 받친다.

문상 예절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문상예절 – 분향방법 – 문상 예절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문상 시 분향방법 입니다
출처 -보건복지부 E하늘장사정보시스템

문상 예절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조문예절 | 쉴낙원 장례식장

조문 시 지켜야 할 예절을 알아보세요. … 향나무를 깎은 나무향일 경우 오른손으로 향을 집어 향로 위에 놓는데 이 때 왼손으로 오른 손목을 받칩니다. … 절대 입으로 불면 …

+ 여기를 클릭

Source: www.shillakwon.com

Date Published: 9/7/2021

View: 6721

장례예절 – 조선대학교병원

문상을 가고 고인에게 재배하고, 상주에게 절한 후 아무말도 하지 않고 물러나오는 것이 일반적이며 또는 예의에 맞다. 상을 당한 사람을 가장 극진히 위로해야 할 자리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hosp.chosun.ac.kr

Date Published: 2/20/2021

View: 5027

문상예절 – 한국장례협회

문상예절 · 현대의 장례 예절에서는 검정색 양복을 입는 것이 무난하다. 검정색 양복이 준비되지 못한 경우 감색이나 회색 양복도 무방하다. · 검정색 상의에 무채색 계통의 …

+ 여기에 표시

Source: www.fta.or.kr

Date Published: 5/12/2021

View: 4388

기본 상례 예절 – 장례상식 – 상장례정보 –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

향로에 향을 정중히 꽂고 일어나 한걸음 뒤로 물러나 절을 올린다. 절을 올린 후에 상주와 맞절을 하고 상중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 ※ 최근에는 문상객 위주가 아닌 상가 …

+ 여기를 클릭

Source: www.samsunghospital.com

Date Published: 7/27/2022

View: 65

장례상식 – 차병원

조문방법. 문상예절풍습과 종교가 다르더라도 해당 상가의 상례에 따른다. 1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m.chamc.co.kr

Date Published: 11/23/2022

View: 6502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문상 예절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문상예절 – 분향방법.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문상예절 - 분향방법
문상예절 – 분향방법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문상 예절

  • Author: young seok Kim
  • Views: 조회수 433,434회
  • Likes: 좋아요 2,633개
  • Date Published: 2020. 7. 13.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bvg_xhWvCQQ

종교별 문상예절

종교별 문상예절

문상절차

상가(빈소)에 도착하면

상가(빈소)에 도착하면 문밖에서 외투나 모자 등을 미리 벗어 둔다. 상주에게 가볍게 목례를 하고 영정 앞에 무릎을 꿇고 앉는다. 분향 및 헌화 방법은 향나무를 깎은 나무향일 경우는 오른손으로 향을 집어 향로 위에 놓는데 이 때 왼손으로 오른 손목을 받친다. 선향(막대향)일 경우 하나나 둘을 집어 촛불에 불을 붙인 다음 손가락으로 가만히 잡아서 끄든지 왼손으로 가볍게 흔들어 끄고 절대 입으로 불면 안 된다. 다음으로 두손으로 공손히 향로에 꽂는데 선향은 하나로 충분하나 여러 개일 경우 반드시 하나씩 꽂아야 한다.

헌화를 할 때는 오른손으로 꽃줄기 하단을 가볍게 잡고 왼손 바닥으로 오른손을 받쳐 들어 두 손으로 공손히 꽃 봉우리가 영정 쪽으로 향하게 하여 재단위에 헌화 한 뒤 잠깐 묵념 및 기도를 한다. 영좌 앞에 일어서서 잠깐 묵념 또는 두 번 절한다. 영좌에서 물러나 상주와 맞절을 한다. 종교에 따라 절을 하지 않는 경우는 정중히 고개를 숙여 예를 표해도 된다. 평소 안면이 있는 경우라면 상주에게 문상 인사말을 건네는데 이때는 낮은 목소리로 짧게 위로의 말을 하되 고인과 관련 된 질문을 많이 하는 것은 좋지 않다. 문상이 끝나고 물러나올 때에는 두세 걸음 뒤로 물러난 뒤, 몸을 돌려 나오는 것이 예의이다.

문상시 위로의 인사말

문상을 가서 어떤 위로의 말을 해야 할지 몰라 망설인다. 실제 조문의 말은 문상객과 상주의 나이 관계에 따라 다양하다.

보통은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 “얼마나 슬프십니까” 가 좋다.

상주는 상중에는 항상 죄인이므로 “고맙습니다”, “찾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고 문상 온 사람에게 고마움을 표한다.

