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 의 정리 | 픽의 정리(Pick’S Theorem)를 알아보자! 수학탐구주제_제7강 과학고/상산고 자기소개서 (상산고,한성과학고,세종과학고,경기북과고) Gmsplex지엠에스플렉스 조창모 대표 모든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픽 의 정리 – 픽의 정리(Pick’s theorem)를 알아보자! 수학탐구주제_제7강 과학고/상산고 자기소개서 (상산고,한성과학고,세종과학고,경기북과고) gmsplex지엠에스플렉스 조창모 대표“?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ppa.maxfit.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maxfit.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GMSPLEX_지엠에스플렉스_입시전문TV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090회 및 좋아요 13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픽의 정리(영어: Pick’s theorem)는 격자점 위의 단순 다각형에서 그 내부, 외부의 격자 수와 그 다각형의 넓이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정리로, 이 정리는 오스트리아의 게오르그 픽(Georg Alexander Pick)에 의해 1899년에 만들어졌다.

픽 의 정리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픽의 정리(Pick’s theorem)를 알아보자! 수학탐구주제_제7강 과학고/상산고 자기소개서 (상산고,한성과학고,세종과학고,경기북과고) gmsplex지엠에스플렉스 조창모 대표 – 픽 의 정리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궁금하신점은 댓글또는 02-889-3111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픽의 정리(영어: Pick’s theorem)는 격자점 위의 단순 다각형에서 그 내부, 외부의 격자 수와 그 다각형의 넓이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정리로, 이 정리는 오스트리아의 게오르그 픽(Georg Alexander Pick)에 의해 1899년에 만들어졌다. 모든 꼭짓점이 격자점 위에 존재하는 단순 다각형의 넓이를 A, 격자 다각형의 내부에 있는 점의 수를 i, 변 위에 있는 점의 수를 b라고 하면, 이들 사이에 다음의 식이 성립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내용이 \”픽의 정리\”이다.

픽 의 정리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격자점 – 나무위키:대문

픽의 정리(Pick’s theorem) … 더욱 업그레이드하여 각 점이 모두 격자점인 정사각형의 개수를 구하라는 경우도 있다. 기울기가 일정한 일차함수로 …

+ 여기를 클릭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1/10/2022

View: 6115

도형의 넓이와 격자점: 픽의 정리, 민코프스키 정리, 블리히펠트 …

도형의 넓이와 격자점: 픽의 정리, 민코프스키 정리, 블리히펠트 정리(Pick’s theorem, Minkowski’s theorem, Blichfeldt’s theorem). Menth 2021. 11. 20 …

+ 더 읽기

Source: frozenmint.tistory.com

Date Published: 12/6/2021

View: 5226

픽의 정리 by 정연 유 – Prezi

픽의 정리는 단순하지만, 진보한 현대 기술을 이용하더라도 울산지도를 다각형으로 단순화하여 픽의 정리를 활용해 넓이를 구하는 방법보다 더 쉽고 정확한 기술은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prezi.com

Date Published: 10/23/2022

View: 3998

픽의 정리 (Pick’s Theorem)

픽의 정리 (Pick’s Theorem). J.Bear 2011. 12. 6. 10:15. 아주 신기한 이론이 있길래 긁어다가 포스팅 한다. ‘피타고라스의 창’ 이라는 블로그에 포스팅 되어있는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jbear.tistory.com

Date Published: 7/12/2022

View: 7428

픽의 정리

저번 포스팅인 12가 왜 거기서 나와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정리로 픽의 정리(Pick’s theorem)가 등장했다. Restate하자면, 모든 꼭지점이 격자점인 격자다각형 에 대해 …