조문예절

기독교식

빈소에 들어서서 상주와 가벼운 목례를 하고 준비된 국화꽃을 들고 고인영정 앞에 헌화한 후 뒤로 한 걸음 물러서 15도 각도로 고개 숙여 잠시동안 묵념을 드린 후 상주와 맞절을 하고 상중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

천주교식

빈소에 들어서서 상주와 가벼운 목례를 하고 준비된 국화꽃을 들고 고인영정 앞에 헌화한 후 뒤로 한 걸을 물러서서 15도 각도로 고개 숙여 잠시동안 묵념을 드린 다음 준비된 향을 집어서 불을 붙인 다음 향을 좌우로 흔들어 불꽃을 끈다. (입으로 불어서 끄지 않는다.)

한쪽 무릎을 끓고 향로에 향을 정중히 꽂고 일어나 한 걸음 뒤로 물러서 절을 올린다. 절을 올린 후에 상주와 맞절을 하고 상중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

※ 향나무의 가루 향으로 만들어진 향은 오른손의 엄지와 검지로 향을 집어서 오른손을 왼손으로 받치고 향로(향불)에 공손히 넣는다.

불교식(유교식포함)

빈소에 들어서서 상주와 가벼운 목례를 한 다음, 영정 앞에 무릎을 끓고 앉아 준비된 향을 집어서 불을 붙인 다음 향을 좌우로 흔들어 불꽃을 끄고 향로에 향을 정중히 꽂고 일어나 한걸음 뒤로 물러나 절을 올린다. 절을 올린 후에 상주와 맞절을 하고 상중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

※ 최근에는 문상객 위주가 아닌 상가 댁 위주의 문상예절이 이루어지고 있어, 상가의 상황에 맞는 문상예절을 하여야 한다.

현대상복으로 표시

남자는 검은 양복, 여자는 흰색이나 검은색 치마저고리 및 검은색 양장을 착용 후 입관이 끝나면 완장 및 리본으로 상주임을 표시하고 있다.

공수법

절을 할 때나 예의를 표할 때 평상시는 남자는 왼손이 위이고 여자는 오른손이 위로 간다. 그러나 흉사에는 평상시와 반대로 남자는 오른손이 위로 가고 여자는 왼손이 위로 간다.

※ 산 사람에게 한번, 죽은 사람에게 남자는 재배라 하여 두 번 절한다. 여자는 사배라 하여 네 번 절 하는데 그 이유는 여자는 음이므로 양인 남자의 갑절 수로 절을 한다. 음양의 원리에 의해 양의 수는1, 음의 수는 2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오늘날 현대에는 남녀공통으로 재배로 바뀌는 경향이다.

쉴낙원 장례식장

오른손으로 꽃줄기 하단을 가볍게 잡고 왼손 바닥으로 오른손을 받쳐 들어 두 손으로 공손히 끝 봉우리가 영정 쪽으로 향하게 하여제단 위에 헌화 한 뒤 잠깐 묵념을 합니다

– 향나무를 깎은 나무향일 경우 오른손으로 향을 집어 향로 위에 놓는데 이 때 왼손으로 오른 손목을 받칩니다. 향나무를 깎은 나무향일 경우 오른손으로 향을 집어 향로 위에 놓는데 이 때 왼손으로 오른 손목을 받칩니다.

– 선향(線香. 막대 향)일 경우 하나나 둘을 집어 촛불에 불을 붙인 다음 손가락으로 가만히 잡아서 끄든지 왼손으로 가볍게 흔들어 끄고

절대 입으로 불면 안 됩니다. 선향(線香. 막대 향)일 경우 하나나 둘을 집어 촛불에 불을 붙인 다음 손가락으로 가만히 잡아서 끄든지 왼손으로 가볍게 흔들어 끄고절대 입으로 불면 안 됩니다.

문상예절

문상객의 옷차림

– 예전에 우리 조상들은 평상복이 한복이었던 관계로 흰 옷을 입고 가는 것이 예의였으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양복을 입는 관계로 문상객의 복장도 변모하게 되었다.

– 기본적으로 화려한 색상의 의복이나 장식은 피하며, 가능한 무채색 계통의 단정한 옷차림이 무난하다. 고인 또는 상주와 각별한 문상객일 경우에는 아래아 같은 복장을 갖추는 것이 예의이다.

남성 문상객의 옷차림

현대의 장례 예절에서는 검정색 양복을 입는 것이 무난하다.

검정색 양복이 준비되지 못한 경우 감색이나 회색 양복도 무방하다.

와이셔츠는 될 수 있는 대로 화려하지 않은 흰색 또는 무채색 계통의 단색으로 하는 것이 좋다.