+ 여기에 표시

Source: udaqueness.blog

Date Published: 2/11/2021

View: 1093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픽 의 정리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픽의 정리(Pick’s theorem)를 알아보자! 수학탐구주제_제7강 과학고/상산고 자기소개서 (상산고,한성과학고,세종과학고,경기북과고) gmsplex지엠에스플렉스 조창모 대표.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픽의 정리(Pick's theorem)를 알아보자! 수학탐구주제_제7강 과학고/상산고 자기소개서 (상산고,한성과학고,세종과학고,경기북과고) gmsplex지엠에스플렉스 조창모 대표
픽의 정리(Pick’s theorem)를 알아보자! 수학탐구주제_제7강 과학고/상산고 자기소개서 (상산고,한성과학고,세종과학고,경기북과고) gmsplex지엠에스플렉스 조창모 대표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픽 의 정리

  • Author: GMSPLEX_지엠에스플렉스_입시전문TV
  • Views: 조회수 1,090회
  • Likes: 좋아요 13개
  • Date Published: 2021. 8. 24.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HNLKJdY22RI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i = 9 , b = 13 , A = i + b / 2 − 1 = 14.5

픽의 정리(영어: Pick’s theorem)는 격자점 위의 단순 다각형에서 그 내부, 외부의 격자 수와 그 다각형의 넓이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정리로, 이 정리는 오스트리아의 게오르그 픽(Georg Alexander Pick)에 의해 1899년에 만들어졌다. 모든 꼭짓점이 격자점 위에 존재하는 단순 다각형의 넓이를 A, 격자 다각형의 내부에 있는 점의 수를 i, 변 위에 있는 점의 수를 b라고 하면, 이들 사이에 다음의 식이 성립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내용이 “픽의 정리”이다.[1]

A = i + b 2 − 1 {\displaystyle A=i+{\frac {b}{2}}-1}

오른쪽 그림에서는 i의 값은 9이고 b의 값은 13이다. 픽의 정리를 사용하면 이 다각형의 넓이는 14.5임을 알 수 있다.

증명

기본 삼각형들로 분할된 다각형

이 증명을 위해서는 두 개의 보조정리가 필요하다.

격자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 중에서 i =0, b =3인 경우 그 넓이는 항상 1 / 2 {\displaystyle 1/2}

=0, =3인 경우 그 넓이는 항상 격자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모든 다각형을 기본 삼각형으로 분할할 수 있다.

격자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다각형 P {\displaystyle P} 를 N {\displaystyle N} 개의 기본 삼각형으로 나눈다. 증명전략은 N {\displaystyle N} 개의 기본삼각형의 내각의 합을 서로 다른 방법으로 구하여, 연립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모든 기본 삼각형들의 내각의 합 S {\displaystyle S} 를 나타내는 방법은 두 가지이다.

첫째로 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π {\displaystyle \pi } 이므로 S = N π {\displaystyle S=N\pi } 로 나타낼 수 있다.

둘째로는 각 점에서 생기는 각의 크기를 모두 더하는 방법이 있다.

P {\displaystyle P} 내부의 점 i {\displaystyle i} 에서 만나는 기본 삼각형들의 각의 크기의 합은 2 π {\displaystyle 2\pi } 이고, 따라서 모든 점 i {\displaystyle i} 에서 만들어지는 각들의 합은 2 i π {\displaystyle 2i\pi } 이다.

또, 꼭짓점이 아닌 변 위의 점 b {\displaystyle b} 에서 만나는 기본 삼각형들의 각의 크기의 합은 π {\displaystyle \pi } 이다. P {\displaystyle P} 가 k {\displaystyle k} 각형이라고 했을때, 모든 점 b {\displaystyle b} 에서 만들어지는 각들의 합은 ( b − k ) π {\displaystyle (b-k)\pi } 이다.

마지막으로, P {\displaystyle P} 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 k − 2 ) π {\displaystyle (k-2)\pi } 이다.[2]

S = 2 i π + ( b − k ) π + ( k − 2 ) π {\displaystyle S=2i\pi +(b-k)\pi +(k-2)\pi } 이므로, 정리하면 모든 기본 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S = 2 i π + b π − 2 π {\displaystyle S=2i\pi +b\pi -2\pi } 라고 나타낼 수 있다.

S = N π {\displaystyle S=N\pi } 와 S = 2 i π + b π − 2 π {\displaystyle S=2i\pi +b\pi -2\pi } 를 연립하면 다음과 같다.

N π = 2 i π + b π − 2 π {\displaystyle N\pi =2i\pi +b\pi -2\pi }

여기서 양변을 π {\displaystyle \pi } 로 나누면

N = 2 i + b − 2 {\displaystyle N=2i+b-2}

두 번째 보조정리에서 격자점을 꼭짓점으로 하는 모든 다각형은 기본 삼각형으로 분할할 수 있다고 했으므로 A = 1 2 N {\displaystyle A={\frac {1}{2}}N} 이 유도된다. 따라서

A = 1 2 N = 1 2 ( 2 i + b − 2 ) = i + b 2 − 1 {\displaystyle A={\frac {1}{2}}N={\frac {1}{2}}(2i+b-2)=i+{\frac {b}{2}}-1}

이므로 픽의 정리가 성립함을 알 수 있다.[3]

오일러 지표와의 관계

픽의 정리는 오일러 지표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이 관계를 알기 위해서는 “edge theorem”이라는 보조 정리가 필요하다.

i = 3 , b = 4 , e =3 i + 2 b − 3 = 14

“edge theorem”에 의하면 임의의 다각형에서 내부와 경계선 위의 점들을 연결하여 기본 삼각형들로 분할했을 때 생기는 변의 개수를 e {\displaystyle e} , 내부에 있는 점의 수를 i {\displaystyle i} , 변 위에 있는 점의 수를 b {\displaystyle b} 라고 할 때 다음이 성립한다.

e = 3 i + 2 b − 3 {\displaystyle e=3i+2b-3}

b {\displaystyle b} =3이고 i {\displaystyle i} =0이면 삼각형이 만들어지면서 e {\displaystyle e} 의 값은 언제나 3이고 위 등식을 만족한다. 이 삼각형 내부에 점을 한 개 추가하면( i {\displaystyle i} =1) 모서리의 수는 3만큼 늘어난다( e {\displaystyle e} =6). 이 경우 역시 위 등식을 만족한다. 변 위에 있는 점을 한 개 추가하는 상황에서 x {\displaystyle x} 개의 변 위에 있는 점들이 내부에 있는 점으로 바뀐다고 하면, e {\displaystyle e} 값은 ( x {\displaystyle x} +2)개 증가, b {\displaystyle b} 값은 ( x {\displaystyle x} -1)개 감소한다. 이 내용을 위 등식에 대입하면 마찬가지로 등식을 만족하게 된다. 따라서 i {\displaystyle i} 값과 b {\displaystyle b} 값에 변동이 있어도 위 등식은 항상 성립함을 알 수 있다.

오일러 지표에 의하면 평면 그래프에서 v {\displaystyle v} 가 꼭짓점의 개수이고, e {\displaystyle e} 가 모서리의 개수이고, f {\displaystyle f} 가 모서리들로 나누어진 면의 개수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v − e + f = 2 {\displaystyle v-e+f=2}

이 등식을 이용하기 위해 꼭짓점이 격자점 위에 있는 격자다각형을 기본 삼각형들로 분할하고, 그 도형을 평면 그래프라고 생각한다. 그러면 삼각형 내부의 점과 변 위의 점을 합한 것이 v {\displaystyle v} 의 값이므로 v = i + b {\displaystyle v=i+b} 이고, ‘edge theorem’에 의해 e = 3 i + 2 b − 3 {\displaystyle e=3i+2b-3} 임을 알 수 있다. 이것을 위 등식에 대입하면

i + b − 3 i − 2 b + 3 + f = 2 {\displaystyle i+b-3i-2b+3+f=2}

f = 2 i + b − 1 {\displaystyle f=2i+b-1}

마지막으로 면의 수 f {\displaystyle f} 의 경우, 평면 그래프의 관점에서는 넓이가 무한한 면 한 개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 면의 수는 기본 삼각형들의 수보다 하나 더 많다. 따라서 주어진 다각형을 분할하는 기본 삼각형의 수는 ( f − 1 ) {\displaystyle (f-1)} 이고, 각 기본 삼각형의 넓이는 1 2 {\displaystyle {\frac {1}{2}}} 이므로 주어진 다각형의 넓이는 A = 1 2 ( f − 1 ) {\displaystyle A={\frac {1}{2}}(f-1)} 가 된다. 이 식을 앞에서 구한 식과 연립하면 다음과 같이 픽의 정리가 유도된다.[4]