여성 문상객의 옷차림

검정색 상의에 무채색 계통의 폭이 넓은 치마를 입는 것이 가장 무난하다.

검정색 구두에 스타킹이나 양말을 필히 작용하여 맨발을 보이지 않아야 한다.

그밖에 장갑이나 핸드백도 검정색으로 통일 시킨다.

또한 되도록 색채화장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귀걸이, 목걸이, 반지 등 장신구도 가능하면 피하거나 눈에 띄지 않도록 한다.

절하는 법

절의 의미

절이란 몸을 굽혀 공경(恭敬)을 표시하는 인사 방법으로 인간이 살아가는 데 있어서 지켜야할 많은 예절 가운데서도 상대편에 대한 공경과 반가움을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행동 예절이다.

절은 윗사람을 공경하고 아랫사람을 공경하는 예로써 행하여지며, 공경해야 할 대상을 상징하는 표상이나 의식행사에서도 한다.

공수법(拱手法)

두 손을 모아 앞으로 잡는 것을 공수라 하는데 이는 공손한 자세를 나타내며, 모든 행동의 시작이다. 공손한 자세는 어른에게는 공손한 인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하고, 공손한 자세를 취하는 사람에게도 편안한 자세가 되어야 한다.

공수는 두 손을 앞으로 모아서 잡는 것을 말한다.

공수는 남자와 여자의 손 위치가 다르다.

공수는 평상시(平常時)와 흉사시(凶事時)가 다르다.

공수는 의식행사에 참석했을 때나 어른을 뵐 때 반드시 한다.

공수는 배례(拜禮, 절)의 기본동작(基本動作)이다.

평상시 남자와 여자의 공수(拱手) 동장

공수시 남자는 왼손을 위로하고 여자는 오른손을 위로 하여 두 손을 가지런히 포갠다.

흉사때는 남녀 모두 평사시와 반대로 한다.

절하기전 바른자세 양팔을 자연스럽게 내려 양 옆에 둔다. (손가락을 모두 모아 가볍게 주먹을 쥔다.)

공수(拱手)한 손을 허리선 부분에 놓는다. (평상시 공수 (拱手) 자세는 왼손을 위로 하여 맞잡고,

흉사 (凶事)에는 오른손이 위로 가도록 잡는다. ※ 흉사 (凶事) : 대공복 (大功服) 이상의 상 (喪)을 말한다. 양팔을 자연스럽게 내려 양 옆에 둔다. (손가락을 모두 모아 가볍게 오므린다.)

공수(拱手)한 손을 허리선 부분에 놓는다. (평상시 공수 (拱手) 자세는 오른손을 위로 하여 맞잡고,

흉사 (凶事)에는 왼손이 위로 가도록 잡는다. ※ 흉사 (凶事) : 대공복 (大功服) 이상의 상 (喪)을 말한다.

남자 큰절(상례 : 큰절을 두 번 한다.) ① 자세를 바로 한다.

– 이때, 공수(拱手)한 손은 허리선 부분에 두고 바른 자세로 선다.

※ 공수(拱手) : 평상시에는 왼손을 위로하고 흉사(凶事)시에는 오른손을 위로 한다.

– 이때, 공수(拱手)한 손은 허리선 부분에 두고 바른 자세로 선다. ※ 공수(拱手) : 평상시에는 왼손을 위로하고 흉사(凶事)시에는 오른손을 위로 한다. ② 공수(拱手)한 손을 눈높이로 올린다.

– 이때, 손바닥은 바닥을 향하도록 하고 눈은 발등을 향한다.

※ 평절의 경우 공수한 손을 가슴높이로 올릴 뿐 나머지 방법은 큰절과 같다(한번만 한다).

– 이때, 손바닥은 바닥을 향하도록 하고 눈은 발등을 향한다. ※ 평절의 경우 공수한 손을 가슴높이로 올릴 뿐 나머지 방법은 큰절과 같다(한번만 한다). ③ 왼 발을 조금 뒤로 빼면서 공수한 손으로 바닥을 짚고 무릎을 꿇는다.

– 이때, 왼쪽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쪽 무릎을 꿇는다.

– 이때, 왼쪽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쪽 무릎을 꿇는다. ④ 몸을 앞으로 깊이 숙여 절한다. * 큰절은 절을 하는 사람에게 답배를 하지 않아도 되는 높은 어른 및 의식행사(관례, 혼인례, 상례(장례), 제례(제사))시를 대상으로 한다.

(직계존속, 배우자의 직계존속, 8촌 이내의 연장존속). * 평절은 절을 하는 사람에게 답배 또는 평절로 맞절을 해야 하는 웃어른이나 또래를 대상으로 한다.