1 2 ( f − 1 ) = A = 1 2 ( 2 i + b − 2 ) {\displaystyle {\frac {1}{2}}(f-1)=A={\frac {1}{2}}(2i+b-2)}

A = i + b 2 − 1 {\displaystyle A=i+{\frac {b}{2}}-1}

도형의 넓이와 격자점: 픽의 정리, 민코프스키 정리, 블리히펠트 정리(Pick’s theorem, Minkowski’s theorem, Blichfeldt’s theorem)

유클리드 평면(좌표평면)에서 격자점이란 x좌표와 y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을 말하며, 고차원 유클리드 공간에서도 유사하게 모든 좌표가 정수인 점으로 격자점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평면에서 단위 면적은 가장 작은 격자점 정사각형의 넓이와 같은 만큼 격자점은 면적과 비슷한 부분이 많아요. 예를 들어 격자점의 평균적인 밀도는 단위 면적당 하나이고, 따라서 복잡한 도형의 넓이를 추정할 때는 그 내부의 격자점 수를 세기도 합니다. 심지어 격자점으로만 이루어진 단순 다각형(구멍이 없고 자기 자신과 교차하지 않는 다각형)의 경우에는 격자점 수만 알아도 넓이를 정확히 표현할 수 있어요. 다음은 Pick의 정리입니다.

Pick’s theorem

격자점 단순 다각형의 내부 격자점 수를 I, 테두리 위의 격자점 수를 B, 넓이를 S라고 하면 S=I+B/2-1이다.

격자점 수에 의해서만 넓이가 완전히 결정된다는 점에서 신기하다고 할 수 있는 정리예요! 일단 I=0, B=3인 삼각형에 대해 증명하고, 두 도형에 대해 각각 픽의 정리가 성립한다면 두 도형을 이어 붙였을 때도 픽의 정리가 성립함을 보이는 방식으로 모든 도형에 대해 적용할 수 있습니다.

내부와 변 위에 격자점이 없는 삼각형의 넓이가 1/2라는 증명. 이처럼 평면을 채우면 삼각형 2개가 결합한 평행사변형 1개와 격자점 1개가 대응한다.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Pick_triangle_tessellation.svg 일반적인 격자점 다각형의 분할.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Grid_polygon_triangulation.svg

하지만 픽의 정리는 격자점 다각형에 대해서만 적용할 수 있어 한계가 명확합니다. 대신 넓이가 넓으면 격자점을 포함하게 된다는 발상만은 일반화시킬 수 있는데, 이제부터 일반적인 도형의 넓이와 내부 격자점 수를 다루는 두 정리에 대해 알아볼까요?

첫 번째는 Blichfeldt의 정리입니다. 어떤 도형은 넓이가 크면서도 격자점을 잘 피해 다닐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넓이가 얼마 이상이라고 꼭 내부에 격자점을 가지지는 않아요. 픽의 정리로 격자점 다각형을 다룰 때는 나타나지 않았던 문제점인데,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이렇게 격자점을 피해 다니면서 넓은 도형을 그려 보면, 내부 격자점은 없더라도 적어도 그 부근에는 많은 격자점을 가지게 될 거예요. 그렇다면 조금 평행 이동해 주면 적당한 수의 격자점을 포함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아이디어는 참입니다!

Blichfeldt’s theorem

넓이가 A인 도형을 평행 이동해 ⌈A⌉개 이상의 격자점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단, ⌈A⌉는 A 이상의 최소 정수)

증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도형을 S라고 부르기로 하고, S가 놓여 있는 좌표평면을 단위 정사각형으로 나눈 다음 나누어진 조각을 평행 이동해 한데 겹칩니다.

Blichfeldt 정리의 증명.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Blichfeldts_theorem.svg

이때 정사각형 내부에서 도형 조각이 몇 번씩 겹쳤는지 살펴볼까요? 모든 점에서 ⌈A⌉-1번 이하로 겹쳤다면 도형의 원래 넓이도 ⌈A⌉-1 이하가 됩니다. 그런데 ⌈A⌉-1

픽의 정리 (Pick’s Theorem)

‘피타고라스의 창’ 이라는 블로그에 포스팅 되어있는 내용이다.

아주 신기한 이론이 있길래 긁어다가 포스팅 한다.아… 주소를 모르겠어 제길 ㅋㅋㅋ 저작권을 확실하게 밝혀야하는뎅 ㅠㅠ

픽의 정리 – udaqueness

저번 포스팅인 12가 왜 거기서 나와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정리로 픽의 정리(Pick’s theorem)가 등장했다. Restate하자면, 모든 꼭지점이 격자점인 격자다각형 에 대해 그 경계선에 있는 격자점의 갯수(꼭지점도 포함)를 , 내부에 있는 격자점의 갯수를 라 하면 의 넓이는 이 된다는 정리이다. 보통 이 정리의 증명으로, 격자다각형 내부의 격자점들을 이용해 triangulate, 즉 격자삼각형들로 분할하고 그 갯수가 일정하게 나온다는 사실을 이용해서 증명하고는 한다. 여기서는 […]

삼각형이 없는 픽의 정리

키워드에 대한 정보 픽 의 정리

다음은 Bing에서 픽 의 정리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픽의 정리(Pick’s theorem)를 알아보자! 수학탐구주제_제7강 과학고/상산고 자기소개서 (상산고,한성과학고,세종과학고,경기북과고) gmsplex지엠에스플렉스 조창모 대표

  • 파푸스의 중선정리
  • Apollonius' Theorem
  • 스튜어트정리
  • stewart 메넬라오스정리
  • menelaus 체바의정리
  • ceva 톨레미
  • Ptolemy
  • 천문학자인 톨레미
  • Claudius Ptolemy
  • 픽의 정리(영어: Pick's theorem)
  • Pick's theorem
  • 픽의 정리
  • 상산고
  • 하나고
  • 세종과고
  • 한성과고
  • 경기북과고
  • 상산고등학교
  • 하나고등학교
  • 세종과학고등학교
  • 경기북과학고등학교
  • 서울외고
  • 서울외국어고등학교
  • 여러가지정리
  • 체바의정리
  • 체바정리
  • 메넬라우스정리
  • 메넬라우스의정리
  • 톨레미정리
  • 톨레미의정리
  • 심슨정리
  • 픽의정리
  • 헤론공식
  • 파프스정리
  • 동탄국제고
  • 서울국제고
  • 경기국제고
  • 이화외고
  • 성남외고
  • 경기외고
  • 김포외고
  • 동두천외고
  • 과천외고
  • 외대부고
  • 대원외고
  • 대일외고
  • 명덕외고
  • 한영외고
  • 민사고
  • 고양외고
  • 인천국제고
  • 인천포스코고
  • 서울과고
  • 서울영재교
  • 경기과고
  • 경기영재교
  • 북일고
  • 중계gms학원
  • 영재센터
  • 용인외고
  • 조창모
  • 강남지엠에스플렉스
  • 특목고입시
  • 과학고입시
  • 자사고입시
  • 자기소개서

픽의 #정리(Pick’s #theorem)를 #알아보자! #수학탐구주제_제7강 #과학고/상산고 #자기소개서 #(상산고,한성과학고,세종과학고,경기북과고) #gmsplex지엠에스플렉스 #조창모 #대표


YouTube에서 픽 의 정리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픽의 정리(Pick’s theorem)를 알아보자! 수학탐구주제_제7강 과학고/상산고 자기소개서 (상산고,한성과학고,세종과학고,경기북과고) gmsplex지엠에스플렉스 조창모 대표 | 픽 의 정리,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