(선생님, 연장자, 상급자, 배우자, 형님, 누님, 형수, 시숙, 시누이, 올케, 제수, 친구사이).

여자 (상례 : 큰절을 두 번 한다.) ① 자세를 바로 한다.

– 공수(拱手)한 손은 허리선 부분에 두고 바른 자세로 선다.

– 공수(拱手) : 평상시에는 오른손을 위로하고 흉사(凶事)시에는 왼손을 위로 한다.

– 공수(拱手)한 손은 허리선 부분에 두고 바른 자세로 선다. – 공수(拱手) : 평상시에는 오른손을 위로하고 흉사(凶事)시에는 왼손을 위로 한다. ② 공수(拱手)한 손을 풀어 바로 선 자세에서 무릎 꿇고 앉는다.

③ 양손을 무릎 앞부분 양 옆의 바닥을 짚으며 절한다. ① 자세를 바로 한다.

– 공수(拱手)한 손은 허리선 부분에 두고 바른 자세로 선다.

– 공수(拱手) : 평상시에는 오른손을 위로하고 흉사(凶事)시에는 왼손을 위로 한다.

– 공수(拱手)한 손은 허리선 부분에 두고 바른 자세로 선다. – 공수(拱手) : 평상시에는 오른손을 위로하고 흉사(凶事)시에는 왼손을 위로 한다. ② 공수(拱手)한 손을 눈높이로 올린다.

– 손바닥이 바닥을 향하도록 하고 눈은 다소곳이 발등을 향한다.

– 손바닥이 바닥을 향하도록 하고 눈은 다소곳이 발등을 향한다. ③ 공수(拱手)한 손을 눈높이에 둔 채 무릎꿇고 앉는다.

④ 몸을 앞으로 깊이 숙여 절한다. * 큰절은 절을 하는 사람에게 답배를 하지 않아도 되는 높은 어른 및 의식행사(관례, 혼인례, 상례(장례), 제례(제사)) 시를 대상으로 한다.

(직계존속, 배우자의 직계존속, 8촌 이내의 연장존속). * 평절은 절을 하는 사람에게 답배 또는 평절로 맞절을 해야 하는 웃어른이나 또래를 대상으로 한다.

(선생님, 연장자, 상급자, 배우자, 형님, 누님, 형수, 시숙, 시누이, 올케, 제수, 친구사이).

문상 할 때의 인사말

문상시 인사말

상 할 때에는 고인에게 재배하고 상주에게 절한 후 아무 말도 하지 않고 물러나오는것이 일반적이며 전통적인 예의이다. 상을 당한 사람을 가장 극진히 위로해야 할 자리이지만 그 어떤 말도 상을 당한 사람에게는 위로가 될 수 없다는 뜻이며 오히려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것이 더 깊은 조의를 표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문상을 받은 상주 역시 말을 하지 않는 것을 모법으로 여기며, 더욱이 상주는 죄인이므로 말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전통적인 관습이다.

실제 문상의 말은 문상객과 상주의 나이, 평소의 친소 관계 등,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건네는 것이 합리적이다. 격식이나 형식을 차린 표현보다 따뜻하고 진지한 위로 한마디를 미리 문상 전에 준비하는 것이 좋다.

상주도 ‘고맙습니다’, ‘뭐라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등으로 문상에 대한 감사를 표한다.

상주의 부모인 경우

상사에 얼마나 애통하십니까?

친환(親患)으로 그토록 초민(焦悶)하시더니 이렇게 상을 당하시어 얼마나 망극하십니까?

환중이시라는 소식을 듣고도 찾아 뵈옵지 못하여 죄송하기 짝이 없습니다.

그토록 효성을 다하셨는데도 춘추가 높으셔서 인지 회춘을 못하시고 일을 당하셔서 더욱 애통하시겠습니다.

망극한 일을 당하셔서 어떻게 말씀드려야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용어] 망극 (罔極) : 부모상(父母喪)에만 쓰인다.

상주의 아내인 경우

위로할 말씀이 없습니다.

옛 말에 고분지통(叩盆之痛)이라 했는데 얼마나 섭섭 하십니까? [용어] 고분지통(叩盆之痛) : 아내가 죽었을 때 물동이를 두드리며 슬퍼했다는 장자(莊子)의 고사에서 나온 말이다.

* 고분지통(鼓盆之痛)이라고도 한다. (叩) = 두드릴 고

상주의 남편인 경우

상사에 어떻게 말씀을 여쭐지 모르겠습니다.

천붕지통(天崩之痛)에 슬픔이 오죽하십니까?

하늘이 무너진다는 말씀이 있는데, 얼마나 애통하십니까. [용어] 천붕지통 (天崩之痛) : 하늘이 무너지는 듯 한 아픔이라는 뜻으로 “남편이 죽은 슬픔”을 이르는 말이다.

상제의 형제인 경우

백씨(伯氏) 상을 당하셔서 얼마나 비감하십니까?

백씨(伯氏) : 남의 맏형의 존댓말

중씨(仲氏) : 남의 둘째 형의 높임말

계씨(季氏) : 남의 사내 아우에 대한 높임말

“할반지통(割半之痛)이 오죽하시겠습니까? [용어] 할반지통(割半之痛) : 몸의 절반을 베어내는 아픔이란 뜻으로 그 “형제자매가 죽은 슬픔”을 이르는 말이다.

자녀가 죽었을 때 그 부모에게

얼마나 상심하십니까?

참척(慘慽)을 보셔서 얼마나 마음이 아프십니까?

참경(慘景)을 당하시어 얼마나 비통하십니까?

인사말 예시

문상객이 먼저 빈소에 곡재배(哭再拜)한다.

상주에게 절을 하고 꿇어 앉아 정중한 말씨로 다음과 같은 예를 표한다.

문상객 : 상사말씀 무슨 말씀 여쭈오리까.

상 주 : 모두 저의 죄가 큰 탓인가 봅니다.

문상객 : 대고를 당하시니 얼마나 애통하십니까.

상 주 : 원로에 이토록 수고하여 주시니 송구하옵니다.

문상객 : 변환이 침중하시더니 상사까지 당하시니 오죽 망극하오리까.

상 주 : 망극하기 그지 없습니다.

고례에는 문상객이 망인 및 상주와의 관계에 따라 인사말이 달랐으나, 인사말의 내용이 모두 “슬픔을 위로 위문”하는 말이었다. 그러므로 현대에는 누가 죽었던지 어렵지 않게 “얼마나 슬프십니까?” 라고 하면 된다.

상주의 대답하는 말도 고례에는 경우에 따라 달랐으나 내용은 한결같이 “슬프다”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현대에는 “오직 슬플 따름입니다.” 라고 대답하면 된다. 조문할 다른 손님이 기다리고 있으면 공손히 물러나고, 만일 한가하면 잠시 다른 위문의 인사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주가 피곤하지 않도록 유위해야 한다.

고인이 연하일 경우 문상 방법

아내의 상(喪) 또는 제사에는 절을 하나, 자식에게는 절하지 않는다.

아우, 조카 상에 절하지 않는다.

친구 부인(喪)이나 이성 사돈 상(喪)의 경우

– 평소 인사하고 지내던 사이면 절하고, 평소 모르고 지내던 사이면 절하지 않는 것이 옛 원칙이라 하나, 현대에는 두 경우 모두 절한다.

– 고인에게 절 하는지 여부는 고인이 연하일 경우는 통상 절하지 않으며, 고인이 연상일 경우는 절하는 것이 도리이다.

※ 선조들 가운데는 고인의 사망성격(순직등)에 따라 예우 차원에서 연하 일지라도 절을 하신 경우도 있다. 이러한 예는 현대에도 이어져 시행되고 있다.

연하인 상주에게 절하는지 여부

상주 나이가 연하일 경우에는 문상객이 먼저 절하지 않는다.

어른이 문상시는 상주가 먼저 절을 하면 답례를 할 뿐이다.

문상시 삼가해야 할 일

장례식장 모바일

완장 (남자)

상주(喪主) 표시

· 두줄 : 아들과 사위, 아들이 없을 시에는 장손이 착용한다.

· 한줄 : 기혼인 복인(반드시 상복을 입지 않고 완장만 착용을 해도 복인이 된다.)

· 무줄 : 미혼인 복인(주로 손자들이 착용하게 된다.)

· 복인은 : 부(父)계 8촌, 모(母)계 4촌까지로 한다.

완장은 삼베로 만들어 졌으며, 검은 색의 줄이 그어져 있는데, 두줄과 한줄 그리고 무줄이 있다.※ 완장은 가정의례준칙이 나오면서 굴건제복 (屈巾祭服) 대신 상주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 되었으며, 직계와 비속을 구분하기 위한 수단으로 줄을 넣고 넣지 않음으로 구분하고 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문상 예절

다음은 Bing에서 문상 예절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문상예절 – 분향방법

  • 문상방법
  • 분향방법
  • 상가예절

문상예절 #- #분향방법


YouTube에서 문상 예절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문상예절 – 분향방법 | 문상 예절,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